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해연습1 / 공자, 인간과 신화

by 송화은율
반응형

 

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민주 정치에서는 궁극적인 권력이 국민 전체에게 있지만, 전체 국민은 정치 방면에 관한 한 아마추어보다도 훨씬 못한 것이 보통이다. 왜냐하면 아마추어는 애호가이지만, 민주 정치 아래서의 국민들은 정치 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반드시 좋아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은 정치에 만족하면 할수록 정치 참여에는 더욱 더 무관심해진다. 그러므로 어느 의미에서 훌륭한 민주 정치는 바로 민주 정치의 최대의 적인 셈이다. 왜냐하면 국민이 감시를 게을리할 때는 민주주의의 적이 국가를 장악할지도 모른다는 위험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또 민주주의는 보다 미묘한 지적 딜레마에도 봉착하고 있다. 정치 철학자들은 협동적인 국가의 국민은 정부를 신뢰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공자와 견해를 같이한다. 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은 정부의 목적은 물론 그 방법을 결정하는 데도 일정한 참여를 해야 하므로 정치의 기본적인 철학에 대해 어느 정도의 합의점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민주주의는 국민에게 그런 철학을 지정할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어떤 신념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비판이나 토론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든가, 문젯거리가 될 이유가 없다든가 하는 따위의 주장은 할 수가 없다. 바로 이 때문에 지금까지도 민주 정치는 독재 정치의 선전에 취약점을 보여 왔지만, 앞으로도 항상 그럴 것이 틀림없다. 이에 대항하여 민주주의는 스스로 자신을 지키지 않으면 안 되지만, 그렇다고 언론 자유의 정당한 행사를 금지해서는 안된다.

 

민주주의를 위한 최대의 싸움은 악에 대한 극적인 투쟁이 아니라, 개개인의 마음 속에서 조용히 진행되는 <권태>에 대한 투쟁이라는 것을 공자는 인식하였던 것 같다. 독재 정치는 겉으로만 화려하거나 모든 문제를 최종적으로 해결한다는 따위의 구호로 사람을 유혹한다. 그러나 민주 정치는 소박한 인간의 긍지와 인류의 행복을 위해 부단히 일할 수 있는 기회만을 제공할 뿐이며, 그 보상은 계속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뿐이다.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은 결코 끝이 있을 수 없으며, 정적(靜的)인 완벽성을 의미하는 완벽한 국가나 정치 제도는 민주주의의 최고 목표가 될 수 없다. 사물이 변화하는 것을 정지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환상이 기 대문이다. 민주주의가 바랄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간을 만드는 것뿐이다.

 

㈑ ㉡ <“인간은 ()’를 확충시킬 수 있지만 ()’는 인간을 확충시킬 수 없다.”> 이것은 오늘날 민주주의적인 생활이라고 하는 것과 유사하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공자는 근대 민주주의에서 이따금 연상되는 것보다 더 큰 열정과 열의를 갖고 그것을 주장하였다는 점뿐이다. 이러한 열의가 없으면 협동적인 사회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공자는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공자는 인간을 신뢰하였다. 물론 그는 모든 사람을 다 신뢰할 정도로 순진 무구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인간은 대부분 성실한 존재라고 믿었다. 그는 모든 사람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지만, 협동적인 국가의 진정한 구성원으로 만들기 위하여 모든 사람에게 일정한 교육을 베풀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그 중에서 유능하고 유덕한 자질을 보인 사람들은 더 많은 교육을 시킨 후 권력 있는 자리에 앉히자고 제안하였다. 일단 그 자리에 앉은 사람들은 자기가 생각하는 최선의 판단에 따라 정치를 해도 좋다는 것이 공자의 생각이었다. 그는 장기적으로는 일반 백성도 관리의 잘잘못을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믿은 것이다.

 

<H. G. 크릴, 공자, 인간과 신화>


1. 윗글 전체의 내용을 30자 내외 (띄어쓰기 포함)로 쓰라.

 

윗글의 ··에서는 현대의 민주주의에 나타나는 일반적 현상이 기술되어 있고, ·에서는 공자의 인간에 대한 신뢰와 협동적인 사회를 건설하려는 공자의 현실적인 방책이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윗글은 현대적 시각에서 공자의 사상에 나타난 민주주의적 성격을 고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공자의 정치 사상은 현대 민주주의 사상과 밀접한 관련(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

 

2. 윗글에 근거하여 이 의미하는 바를 세 어절이나 네 어절로 쓰라.

 

민주주의 정치 제도는 완벽한 것도 완성된 것도 아니다. 따라서 기존 정치에 만족하는 것은 그 발전의 가능성을 포기하는 것이다. 또한 국민이 현실의 정치에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보이지 않는다면 독재 정치와 같은 민주 정치의 최대 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독재 정치와 같은 비민주적인 정치가 등장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적극적인 관심이 있어야 한다. 의 중간 부분에 정치 참여의 무관심이란 표현이 나온다.

정치 참여에 대한 무관심

 

3. 윗글에서 공자의 사상적 기반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문장을 찾아 첫 어절과 끝 어절을 쓰라.

 

공자의 민주주의적 사상과 민주주의적 생활 방식의 권장은 현실을 이끌어 나가는 인간에 대해 신뢰가 없다면 실현이 불가능한 것이다. 공자의 인간에 대한 신뢰는 현대 민주주의에서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인간 존중의 사상과 접목된다.

공자는 신뢰하였다.

 

4. 윗글에 근거하여 의 의미를 50자 내외(띄어쓰기 포함)로 풀어 쓰라.

 

동양 사상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는 인간이 지향해야 할 궁극적인 경지다. 그런데 의 의미에 의하면 인간은 고정된 도에 자신을 종속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체적으로 도를 확충해 나가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 표현은 현실을 더욱 더 이상적인 상태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인간의 주체적인 노력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의 원문은 人能弘道 非道弘人(인능홍도 비도홍인)’이고 본문의 확충시킨다의 의미는 넓히고 충족되게 만든다는 뜻으로서 원문의 넓을 홍()’자를 의역한 것이다.

인간의 ()’에 수동적으로 지배당하는 것이 아니라 ()’를 주체적능동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존재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