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목근 통신(木槿通信) - 일본에 보내는 편지 / 본문 일부 및 해설 / 김소운

by 송화은율
반응형

목근 통신(木槿通信) - 일본에 보내는 편지 : 김소운

 

친애하는 일본의 국민 여러분!

 

나는 대한민국의 총리도 국민 대표도 아닙니다. 포의 서생에 지나지 않는 일개인이 이런 전치사로 여러분을 부르는 것이 혹시 외람될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나는 20 몇 년이란 긴 세월을 귀국에서 자랐습니다. 우리 나라 말로 '잔뼈가 굵어지도록' 20 몇 년이라면 당신네들이 '종전'이라고 부르고 우리가 소위 '해방'이라고 하던 1945년까지로 마감해서 내 생애의 거의 3분지 2에 해당합니다. 그렇게 긴 세월을 나는 귀국의 우로에 자랐습니다. 내가 가진 변변치 못한 지식이나 교양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그 태반은 일본에서 얻어 온 것입니다.

 

'친애'란 말이 일편의 외교 시령이 아닙니다. 진정 여러분에게 보낼 수 있는 내 마음의 인사입니다.

 

나는 3, 4일 전에 어는 친구 집에서 30여 년이 지난 헌 기록 사진 몇 장을 보았습니다. 우리가 기미 운동이라고 부르는 이른바 대정 8년의 '독립 소요 사건' 때 당신네들 손에 학살당한 그 처참한 송장들의 사진을 내가 그날 처음 본 것은 아닙니다. 20여년 전 토오쿄오 게라구 고우(東京下落合)의 오끼노 선생 댁 서재에서 본 것도 바로 이 사진이었습니다. 그러나 나무에다 주렁주렁 목을 달아 메어 죽인 그 사진을 그 날 다시 대했을 때 내 감정은 새로 한 번 설레었습니다.

 

'죽일놈들 같으니 이 죄값으로도 나라가 안 망할라구!'

 

그 때 내 입으로 복받쳐 나온 말이 이것입니다. '왜적'이니 '강도 일본'이니 하는 말로는 형용치 못 할, 더 한결 절실한 미움이 용솟음친 것을 고백합니다.

 

'미움'과 이 '친애'는 둘 다 에누리 없는 내 진실의 감정입니다. 이 서로 상반되고 모순된 두 감정을 그냥 그대로 전제해 두고 이 글 하나를 쓰자는 것이다.

 

(하)

 

 


 요점 정리

 작자 : 김소운

 형식 : 수필, 서간문

 성격 : 충고적, 설득적

 주제 : 일본 지식인에게 호소

 

 내용 연구

 포의 : 베옷. 벼슬이 없는 선비

 냉한 삼두(冷汗三斗) : 식은 땀이 세 말이라는 뜻.

 암의 : 숨겨진 뜻.

 일시동인 : 모든 사람을 똑같이 사랑함.

 바로미터 : 척도. 기준

 메퓌스트 회레스 : 파우스트에게서 영혼을 산 악마.

 구원(久遠) : 오래된.

 흉금 : 속마음

 호도하다 : 일시적으로 우물우물 덮어버리다.

 가미가제 : 자살 특공대

 

 이해와 감상

 목근통신(木槿通信)은 김소운(金素雲)의 서간 수필집으로 1952년 대구 영웅사(英雄社) 간행하였고, 작가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경험하면서 일본에 대해 느낀 바를 진솔하게 써내려간 수필이며 ‘일본에 보내는 편지’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1951. 8. 부산’이라고 처음 쓴 때와 곳을 밝혔다. 같은 해 11월에 일본 '중앙공론(中央公論)'에 일역(日譯)으로 전재(轉載)되어 큰 물의를 일으켰다. 이 수필은 그 뒤 수필집 '마이동풍첩(馬耳東風帖)'(54) '삼오당잡필(三誤堂雜筆)'(55) '희망은 아직 버릴 수 없다'(65) '건망허망(健忘虛妄)'(66) 등에 계속 전재되었다. 73년의 '목근통신'(삼성문화문고 37)에는 “이것으로 마지막 결정판을 삼을 생각이다”라는 필자의 서문이 있다. 이 수필은 34년 동안 일본에 체류하면서 13세 때부터 몸소 겪은 일본의 생리를 편지 형식을 빌어 그 곳 지성인들의 양식에 호소하고 충격을 준 글이다. 그 스스로 문필생활의 큰 보람을 안겨다 주었다고 말한 이 수필은 한국에서 널리 회자되는 명문 중의 하나이다.

