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서정주 시인

by 송화은율
반응형

 

서정주(徐廷柱, 1915- , 미당·未堂)

 

· 전북 고창 생.

· [동아일보] 신춘문예 ‘벽’ 당선, 문단 등단(1936)

· 1936년 불교전문 중퇴

· [시인부락](1936~) 주간

· 1948년 동아일보 사회․문화부장.

· 서라벌 예대․동국대 문리대 교수를 역임,

· 1972년 불교문학가협회장,1976년 명예 문학박사(숙명여대)

· 1979년 문협 명예회장, 1979년 동국대 대학원 명예교수(현직)

· 주요시집과 시 세계

- [화사집](1938) : 악마적이며 원색적인 시풍, 토속적 분위기를 바탕으로 인간의 원죄 (原罪)를 노래함. 스스로를 죄인으로 여기고 그 운명적 업고(業苦)를 <문둥이>, <뱀>을 통 해 울부짖었다. 이후 미당은 ‘한국의 보들레르(프)’로 불림

- [귀촉도](1946), [서정주 시선](1955) : 원숙한 자기 성찰과 달관을 통한 화해. 동양적 사 상으로 접근하여 재생(再生)을 노래. 민족적 정조와 그 선율(旋律)을 읊었다.

- [신라초](1960, 정음사) : 불교 사상에 관심을 보여 주로 불교국 신라에서 시의 소재를 얻음. 선적(禪的)인 정서를 바탕으로 인간 구원을 시도하고 새로운 질서를 확립함

- [동천](1968, 민중서관) : [신라초] 시대보다 더 불교에 관심을 두고, 신비주의에 빠져드는 시 기이다.

- [서정주 시선](1974, 민음사)

- [질마재 신화](1975, 일지사), [떠돌이의 시](1976) : 토속적이며 주술적인 원시적 샤머니 즘이 노래되며, 시의 형태도 산문시, 정형시로 바뀌게 된다. 대표작 <신부(新婦)>

· 흔히 ‘생명파, 혹은 인생파’로 불림.

 

- 유적지

1) 禪雲山歌碑(고창 선운산 도립공원 선운사 동구) : 육필원고를 확대하여 ‘선운사동구’ 새김

2) 서정주생가(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 ‘질마재신화’의 현장, 현재 생가엔 미당의 아우이자 시 인인 서정태가 살고 있음

---  시 <무등을 보며>, <자화상(自畵像)>, <추천사(鞦韆詞)>, <화사(花蛇)>, <선운사 동구>

 

󰏐 서정주시인, 금년도 노벨문학상 후보 추천돼

 

미당 서정주시인(79)이 올해의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된 것으로 7일 알려졌다. 국제펜클럽 한국본부(회장 문덕수)는 지난해말 스웨덴 한림원으로부터 추천의뢰를 받고 철저한 보안속에 선정작업을 진행해 최근 노벨상 평의회에 미당을 한국측 후보로 추천했다고 이 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이 밝혔다. 이로써 미당은 지난 90년대 이어 두번째로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른 셈이다. 한편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매년 10월 초순께 확정, 발표된다.

 

󰏐 서정주시인 팔순잔치 열려

 

서정주 시인의 팔순잔치가 2일 오후 5시30분 강남구 삼성동 인터컨티넨탈호텔대연회장에서 각계 인사 8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미당의 팔순잔치는 60년가까이 시를 통해 한국문단에 큰 영향을 끼쳐온 시인의 노고를 치하하고 그의 문학적 업적을 재조명하기 위해 동국문학인회(회장 홍기삼)와 동국대 총동창회가 마련했다.

 

이날 축하연에는 정계에서 이민섭문체부 장관, 남재희노동부 장관, 황명수 민자당 의원, 강인섭민자당 의원 등이 참석했다. 종교계에서는 송월주 조계종 총무원장이, 학계에서는 민병천 동국대 총장이, 재계인사로는 이종대 유한킴벌리사장, 김태구대우자동차 사장 등이 참석했다.

 

문화예술계에서는 황명(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문덕수(한국펜클럽 회장), 곽종원(예술원회원인 평론가), 시인인 김요섭, 홍윤숙, 김남조, 이원섭, 황동규, 소설가 이문구씨 등이 자리를 같이했다. 또 이준, 오승우, 권옥연 화백, 무용가 김백봉, 원로체육인 손기정씨 등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팔순잔치에 앞서 오세영(서울대), 황현산(고려대), 이승훈(한양대) 교수등이 미당시 세계를 조명한 학술회의도 열렸다. 탤런트 이덕화씨의 사회로 진행된 축하연에서는 미당의 대표시 <자화상>, <귀촉도>, <무등을 보며>, <풀리는 한강가에서>, <꽃밭의 독백> 등이 탤런트 손숙씨를 비롯한 연예인과 후배시인들에 의해 낭송됐으며, 가수 송창식씨는 미당시에 곡을 붙인 <푸르른 날>을 불러주었다.

