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해연습2 / 현대 학문의 조류와 그 전망

by 송화은율
반응형

 

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분석 철학자들은 철학이 지니고 있는 가장 큰 과제는 철학을 답보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렇지 않으면 철학은 발전하는 다른 과학자들에 발맞추지 못해 영구히 낙후하고 말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들은 철학의 (  ㉠    )를 목표로 내걸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그들은 다음 둘을 강조했다. 하나는 검증 원리이고 다른 하나는 이상 언어(理想言語)의 창조이다.


검증 원리란 경험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 명제만이 의미 있는 명제로 된다는 것을 규정한 원리이다.를 목표로 내걸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그들은 다음 둘을 강조했다. 하나는 검증 원리이고 다른 하나는 이상 언어(理想言語)의 창조이다.

지금까지 철학자들은 너무나 함부로 말해 왔다. 입으로 뱉기만 하면 그 말들이 모두 의미 있는 말이 되는 줄로 믿었다.

물론 그것들은 심리적인 혹은 정서적인 의미를 지닐 수는 있다. 그러나 그 말들의 대부분은 사실적으로나 지적으로는 의미 없는 말이었다. 검증 원리에 의하면 어떤 명제가 지적인 의미를 지니려면 그것은 경험적으로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원리가 부연해서 뜻하는 것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길이 없는 초월적인 것에 대한 언급은 회피해야 하고 진()()로 가릴 객관적 기준을 지니고 있지 않는 정적인 (혹은 심리적) 의미의 명제는 철학의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한마디로 말하면 형이상학적인 주장들은 무의미한 명제이므로 배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검증 원리는 어떤 명제가 의미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기준의 역할을 하는 것인 동시에, 분석 철학자들의 반()형이상학적인 정신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원리인 것이다.

 

다음으로 분석 철학자들은 철학의 (  ㉡    ) 를 위해 이상 언어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상 언어는 다의적(多義的)인 언어이다. 말의 뜻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 한 말이 그 속에 여러 가지 뜻을 지니고 있으며 쓰여지는 문맥에 따라 서로 다른 뜻을 나타낸다. 이로 말미암아 말하는 이와 그것을 듣는 이 사이에 의미의 전달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철학이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한 이유 중의 하나는 그것이 이러한 성질의 일상 언어를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플라톤의 작품은 그것을 읽는 사람에 따라 그 해석이 다르다. 따라서 플라톤에서 출발해서 철학이 앞으로 나아가질 못하고 플라톤에 대한 해석에서 머물게 된다. 그 이유는 그 내용이 사실적이 아니고 형이상학적인 것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그것이 다의적인 일상 언어로 사용된 것에도 연유한다.


과학이 짧은 기간 동안에 큰 성과를 나타낸 것은 그것이 사실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이유밖에 그것이 일의적(一義的)인 언어(수리적 기호와 화학 기호)를 사용한 데 기인된다.를 위해 이상 언어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상 언어는 다의적(多義的)인 언어이다. 말의 뜻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 한 말이 그 속에 여러 가지 뜻을 지니고 있으며 쓰여지는 문맥에 따라 서로 다른 뜻을 나타낸다. 이로 말미암아 말하는 이와 그것을 듣는 이 사이에 의미의 전달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철학이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한 이유 중의 하나는 그것이 이러한 성질의 일상 언어를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플라톤의 작품은 그것을 읽는 사람에 따라 그 해석이 다르다. 따라서 플라톤에서 출발해서 철학이 앞으로 나아가질 못하고 플라톤에 대한 해석에서 머물게 된다. 그 이유는 그 내용이 사실적이 아니고 형이상학적인 것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그것이 다의적인 일상 언어로 사용된 것에도 연유한다.

 

과학적 결과는 일의적인 기호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그것을 읽는 사람은 누구나 같은 이해에 이른다. 때문에 그것을 출발점으로 해서 과학은 발전해 나갈 수 있다.

 

분석 철학자들은 철학 언어도 과학 언어처럼 일의적인 언어로 표현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러한 생각에서 이상 언어를 만들려고 하였다.

 

이상 언어는 일의적인 언어요, 세계의 구조를 보다 잘 드러내어 주는 언어이다. 이러한 언어가 완성되는 날 해석상의 차이로 시간을 낭비하는 일은 없어지고 모든 학문들이 이 글로 표현될 때 그들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장벽이 무너지게 되어 철학 하는 사람이 물리학에 관한 글을 읽을 수 있고, 생물학을 전공하는 사람이 경영학에 관한 책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상 언어에 대한 이상을 실현하려는 노력이 기호 논리학의 발전을 가져왔고 기호 논리학은 여러 가지 제한성에 부딪히면서 꾸준히 그 이상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박영식, 분석 철학의 방법, 󰡔현대 학문의 조류와 그 전망󰡕>


1. 윗글을 내용에 따라 세 단락으로 나누고 각 단락의 중심 화제를 소제목 형식으로 써라.

 

윗 글은 이상 언어에 대한 언급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전체 내용을 총괄하는 단락이 없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각 단락의 소제목은 구체적이고 한정적으로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철학을 과학화하기 위해)분석 철학자들이 제기한 두 가지 원리

: 검증 원리 제기의 의도(목적)

- : 이상 언어 실현(노력)의 의도(목적)

 

2. , 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3음절의 단어를 쓰라.

 

분석 철학자들은 과학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데 반해 청학은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문제 의식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그들이 제창한 분석 철학은 과학의 방법을 원용하여 철학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자 한 노력의 일단이다.

 

과학화

 

3. 분석 철학자들의 철학에 대한 비판 내용을 본문에 근거하여 200자 내외(띄어쓰기 포함)로 쓰라.

 

문제의 요구가 200자 내외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근거로 삼을 단락을 정확히 확정짓는 것이 필요하다. 에서는 분석 철학자들의 반()형이상학적 정신의 핵심을, 에서는 철학의 일상 언어 사용의 문제점을 골라내어 작성하면 된다.

 

종래 철학자들이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없는 초월적인 것에 대한 언급과 진위(眞僞)를 가릴 객관적 기준이 없는 정적(심리적) 의미의 명제는 지적인 의미를 갖고 있지 않는 무의미한 명제에 불과하다. 또한 철학이 과학처럼 일의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의적인 일상 언어를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해석상의 차이로 시간만 낭비할 뿐 여전히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