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해연습8 / 과학자와 상업주의

by 송화은율
반응형

 

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우리는 건국이래 나라의 발전과 생존을 위하여 나라 안팎의 갖가지 시련을 극복해 가면서 새로운 가치관에 입각한 힘있는 文化國家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의 체질, 우리의 가치관, 우리의 문화 유산과 유리된 문화가 성립되어서는 안된다. 결코 歐美文化縮小版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의 가치관인 은 좋은 智慧이며, 歐美의 가치관인 科學性, 合理性은 좋은 지식이므로 우리는 이들을 화합시켜 새로운 가치관을 만들어 나가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우리 학문의 이념이요, ‘實事求是, 利用厚生이 바로 그 이념의 基調가 되는 것이다.

 

학문 중에서도 과학과 기술의 역할은 지극히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 국민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기대는 歐美各國의 그 나라 과학기술자에 대한 기대와는 질적으로 다르다. 선진국에서의 과학자와 기술자는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과 대등한 위치에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그렇지 않고 聖職視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 그 이유는 그들이 일반인과 달리 專門人으로서 우리의 死活이 걸려 있는 중요한 일을 맡고 있고 과학의 진흥과 기술의 혁신을 통해 우리가 살아갈 길을 모색하기 때문이다.

 

선진국에서 막대한 돈과 줄기찬 노력으로 성취한 과학과 기술을 우리 과학자와 기술자는 현명하게 수용, 소화하여 이 땅에 정착시키고 그들을 추월하기 위해 새로운 창조뿐만 아니라 유용한 개발까지도 해 주기를 국민들은 갈망하고 있다. 국민들은 우리 나라 과학자와 기술자들이 행여나 선진국 학자들의 논문을 모방 또는 표절하거나 불필요한 유행만 따라가고 자기 주장을 위한 축적을 기피하지나 않을까 하고 상당히 걱정하고 있다.

 

우리 국민은 전문 지식이 풍부하고 처신이 지혜로운 과학자와 기술자를 갈망하고 있다. 또 국민들은 우리 나라 과학자와 기술자가 조국 선진화의 기수가 되어 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국가관이 확실하고 科學造物主의 역할을 다하는 통찰력 있는 자를 국민들은 원하고 있다.

 

그런데 이른바 우리 나라의 과학기술자라고 하는 사람들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자세는 과연 학자다운가? 세상이 다 돈과 권력의 세상인데 어찌 우리 과학기술자만이 초연하라고 바라는 것이 안타깝다고 반문하는 이들도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 같은 반문은 선진 歐美國家에서는 성립될는지는 모르겠으나 이 시대, 이 시점, 이 땅에서는 성립될 수 없다고 본다.

 

선진국에서는 과학 기술자가 다른 직업인과 대등한 대우를 받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학자와 학문에 대한 전통 가치관과 현실적인 중요성 때문에 그들보다는 월등히 높은 사회적 예우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時流便乘하지 않고 오직 외길로 한평생을 매진하거나 대대로 이어가는 學問風土와 학자적 양심만이 거룩하고 위대한 창조를 낳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더불어 학자를 키워주고 아껴 주는 터전을 마련하고 분위기를 조성하는 일은 정책 당국이 맡아 주어야 할 것이다. 물질 만능의 탁류 속에서 그들을 건져내 보호해 줄 수 있는 국가 사회는 위대한 과학과 과학자를 가질 수 있는 국가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과학자와 상업주의>


1. 윗글에 제시된 과학 기술자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100자 내외로 쓰라.

 

이 글은 국민의 기대를 근거로 과학기술자를 설득하고자 쓴 것이다. 따라서 국민들이 기대하는 바와 필자의 주장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국민들의 기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부분은 넷째와 다섯째 단락이거, 필자의 주장을 내세운 부분은 여섯째 단락부터이다.

 

국민들은 과학기술자들이 선진국의 과학과 기술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창조 발전시키며 풍부한 전문지식을 지니고 지혜롭게 처신하여 조국 선진화의 기수가 되어 줄 것을 갈망하고 있다.

 

2. 윗글을 내용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중심 내용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라.

