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반극(反劇, anti-drama)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반극(反劇, anti-drama)

 : 20세기에 들어와 인류는 정신적 혼돈과 불안 속에서 방황하게 되었는데, 특히 1차 대전 후의 기성 가치의 몰락과 폐허 속에서 정신적 방황은 더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새로운 문예 사조로 등장한 것이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입체주의, 다다이즘}등이다. 근대주의적 합리주의에 대한 거부로 문학에서는 독일을 중심으로 한 {표현주의}가 희곡으로 발전하는가 하면, 시에서는 초현실주의가 풍미하게 되었다.

 

이런 작품들의 특징은,

 언어의 문법을 무시한 단어의 생략, 혹은 짧은 단어의 응축된 표현

 전보문과 같은 문체, 속도감 있는 대화

 절규, 탄식, 연설류의 대화

 충동적, 파괴적 행위와 동작

 전통적 플롯의 거부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희곡의 {표현주의} 1950년대 들어 베케트, 이오네스코의 등장으로 반극 또는 앙티 테아트르(anti-theatre)의 경향과 접합, 이오네스코의 <의자>, <수업>,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등의 탄생을 낳았다.

 

이런 반극 운동은 소설의 앙티-로망(누보 로망) 내면 경험의 시간적 기술과 극사실적 묘사 방법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주제 의식의 표현에 기반을 둔 {부조리극, 상황극}이 현대 희곡의 특징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오학영, 이근삼에 의해 리얼리즘의 배제라는 새로운 희곡 의식이 대두되었다. 오학영의 <닭의 의미>, 이근삼의 <원고지> 등의 작품이 대표적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