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民謠)의 개념과 특징
by 송화은율민요(民謠)
1. ‘민요’의 분류
① 기능에 따라 :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② 가창방식에 따라
· 선후창 : 한 사람의 선창자, 한 사람(혹은 다수)의 후창자
( 논매기 노래, 상여소리 등)
· 교환창 : 다수의 선후 창자가 서로 변화된 가사를 부름
( 모내기 노래)
· 제창 : 다 함께 부름
( 아리랑)
·독창
③ 창자에 따라 : 남요(男謠), 부요(婦謠), 동요
2. 율격과 효과
① 4음보 : 민요 중 가장 많음 <시집살이요>
② 3음보 : 4음보보다 좀 경쾌한 느낌 <아리랑>, <한강수타령>
<전봉준 노래>
봉준아 봉준아 전봉준아 / 양이야 양철을 짊어지고 / 놀미 갱갱이 패진했네
③ 2음보 : 급박한 느낌
<보리타작노래>
옹해야 / 옹해야 // 잘도 한다 / 옹해야 //
이 보리를 / 옹해야 // 뚜디리고 / 옹해야 //
민요의 전반적인 특징
민요는 노래로 된 구비전승이다. 민요는 노래이기에 음악이면서 문학이고, 그 가사는 율문으로 되어 있다. 노래가 아닌 것은 민요가 아니다. 설화,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등은 모두 구비전승이기는 해도 노래는 아니다. 민속극은 부분적으로 노래이고 율문이나 전편(全篇)이 다 그렇지는 않다.
또한 구비전승이 아닌 것은 민요가 아니다. 어느 특정 개인이 일시에 작사, 작곡해서 부르는 노래는 구비전승이 아니기 때문에 민요가 아니다. 모든 구비전승이그렇듯이 민요는 공동작이면서도 개인작이지, 개인작만으로는 성립되거나 존재할 수 없다.
민요는 비전문적인 민중의 노래다. 전문적인 특수집단의 노래는 민요가 아니다. 무가는 무당이라는 종교적 특수집단의 노래이기에, 불가도 승려라는 종교적 특수집단의 노래이기에 둘 다 민요에서 제외된다. 소위 잡가(일명 속가, 속요로서 산타령, 육자배기 등)는 전문적이기도 하지만, 널리 불리기에 넓은 의미의 민요에 포함시킨다. 민요는 기억의 부담이 그리 많이 않을 뿐 아니라 단순해서 의식적인 수련없이도 배울 수 있다. 세련되어 있느냐 단순하냐 하는 것은 예술적 가치와 관계없는 것이다.
민요는 민중들이 널리 부를 뿐만 아니라 그 음악적·문학적 성격도 민중적이다. 가곡, 가사, 시조는 평민가객이 불러도 지적이며 점잖은 노래라는 점에서 양반문학의 일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가와 불가는 종교를 기반으로 한 노래들이기에 반드시 광범위한 민중적 공감을 자아낸다 할 수 없다. 그러나 민요는 민중이 민중의 생활·감정·사상을 솔직하게 나타내는 노래다.
설화, 속담, 수수께끼도 민중의 것이지만 민중이 지배층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민요는 민속극과 함께 순수하게 민중만의 예술이며 문학이라 할 수 있다. 민중은 생활상의 필요성에서도 민요를 불러야만 했다.
민요는 생활상의 필요성에서 唱者가 스스로 즐기는 노래다. 민요의 대부분은 일정한 생활상의 필요성 때문에 존재한다. 즉 노동을 하거나 의식을 거행하거나, 유희를 하면서 부른다. 그러나 설화, 판소리 등에서는 생활상의 기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설화, 판소리, 수수께끼 등은 창·화자와 청자의 관계에서만, 그리고 창·화자가 청자에게 들려주기 위해 존재하나, 민요의 경우는 이와 다르다. 민요는 창자만으로도 존재하는 自足的 성격을 지닌다.
그러므로 민요는 창자 자신에게 충실한다. 창자인 민중의 의식을 충실히 반영하면 되지 다른 누구에게 평가 받을 필요가 없다. 이 점은 판소리와 대조를 이룬다. 그러기에 판소리는 민중의 문학이면서도 양반을 흉내내어 양반 청중의 호감을 얻으려고 하나 민요는 오직 민중의 문학일 뿐이다.
노트
1. 민요의 문학적 위치
(1) 시가 발생의 원초적 형태
(2) 시가의 종가(宗家) (3) 노래가사는 시(詩).
2. 민요의 성격
(1) 음악 : 민중적 소산 (2) 민속 (3) 문학 : 시(詩)
3. 민속학 측면
(1) 민족문화유산 계승, 민족성 반영
(2) 생활상 내포
(3) 향토성을 지님
* 경기민요 - 淸·和·閑·雅(맑고, 온화하고 여유있으며 우아함)
* 호남민요 - 柔和(부드럽고 온화함, 구성짐)
* 영남민요 - 웅장하고 위압적
4. 한국민요의 특징
(1) 내용상
* 소박하다 - 다듬지도 못했고 세련되지도 못하지만 소박함
(2) 형식상
* 후렴과 반복음 자주 사용
- 후렴 : 노동요, 서정적 노래에 많음-흥겹고 부르기 쉬움
- 반복음 : 음악적 특생을 지님, 창자는 다음 가사 생각, 시간여유
* 주로 4·4조를 이룸
* 타협해서 평화를 누리는 내용
- 대립, 갈등을 피하고 원만한 해결을 시도하는 너그러움
(인내의 미덕이 나타남 처첩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노래)
* 해학성이 풍부함, 재치, 재담, 힘을 안 들이고 즐김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