 

내용단락으로 나누고 요지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형식단락의 요지를 정리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각 형식단락의 요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는 나라의 발전과 생존을 위해 새로운 가치관에 입각한 문화 국가를 만들어 가고 있다.

, 과학성과 합리성을 화합시켜 새로운 가치관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의 학문 이념이다.

우리 국민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기대는 구미 각국의 경우와는 질적으로 다르다.

국민들은 과학자와 기술자들이 선진국의 과학과 기술을 현명하게 수용하여 토착화시키고 그를 추월하기 위해 창조와 개발을 해 주기를 갈망하고 있다.

국민들은 전문 지식이 풍부하고 처신이 지혜로운 과학자와 기술자를 갈망하고 있으며, 국가관이 확실하고 과학 조물주의 역할을 다하는 통찰력 있는 자를 원한다.

우리의 현실에서는 과학기술자만이 초연하라고 바라는 것이 안타깝다는 주장은 성립될 수 없다.

우리 나라에서의 과학기술자는 선진국과는 달리 월등히 높은 사회적 예우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 오직 외길로 한평생을 매진하거나 대대로 이어가는 학문 풍토와 학자적 양심만이 거룩하고 위대한 창조를 낳을 수 있다.

정책 당국은 학자들을 키워 주고 아껴주는 터전을 마련하고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여기에서 글의 흐름에 따라 단락을 나누어 보면, ⑴⑵ / ⑶⑷⑸ / ⑹⑺ / ⑻⑼로 된다. ‘도입 - 전개 - 전환 - 결말4단 구성으로 짜여 있다. 즉 우리 학문의 과제 - 과학기술자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 - 학자들의 잘못된 자세 - 바람직한 학자의 가세로 정리된다.

 

첫째부분 : 우리는 나라의 발전과 생존을 위해 새로운 가치관에 입각한 문화 국가를 만들어 가고 있는데, 그러한 가치관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 학문의 이념이다.

 

둘째부분 : 우리 국민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기대는 그들이 선진 과학과 기술의 주체적 수용과 창조를 위한 노력, 풍부한 전문지식, 지혜로운 처신, 확실한 국가관과 통찰력 등을 갖추는 것이다.

 

셋째부분 : 우리의 과학기술자들은 선진국보다 월등히 높은 사회적 예우를 받기 때문에 과학기술자만이 초연하라고 바라는 것이 안타깝다는 주장은 성립될 수 없다.

 

넷째부분 :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 외길로 한평생을 매진하거나 대대로 이어가는 학문 풍토와 학자적 양심만이 거룩하고 위대한 창조를 낳는 것이며 이를 위해 정책 당국은 학자를 육성, 보호하는 터전과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3. 윗글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600자 내외로 요약하라.

 

자연스러운 글이 되려면 ,의 요지는 한 문장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좋다. ,의 경우도 적절하게 변형시켜 진술해야 한다.

 

우리는 나라의 발전과 생존을 위해 새로운 가치관에 입각한 문화 국가를 만들어 가고 있는데, , 과학성과 합리성을 화합시킨 새로운 가치관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 학문의 이념이다.

 

학문 중에서도 과학과 기술의 역할이 지극히 중요하기 때문에 과학기술자들에게 그들이 선진국의 과학과 기술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창조 발전시키기를 갈망하며, 전문 지식이 풍부하며 처신이 지혜롭고 국가관이 확실하고 통찰력을 지닌 자가 되기를 바란다.

 

이러한 기대에 대해 세상이 다 돈과 권력의 세상인데 어찌 우리 과학기술자만 초연해야 하는가를 반문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에서는 이러한 반문이 성립될 수 없다. 선진국의 과학기술자들이 다른 직업인과 대등하고 사회적인 예우가 평준화된 것과는 달리, 우리 나라에서는 과학기술자들이 사회적으로 월등히 높은 대우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거나 대대로 이어가는 학문 풍토와 학자적 양심만이 거룩하고 위대한 창조를 낳을 수 있다. 아울러 정책 당국은 학자를 육성, 보호하는 터전을 마련하고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