 

 심화 자료

 김소운(金素雲)   

1907∼1981. 시인·수필가·번역문학가. 본명 교중(敎重). 광복 후 소운(素雲)으로 개명. 호는 소운(巢雲), 필명은 삼오당(三誤堂). 부산 출신. 1919년 옥성보통학교 4년을 중퇴하고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 가이세이중학교(開成中學校) 야간부에 입학하였다가,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중퇴하였다.

 

1929년에는 매일신보 학예부원으로 근무했으며, 1931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기까지 아동교육기관을 경영하여 청소년 교육에 힘썼다. 1948년에는 주간지 ≪청려 靑驢≫를 발행, 발매금지를 당하기도 하였다.

 

1952년에는 베네치아 국제예술가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한 바 있고, 그 뒤 일본에 체류하는 동안 1956년 ≪코리안 라이브러리≫를 발행, 주재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 활동은 1923년 ≪시대일보 時代日報≫에 시 〈신조 信條〉를 발표하면서부터 시작되었고, 1925년에는 첫 시집 ≪출범 出帆≫을 간행하려다가 인쇄비 미납으로 이루지 못하였다.

 

그의 활동분야는 상당히 다방면에 걸쳐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에 한국 문학을 번역 소개한 것이다.

 

1927년 ≪조선의 농민가요≫를 일본의 ≪지상낙원 地上樂園≫지에 번역, 소개하면서 시작된 그의 한국 문학 번역 작업은 민요·동요·동화·현대시·사화(史話) 등 여러 부분에 걸쳐 폭넓게 이루어졌다.

 

그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조선구전민요집 朝鮮口傳民謠集≫(1933)·≪조선동요선 朝鮮童謠選≫(1933) 및 ≪조선민요집 朝鮮民謠集≫(1941)과 일본어 번역시집으로 ≪유색(乳色)의 운(雲)≫(1941), 한국의 시를 일문으로 번역한 ≪조선시집 朝鮮詩集≫(194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두가 좋은 번역으로, 한국 문학의 바른 모습을 일본인들에게 알리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특히, 3년여의 편집과 번역 끝에 완수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공동 출판한 ≪한국현대문학선집 韓國現代文學選集≫(1976) 전 5권은 이 방면의 그의 업적을 총결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는 한국 수필문학사에서 현대를 대표하는 중요한 수필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첫 수필집 ≪마이동풍첩 馬耳東風帖≫(1952)을 낸 뒤부터 ≪목근통신 木槿通信≫(1952)·≪삼오당잡필 三誤堂雜筆≫(1955) 등 8권의 수필집과 ≪은수삼십년 恩讐三十年≫(1954) 등 3권의 일문(日文)으로 된 수필집을 내기도 했다.

 

1978년, 그 동안의 수필을 총 정리한 ≪김소운수필전집≫ 전5권을 간행하였다. 그의 수필은 유려한 필치로 사회와 인생의 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자의 또는 타의에 의하여 34년간 일본에 체류하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과의 관계를 다룬 글들이 많은 것도 그의 문학 활동의 큰 특징이다. 단순하게 반일이나 친일의 입장을 떠나서 객관적으로 일본을 바로 알고 그들의 장점을 배우자는 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또한, 일본인들의 한국에 대한 이유 없는 멸시에 대해서 강력한 항의나 분노를 표시하고 있는데, 특히 그 가운데에서도 일본인에게 보내는 공개장의 형식으로 쓰여진 장편수필 〈목근통신〉은 ≪대한일보 大韓日報≫에 연재된 뒤(1951) 일본의 저명한 소설가 가와바타(川端康成)의 소개로 ≪중앙공론 中央公論≫지에 번역, 소개되어 일본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1977년에 한국번역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기타 저서로는 수필집 ≪희망은 아직 버릴 수 없다≫(1964)·≪물 한 그릇의 행복≫(1968), 동화집 ≪보리알 한톨≫(1952) 등이 있고, 편저로는 ≪한일사전≫(1968)이 있다.

 

 ≪참고문헌≫ 金素雲수필의 의미-私見과 結晶作用-(元亨甲, 隨筆文學, 1976.8.), 번역으로 표현한 창작의 열정-번역문학가로서의 金素雲-(柳星, 文學思想, 1981.12.), 金素雲文學과 生의 초상화(崔博光, 文學思想, 1981.12.), 隨筆文學家 金素雲(朴演求, 隨筆公苑 4, 1983).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