국어문학창고

세종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 소학언해(小學諺解)

by 송화은율
반응형

세종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 작품 해설

세종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어지(御旨) 부분을 언해(諺解)한 것이다. 우리는 이를 통해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취지와 15세기 국어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소학언해(小學諺解)’는 어린이용 수신 교양 학습서인 소학(小學)’을 언해(諺解)한 것으로 16세기 우리 국어의 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글이다.

 

. 글의 특성

(1) 세종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15세기 중세 국어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 정신을 알 수 있는 글이다.

 

(2) 소학언해(小學諺解)

임진왜란 직전(1586)의 우리말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언어의 역사성(표기, 의미 변화 등)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 핵심 정리

(1) 세종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출 전 : 훈민정음 언해본(訓民正音諺解本)

간행 연대 : 세조 5(1459)

갈 래 : 번역문, 실용문

문 체 : 번역체, 산문체

성 격 : 교시적, 설명적

주 제 :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주체, 애민, 실용 정신)

 

(2) 소학언해(小學諺解)

출 전 : 소학언해(小學諺解)

간행 연대 : 선조 19(1586)

갈 래 : 번역문

문 체 : 번역체, 산문체

성 격 : 설득적, 교훈적

주 제 : 효도의 본질, 교우의 도

 

. 전문의 짜임

(1) 세종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언어와 문자의 불일치

백성들의 불편한 언어 생활

백성들을 위한 훈민정음 창제

백성들의 편안한 문자 생활 도모

 

2) 소학언해(小學諺解)

효도의 시작과 끝(孝之始終)

벗의 유형 - 유익한 벗 상술, 해로운 벗 상술

 

. ‘훈민정음 소학 언해의 표기 비교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