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의 기법이 사용된 문학 작품들
by 송화은율대조(對照, contrast)의 기법(詩) : 열린 세계와 닫힌 세계와의 대조를 통한 감정의 대비 표현.
1. --- 고려속요 <동동> 정월령(제2연)
* 정월 냇물 ↔ 나(세상 가운데)
2. --- 유리왕 고대가요 <황조가>
* 黃鳥(황조)-相依 ↔ 나(獨)
3. --- 정지상 한시 <송인>
* 草色多(초색다)-희망 ↔ 動悲歌(동비가)-절망,슬픔
4. --- 김기림 시 <바다와 나비>
(1) 시각적 이미지 : 바다(청색) ↔ 나비(백색)
(2) 감각적 이미지 : 바다(강렬한 이미지) ↔ 나비(가냘픈 이미지, 시적 자아)
5. --- 김남조 시 <겨울바다>
* ‘물’(생성 이미지, 차가움) ↔ ‘불’(소멸이미지, 뜨거움)
6. --- 김소월 시 <길>
* 공중의 기러기 ↔ 열십자 복판의 나
7. --- 김수영 시 <눈>
* 제2연 : 눈과 기침의 선명한 대조
(마음 놓고 기침 한 번 하지 못한 소시민적 비굴성이 나타남)
8. --- 김영랑 시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
* 누이의 마음 ↔ 나의 마음
9. --- 김영랑 시 <독(毒)을 차고>
* 벗(독을 차고 살아서 무엇하냐고 하는) ↔ 나(나를 노리는 식민지 현실 속에서 태어난 사실 마저 저주하며 선선히 독을 차고 가리라고 마음 먹는)
10. --- 김현승 시 <가을>
* 봄(화려함, 뜨거움, 화사함, 순간적) ↔ 가을(과묵함, 차가움, 사색적)
11. --- 릴케 시 <가을날>
* 자연의 가을(자연의 성숙) ↔ 인간의 가을(성숙하지 못한 시적 자아)
12. --- 변영로 시 <논개>
* 푸른 물결 ↔ 붉은 마음(시각적 이미지의 대조)
13. --- 신동엽 시 <껍데기는 가라>
* ‘4월의 알맹이’, ‘동학년 곰나루’,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맞절하는 아사달 아사녀’, ‘향그러 운 흙가슴’ ↔ 쇠붙이(민족 동일성, 인간다운 삶을 파괴하는 존재, 외세의 횡포)
14. --- 신동집 시 <목숨>
* 산 자 ↔ 죽은 자
* 구차한 목숨 ↔ 순수한 생명 ( ‘백조’ )
15. --- 신석정 시 <들길에 서서>
* 저문 들길 ↔ 푸른 별, 푸른 하늘
16. --- 워즈워드 시 <뻐꾸기에(게) 부쳐>
* 골짜기에겐 한갓 / 햇빛과 꽃 얘기로 들릴 테지만 /
⇕
너는 내게 실어다 준다. / 꿈 많은 시절의 얘기를 // (제3연)
17. --- 유치환 시 <바위>
* 원뢰(遠雷), 구름 ↔ 바위
18. --- 윤동주 시 <쉽게 씌어진 시>
* 두 자아 : ‘최후의 나’ ↔ ‘우울한 삶을 살고 있는 나’
19. --- 윤동주 시 <별 헤는 밤>
* 마지막 연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우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우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 겨울(무덤) ↔ 봄 (파란 잔디)
20. --- 이상 시 <거울>
* 두 자아 : ‘현실적 자아’ ↔ ‘본질적 자아’
21. --- 이육사 시 <교목>
* 바람 ↔ 교목
22. --- 정지용 시 <그의 반>
* 나(의타적인 존대) ↔ 그(절대적 존재)
23. --- 정한모 시 <나비의 여행>
* 대립적 구도 - 작품의 주제 의식을 심화시키는 기능
(1) 부정적 이미지 ↔ 긍정적 이미지(명·암, 공포·사랑, 현실·꿈)
(2) 떠남 ↔ 돌아옴
24. --- 주요한 시 <불놀이>
* 불 ↔ 물
25. --- 한용운 시 <님의 침묵>
* 푸른 산빛 ↔ 단풍나무 숲 / 황금의 꽃 ↔ 차디찬 티끌
: 병립(대조)을 통한 의미의 심화
26. --- 한용운 시 <찬송>
* 님이여, 사랑이여, 얼음 바다에 봄바람이여. (냉.온의 대조)
27. --- 이상 소설 <날개>
* 아내(가학적 여성, 화려한 아랫방, 밖의 현실)
↔ 나(거세당한 남성, 어두운 윗방, 안의 현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