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배따라기 / 줄거리 및 해설 / 김동인

by 송화은율
반응형

배따라기(19215, <창조> 9)

 

 

 

작가:김동인(金東仁, 1900 - 1951)

평양의 갑부 김대윤의 차남으로 출생. 호는 금동(琴童). 어려서 일본 유학 명치학원 을 거쳐서, 아오야마 학원(靑山學院)에서 수학. 1919년 주요한, 전영택 등과 함께 <창조(創造)>를 창간함. 이광수 등의 계몽주의를 극복하고 본격적인 근대 소설인 사실주의를 표방함. 1926년 사업에 실패하여 생계를 위한 문필 활동을 함.

 

그의 작품 세계는 이광수의 계몽주주의에 맞선 사실주의, 신경향파 내지는 프로문학에 맞선 예술지상주의로 순수 문학 운동 전개로 묶어질 수 있다. 소설의 예술성을 주장하여 다양한 문학 사조와 수법을 구사하여 자연주의적 수법(약한자의 슬픔,1919)에서 낭만주의(배따라기,1921), 다시 자연주의(감자,1925)를 거쳐 유미주의(광화사,1935), 인도주의(발가락이 닮았다,1932), 민족주의(붉은 산,1932)등을 골고루 구사함.

 

등장인물

(주인공):질투심이 많은 인물. 아내를 잃고 동생을 찾아 유랑함.

아우:‘의 동생. 형수와의 관계로 형의 오해를 받고 유랑.

아내:미인형으로 명랑 쾌활함. 남편의 오해를 받고 바다에 투신 자살.

 

 

 

줄거리

 

좋은 일기이다.

 

좋은 일기라도, 하늘에 구름 한 점 없는 --- 우리 사람으로서는 감히 접근 못할 위엄을 가지고, 높이서 우리 조그만 사람을 비웃는 듯이 내려다 보는, 그런 교만한 하늘은 아니고, 가장 우리 사람의 이해자인 듯이 낮추 뭉글뭉글 엉기는 분홍빛 구름으로서 우리와 서로 손목을 잡자는 그런 하늘이다. 사랑의 하늘이다.

 

어느 화창한 봄날, ‘는 대동강으로 봄 경치를 구경나갔다가 영유 배따라기를 부르는 를 만난다. 이제부터 나는 그의 기구한 사연을 듣게 된다.

 

그는 영유 고을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어촌에서 살았다. 그의 부모는 모두 그가 어렸을 때 죽었고, 그는 곁집에 사는 그의 아우 부처와 자기 부처뿐이었다.그들 형제가 마을에서 제일 고기잡이를 잘하였고, 배따라기도 그들 마을에서 그들이 제일 잘 불렀다. 말하자면 그들 형제가 그 마을에서 대표적인 사람이었다. 그의 아내는 미모가 매우 절색인데다가 성격도 명랑하고 ,천진스러우며 쾌활하여 아무에게나 말 잘하고 애교를 부렸기 때문에 그는 아내에게 샘을 많이 하였다. 때문에 그는 가끔 그의 아내를 발길로 차고 때리기까지 한다. 싸움을 할 때는 옆에 사는 아우가 와서 말리기도 하는데, 그 때마다 그는 아우까지 때렸다. 그가 아우에게 그렇게 구는데는 그의 아내가 아우를 매우 친절히 대하기 때문이었다.

 

어느 날, 그가 아내를 주려고 거울을 사가지고 돌아오자 방 안에서는 기이한 장면이 벌어져 있었다. 방 안에있는 쥐를 잡는다고 그의 아내와 아우가 옷을 풀어 헤치고 있었던 것이다. 그의 아우는 수건이 벗겨져 목 뒤로 늘어지고, 저고리 고름이 모두 풀어져 있으며, 그의 아내는 머리채가 모두 뒤로 늘어지고 치마가 배꼽 아래로 늘어지도록 되어 있었으며 그를 보자 매우 당황해 하였다. 오해를 한 그는 그의 아내를 때려 그녀로 하여금 바다에 빠져 자살하게하고 그의 아우는 고향을 떠나게 된다. 그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아우를 찾아 정처없이 떠돌게 된다.

 

그리고 십년이 지난 어느 날 자신이 탄 배가 파선하여 정신을 잃고 물 위에 떠돌고 있었는데, 정신을 차리고 보니 고향을 떠났던 아우가 간호를 하고 있었다. 이때 동생은 형에게 운명임을 말한다. 그리고는 다시 아우를 만나지 못한 채 그는 유랑 생활을 계속한다.

 

모란봉과 기자묘에 다시 봄이 이르러서, 작년에 그가 깔고 앉아서 부러졌던 풀들도 다시 곧게 대가 나서 자주빛꽃이 피려 하지마는 끝없는 뉘우침을 다만 한낱 배따라기로 하소연하는 그는, 이 조그만 모란봉과 기자묘에서 다시 볼 수가 없었다. 다만 그가 남기고 간배따라기만 추억하는 듯이 모든 잎잎이 속삭이고 있을 따름이다.

 

해설

배따라기배떠나기라는 말에서 유래된 서도 잡가의 하나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배따라기영유 배따라기로서 비나이다. 비나이다./ 산천후토 일월성신 하나님 전 비나이다./ 실날 같은 우리 목숨 살려 달라 비나이다./ - 야 어그야지야. (하략) ” 라고 시작된다. 이 작품의 핵심 구절은 형님, 거저 다 운명이외다.” 하는 아우의 말이다. 작자가 바로 이 작품을 쓰게 된 목적도 운명의 힘을 거역하지 못하는 가냘픈 인간의 비애와 한을 그리려는데 있었다.

 

이 작품은 액자 소설로 되어 있다. 액자 소설이란 쉽게 말해서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를 포함하는 소설이다. 이로 인하여 시점의 이동이 생긴다. 액자 소설은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인해 주제와 시점이 이중으로 설정된다. 이 소설의 바깥 줄거리의 주제는 가 이야기하는 진시황 예찬론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데, 아름다움은 모든 것의 희생 위에서 비로소 나온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형제 간의 진정한 우애도 인간이 추구해야 할 아름다움으로 볼 때 두 형제의 끝없는 방황은 희생의 한 형태에 해당한다.

 

(주제) 오해가 빚은 형제 간의 비극

(구성) 액자 구성

(갈래) 단편 소설, 본격 소설, 액자 소설

(시점) 1인칭 관찰자, 전지적 작가 시점의 혼용

(경향) 낭만주의적, 유미주의적 경향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