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봄봄 / 줄거리 및 해설 / 김유정

by 송화은율
반응형

봄봄(193512, <조광> 2)

 

 

작가:김유정(金裕貞, 1908 - 1937)

강원도 춘천 출생. 휘문고보 졸업. 1927년 연희전문에 입학했으나 맏형의 금광 사업 실패와 방탕으로 집안이 기울자, 학교를 중퇴하고 한동안 객지를 방황하다가 1931년 경에는 강원도 춘성에서 야학을 열고 문맹 퇴치 운동을 벌였다. 1935년 단편 소낙비<조선일보>, 노다지<중앙일보>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순문예 단체인 구인회(九人會)에 가입하여 활동하기도 하였다. 대표작에는 소나기(1935), 노다지(1935), 금 따는 콩밭(1935) 등이 있다.

그의 작품 경향은 토속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농촌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농촌의 문제성을 노출시키면서 그것을 능동적으로 그리기보다는 웃음으로 치환시켰다. 그러나 그는 세계 인식의 방법에 있어서 냉철하고 이지적인 현실 감각이나 비극적인 진지성보다는 인간의 모습을 희화하므로서 투철한 현실 인식과는 거리가 멀었다.

 

등장인물

: 주인공. 작중 화자. 우직하고 순박한 머슴

장인 : ‘의 장인이 될 사람. 데릴사위라는 미명하에 일만 시키는 잔꾀 많은 주인. 배 참봉 댁의 마름으로 있음.

점순 : 깜찍하고 야무진 성격. ‘와 장인 사이에서 애매한 태도를 취함.

 

 

줄거리

 

장인님 ! 이젠 저.......”

내가 이렇게 뒤통수를 긁고, 나이가 찼으니 성례를 시켜 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하면 대답이 늘,

이 자식아 ! 성례구 뭐구 미처 자라야지 !”

하고 만다.

이 자라야 한다는 것은 내가 아니라, 장차 내 아내가 될 점순이의 키 말이다

 

내 아내가 될 점순이는 열 여섯 살인데도 불구하고 키가 너무 작다. 나는 점순이보다 나이가 십년이 더 위다. 점순네 데릴사위로 37개월이나 일을 해 주었건만 심술 사납고 의뭉한 장인은 점순이의 키가 작다는 이유를 들어 성례시켜 줄 생각은 하지도 않는다. 나는 돼지는 잘 크는데 점순이는 왜 크지 않는지고민을 하기도 한다. 서낭당에 치성도 드려 보고 꾀병도 부려 보지만 도통 반응이 없고 장인은 몽둥이질만 한다. 그러는 가운데 점순이는 나에게 성례를 시켜 달라고 장인에게 조르라고 투정을 부리기도 한다.

 

어느 날, 나는 점순이의 충동질에 장인과 대판 싸움을 벌였는데, 장인이 나를 땅 바닥에 메치자 나는 장인의 바짓가랑이를 움켜 쥔다. 장인은 놓으라고 헛손질을 하며 고함을 지르지만 나는 더욱 세게 움켜 쥔다. ‘할아버지를 연발하던 장인이 점순이를 부르자, 점순이와 장모가 나와 갑자기 장인의 역성을 드는 바람에 오히려 얻어맞기만 했다. 그러나 장인은 나의 상처를 치료해 주고 결국 가을에 성례를 시켜 준다는 약속을 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꼼짝도 못하게 해 놓고 장인남은 지게막대기를 들어서 사뭇 내려조겼다. 그러나 나는 구태여 피하려지도 않고 암만해도 그 속을 알 수 없는 점순이의 얼굴만 멀거니 들여다 보았다.

이 자식 ! 장인 입에서 할아버지 소리가 나오도록 해 ?”

 

해설

이 작품은 김유정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강원도 산골이라는 향토적인 배경에서 일어나는 해학적인 사건을 그리고 있다. 데릴사위라는 봉건 사회적인 모순된 제도를 상황으로 한 희극적 주인공 가 자기 나름대로 세상을 믿고 충실해 보지만 결과는 착각과 희극적인 장면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의뭉스런 주인과 그 주인이 사위삼겠다고 약속한 우직한 머슴 사이의 갈등이 익살스러운 문체로 형상화된다. 가난하고 무식하나 순결하기 그지없는 사내를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그에 걸맞은 토속어를 실어 가진 자들의 약삭빠른 세태주의를 꼬집으면서 한편에서 꾸밈없는 삶의 건강성을 일깨우는 김유정 문학의 걸작이다. 대부분의 평자들이 김유정 문학의 현실 규탄과 저항의 정신이 없음을 지적하지만 이 작품에는 최소한의 현실 비판과 풍자적인 정신이 내재되어 있다.

 

(갈래) 단편 소설, 토속적 소설, 향토적 소설

(문체) 향토적 어휘 속에 희극적 어투와 문당으로 작품의 분위기를 살리고 있음.

(주제) : 향토적 서정의 세계

인간 본연의 갈등과 그 해결

시골 남녀의 진솔한 사랑

(구성) : 단순 구성, 역순행적 구성.

의 회상에 의해 진행됨

(시점) : 일인칭 주인공 시점


봄봄이 웃음을 유발하는 요소

 

(1) 어리숙한 화자의 설정

화자 의 시선으로 사건을 진행시키고 있는데 는 순박하지만 어리숙한 인물이기 때문에 사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다. 장인은 그의 이런 면을 이용해서 노동력을 착취하는 간교한 인물인데 는 그것을 눈치채지 못한다. 그래서 독자들은 화자가 전해 주는 사태들을 그와 달리 이해하게 된다. 이처럼 화자의 인식과 독자들의 인식 사이의 거리가 웃음을 가져다 주는 조건을 구성한다.

 

(2) 서술 문체상의 특징

서술자 의 말투로 글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에 서술 어조는 구어와 방언, 의태어, 의성어 등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말을 전해 주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토속적이고 어리숙한 인물이 툭툭 내뱉는 듯한 말투는 작품의 분위기를 웃음 섞인 생동감으로 드러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언어 외적 표현이나 언어에 부수되는 표현을 이해하는 주변 상황들과 말투의 특징들을 풍부하게 제공한다.

 

(3) 점순이의 이중적 행동

점순이는 성례를 원하고 있고 가 장인에게 성례를 요구하도록 부추기지만 이런 꾀바른 행동 이면에는 자신이 직접 요구하기를 쑥스러워하는 소녀다운 수줍음을 감추고 있다. 그래서 점순이는 를 장인에 맞서도록 자극하지만 정작 장인과 대치할 때 장인의 편을 들어서 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이중적 행동을 하며 이러한 상황들이 독자들에게 웃음을 제공한다.

 

http://cbkh.com.ne.kr/korean/7sang/3-1봄봄.htm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