 

또 원광대 한국무용과 이길주 교수의 무용공연 <동천>과 명창 안숙선 씨의 판소리공연도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미당의 작품에 대한 해설과 평론중 좋은 글만을 골라 수록한 「미당서정주연구」(민음사간)도 봉정됐다.

 

󰏐 미당 서정주씨 시선집 아일랜드서 출간

 

한국시인 가운데 외국에서 시집이 가장 많이 번역, 소개된 未堂 徐廷柱 씨의 영역본 시선집 「떠돌이의 시」(영어제목: Poems Of A Wanderer)가 아일랜드의 데덜러스출판사에서 출간됐다.

 

대산재단(이사장 愼昌宰) 지원으로 경희대 영문과 케빈 오록교수가 영역한 이 시선집은 1941년 출간된 未堂의 처녀시집 「화사집」에서부터 1982년 나온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에 이르기까지 10권의 시집에서 1백20편의 시를 추려 실었다.

未堂의 시 전반에 걸쳐 두루 소개하고 있는 이 시선집은 특히 「동천」과「질마재신화」, 「떠돌이의 시」,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 등 未堂의 중기와 후기 시에 초점을 맞추어 소개했다.

 

未堂의 중기와 후기 작품들은 신라라는 신화적 세계와의 만남을 통해 발견한 영원한 생명에 대한 농밀한 명상, 험한 세상을 사는 사람들의 고통과 슬픔에 대한 자애로운 감응 등과 같은 원숙한 시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영역자인 오록교수는 "이제 한국문학의 해외소개는 단편적인 데에서 벗어나 문학적 업적이 뛰어난 한 작가의 전모를 통찰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소개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이번 未堂의 시집도 이런 생각에서 번역, 소개했다"고 밝혔다.

 

󰏐 <문학> 서정주문학 60년

 

서정주(徐廷柱, 81)시인이 시력(詩歷) 60년을 맞았다.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돼 나온 徐씨의 문단생활 60년을 맞아 최근 출간된 [시와 시학] 가을호는 특집으로 "미당문학 60년"을 꾸몄다.

 

이 특집에서 徐씨는 "나의 문학인생 7장"이란 장문의 글(2백자 원고지 60장)을 통해 시라는 한송이의 국화꽂을 피우기 위해 가슴 조였던 젊음의 뒤안길, 그 사상적 편력을 진솔하게 밝혀놓았다.

 

徐씨는 10대 중반의 중앙고등보통학교 재학시절 공산주의에 빠져들었다. "가난하고 불행한 이때 이 나라의 많은 민중들의 처참한 꼴을 보고 마르크스와 레닌의 경제적 균배(均配)주장이 좋은 해결책으로 보였기 때문"이었다.

 

좋은 가죽구두도 벗어던지고 노동자들의 "지까다비"를 신고 다녔으며 하숙도 학교 근처의 좋은 집에서 빈민촌으로 옮겨 가난한 사람들과 같이 살다 염병(장티푸스)에 걸려 사선(死線)까지 돌파했다. 1930년 광주학생사건 2차년도에는 중앙고보 주모자로 퇴학당하고 투옥됐다.

 

그러다 16살때 읽은 톨스토이의 "물질적 균배로서 인생의 행복을 두루 좌우하다니 그 무슨 엉터리 소리냐"는 외침에 감명받아 자유사상의 넓은 벌판으로 나아갔다." 넓다면 한정없이 넓고 깊다면 또 한정없이 깊은 인생에서 경제적인 균배만으로 그 해결책을 삼는 사회주의의 좁은 이해력"를 벗어났다는 것이다.

 

18살 때는 니체의 사람과 신을 일치시키는 인신(人神)이라는 초인격과 모든 비극의 철저한 극복의지에 빠져들었다. 또 니체의 "그냥 지나쳐 가기"가 "천하고 저속한 어리석은 사람들에게 동화하지 않고 인생의 순수한 것을 지켜내기 위해 아주 필요한 일"로 생각됐다고 밝히고 있다.

 

20대 후반인 일제말기에는 "거북이처럼 끈질기고 유유하게 이 난세의 물결을 헤치고 살아나가야 한다"는 인생관을 갖게 됐다. 그와함께 이조백자를 바라보며 한정없는 체념 속의 달관을 깨우치고 동양사상으로 회귀했다고 밝히고 있다. 徐씨는 또 "친일적이라는 시 몇 편이 있지만 그것은 징용에 끌려가지 않기 위해 국민 총동원연맹의 강제명령에 따라 어쩔수 없이 쓴 것들이니 이 점은 또 이만큼 이해해 주셨으면 고맙겠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한국 현대시의 최고봉임을 누구나 시인하는 徐씨,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역사성, 탈현실성을 공격받는 徐씨에게도 역사와 현실에 괴로 워하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은 있었다는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