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해연습3 / 지식교육과 덕성교육은 별개인가

by 송화은율
반응형

 

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소크라테스는 은 곧 지식이다.”라고 하면서 과 지식은 동일하다고 주장하였다. 어떤 행위가 옳은지를 아는 사람은 반드시 그 행위를 할 것이라는 것이 소크라테스의 신념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럴까? 우리는 주위에서 어떤 것이 옳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하지 않거나 옳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하는 사람을 흔히 목격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그는 옳거나 그르다는 것을 진정한 의미에서는 아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행동할 뿐이라고 소크라테스는 말할 것이다.

 

우리는 가끔 알 만큼 아는 사람이 그런 짓을 한다고 말한다. 이 말은 옳고 그름에 대하여 충분히 아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그른 행위를 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면서 동시에 그가 현실적으로는 그른 행위를 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善惡에 대한 진정한 지식과 올바른 판단력을 갖춘 사람도 순간적인 충동과 선천적으로 타고난 기질 때문에 바르지 못한 행동을 한다거나 또는 모든 악은 무지에서 비롯된다는 소크라테스의 주장은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옳은 것을 아는 사람은 반드시 옳은 행동을 한다는 의미로 知德一致를 받아들인다면 그러한 생각은 물론 잘못이다. 그러나 희랍어의 덕(arete)이라는 말은 탁월성 또는 자기가 해야 할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것이 도덕적인 것으로 이해될 때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것처럼 올바른 선택을 하는 傾向性을 의미한다. 이처럼 을 행동의 傾向性으로 이해할 때 지식과 덕이 일치한다는 말은 어떤 것에 대해 알면 그것을 하려는 傾向性이 있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행동을 하려는 傾向性이 있다는 말은 그러한 행동을 반드시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덕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傾向性이 높은 사람이 경우에 따라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주위의 압력에 못이겨서 또는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 환경에 영향을 받아 도덕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가 있다 할지라도 도덕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경향성이 높은 사람, 즉 도덕성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는 사람보다 대체로 볼 때 부도덕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학교에서 도덕 윤리 교육을 시키고 있는데도 예전보다 청소년들의 탈선과 비행이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현대 사회가 예전과 달리 청소년들의 탈선과 비행을 조장하는 여러 가지 구조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물질 향락 풍조의 만연, 저질 출판물의 홍수, 입시 위주의 교육, 부모와의 대화 부족 등은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품성을 기르는데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덕성 교육을 떠맡고 있는 윤리 교육조차도 국어, 영어, 수학과 같은 과목에 밀려 제 구실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덕 윤리 교육을 함에 있어서도 진정한 지식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윤리적인 문제에 대하여 깊이 사고하고 탐구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규범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에 그치게 하는 교육에 머무르고 있다.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탐구의 과정을 무시하고 그 결과만을 암기하게 하는 단편적인 지식 교육으로는 학생들에게 道德性을 길러 줄 수 없을 것이다.

 

도덕성은 도덕적인 행동을 자주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길러진다고 보고 반복적인 행동을 통한 도덕 윤리 교육을 강조할 수도 있다. 봉사 정신은 봉사 활동을 자주 함으로써, 친절한 정신은 친절한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길러질 수 있다. 반복적인 행동을 통한 도덕 윤리 교육을 무시할 수 없지만 그러한 행동에 지적인 활동이 수반되지 않으면 맹목적일 수가 있다. 봉사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봉사를 해야 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봉사를 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를 모른다면 봉사 활동이라는 것도 불가능하게 된다. 봉사를 해서는 안 될 경우에 봉사를 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부도덕한 행동이 될 수도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지식 교육이 수반되지 않은 德性敎育은 토대가 약한 집을 짓은 것과 같다. 또한 德性을 함양하지 못한 교육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지식 교육이라고 볼 수 없다. 이 말은 윤리 도덕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덕성은 도덕적인 덕성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조성민, '지식교육과 덕성교육은 별개의 것인가'>


이 글은 단편적인 지식교육에 치중하고 있는 오늘날 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진정한 지식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필자는 소크라데스의 덕과 지식을 동일시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덕과 지식이 꼭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오늘날 학교 교육은 덕성 교육을 등한히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덕성 교육은 지식 교육과 별도로 이루어져서는 안 되며 덕성 교육을 토대로 한 진정한 지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1. 윗글을 내용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중심 내용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라.

윗글은 모두 여덟개의 형식 단락으로 나누어져 있다. 우선 형식 단락의 요지를 정리한 다음 네 부분으로 묶어 보도록 한다. 각 단락의 요지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소크라데스의 주장대로 덕과 지식이 동일하지 않다. 선악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판단력이 항상 선악의 행동을 수반하지는 않는다. 지식과 덕이 일치한다는 말은 어떤 것에 대해 알면 그것을 행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말로 이해해야 한다. 어떠한 행동을 하려는 경향성은 반드시 그 행동을 수반하지는 않는다. 오늘날 윤리 교육은 제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다. 도덕 윤리 교육에 진정한 지식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덕성 교육은 지적인 활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덕성을 함양하지 못한 교육은 진정한 의미의 지식 교육이 아니다.

 

각 형식 단락의 요지를 토대로 네 부분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부분 : 소크라테스의 주장에 대한 문제 제기

둘째부분 : ⑵⑶⑷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명

셋째부분 : ⑸⑹ 오늘날 학교 교육의 실태

넷째부분 : ⑺⑻ 올바른 학교 교육의 방향

 

첫째부분 : 소크라테스의 주장대로 덕과 지식이 동일하지 않다.

둘째부분 : 선악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판단력이 항상 선악의 행동을 수반하지는 않는다.

셋째부분 : 오늘날 학교에서 실시하는 도덕 윤리 교육은 피상적이고 단편적인 교육에 그치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지식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넷째부분 : 덕성을 함양치 못한 교육은 진정한 의미의 지식 교육이 아니다.

 

2. 윗글의 주제를 한 문장으로 쓰라.

이 글의 주제는 넷째 부분에 나타나 있다. 오늘날 학교 교육의 실태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중심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학교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덕성 교육을 토대로 한 진정한 지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윗글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600자 내외로 요약하라.

유의사항 요약문 자체가 완결된 글이 되도록 할 것

원문의 흐름에 따르되 자신의 표현으로 바꾸어 쓸 것

원고지 사용법과 맞춤법 규정에 맞게 쓸 것

제목과 성명을 쓰지 말 것

 

윗글은 기 - - - 결의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염두에 두고 요약을 시작한다. 우선 제기한 문제를 해명하고 오늘날 학교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끝맺어야 한다.

 

소크라테스는 어떤 행위가 옳은지를 아는 사람은 반드시 그 행위를 할 것이라는 신념으로 덕과 지식이 중요하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선악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판단력이 항상 선악의 행동을 수반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선악에 대한 지식은 그것을 행하려는 경향성으로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향성은 반드시 그러한 행동을 수반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도덕성이 높은 사람이 대체로 부도덕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청소년들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현대 사회가 비행을 조장하는 여러 가지 구조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오늘날 학교 교육은 지식 교육에 치중하여 덕성 교육을 소홀히 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덕 윤리 교육을 함에서도 피상적이고 단편적인 이해에 그치고 있어 진정한 지식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식 교육이 수반되지 않은 덕성 교육은 진정한 지식이 될 수 없듯이 덕성 교육과 지식 교육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이제 덕성 교육을 토대로 한 진정한 지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