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내리느니- 김동환
by 송화은율눈이 내리느니- 김동환
북국(北國)에는 날마다 밤마다 눈이 내리느니,
회색 하늘 속으로 흰 눈이 퍼부을 때마다
눈 속에 파묻히는 하아얀 북조선이 보이느니.
가끔가다가 당나귀 울리는 눈보라가
막북강(漠北江)* 건너로 굵은 모래를 쥐어다가
추위에 얼어 떠는 백의인(白衣人)의 귓불을 때리느니.
춥길래 멀리서 오신 손님을
부득이 만류도 못하느니,
봄이라고 개나리꽃 보러 온 손님을
눈 발귀*에 실어 곱게 남국에 돌려보내느니.
백웅(白熊)이 울고 북랑성(北狼星)*이 눈 깜박일 때마다
제비 가는 곳 그리워하는 우리네는
서로 부등켜 안고 적성(赤星)을 손가락질하며 얼음 벌에서 춤추느니.
모닥불에 비치는 이방인의 새파란 눈알을 보면서,
북국은 추워라, 이 추운 밤에도
강녘에는 밀수입 마차의 지나는 소리 들리느니,
얼음장 트는 소리에 쇠방울 소리 잠겨지면서.
오호, 흰 눈이 내리느니, 보오얀 흰 눈이
북새(北塞)*로 가는 이사꾼 짐짝 위에
말없이 함박눈이 잘도 내리느니.
(금성 3호, 1924.5)
* 막북강 : 고비 사막 북쪽을 흐르는 강.
* 발귀 : ‘발구’의 함경도 사투리로 마소가 끄는 운반용 썰매.
* 북랑성 : 큰개자리별(시리우스, sirius).
* 북새 : 북쪽 국경 또는 변방.
<핵심 정리>
▶ 감상의 초점
흰 눈이 퍼붓는 겨울, 하얀 옷을 입고 물 설고 낯선 북국으로 이주하는 우리 민족의 황량하고 막막학 심사를 형상화하고 있는 이 시는 김동환의 대표적 장편 서사시인 국경의 밤의 정서와 흡사한 면이 많다.
▶ 성격 : 상징적, 서경적
▶ 어조 : 북국으로 이주하는 민족의 비애를 동정적으로 응시하는 서정적인 어조
▶ 심상 :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심상
▶ 특징 : ‘막북강, 북량성, 북새’와 같은 북국의 정서를 자아내는 시어를 사용하여 이국으로 이주하는 우리 민족의 애환과 민족적 이질감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
▶ 구성 : ① 눈 내리는 북국과 눈 속에 파묻힌 북조선(제1연)
② 추위와 바람에 떠는 백의인(제2연)
③ 남국으로 되돌려 보내고 싶어하는 간절한 마음(제3연)
④ 남쪽을 그리워 하는 민족의 설움(제4연)
⑤ 북국의 이국적 정서와 밀수입을 하며 살아가는 민족의 비애(제5연)
⑥ 북새로 가는 이사꾼 짐 위로 내리는 함박눈(제6연)
▶ 제재 : 눈 내리는 겨울에 북국으로 이주하는 민족의 비애
▶ 주제 : 국권을 상실한 민족의 비애와 애환
<연구 문제>
1. 이 시에서 북방의 정서를 드러내는 시어를 모두 찾아 쓰라.
☞ 막북강, 눈, 발귀, 백웅, 북랑성, 새파란 눈알, 북새
2. 이 시에서 유민들의 간절한 소망이 함축되어 있는 시어나 시구를 찾아 쓰라.☞ 제비 가는 곳, 적성
3. 이 시 속에 나타나는 백색의 이미지를 드러내는 시어나 시구를 찾아 쓰고, 그 말을 통해 형상화하고자 한 것을 20자 내외로 쓰라.
☞ (1) 하아얀 조선, 백의인
(2) 순박한 우리 민족의 비극적 운명
4. 이 시에서 반어적 기법이 드러난 구절을 찾아 쓰라.
☞ 말없이 함박눈이 잘도 내리느니
<감상의 길잡이>(1)
이 시는 원래 「적성(赤星)을 손가락질하며」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는데, 시집 <국경의 밤>에 수록될 때 약간의 손질과 함께 제목이 바뀐 것이다.
김동환의 시는 우수와 침울한 분위기로 대표되는 북방적 정서를 드러내는 데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김소월, 이용악, 백석 등 북쪽을 고향으로 둔 시인들의 작품이 대개 삶의 애상적 비애와 향수를 시의 제재로 삼고 있는데, 김동환은 이러한 정서를 민족의 수난사와 결부시키고 있다.
이 시의 배경이 되는 북방은 ‘날마다 밤마다’ 눈이 내리는 동토(凍土)이며, 막북강 건너에서 불어오는 모래 바람이 귓볼을 때리는 삭막한 고장이다. 따뜻한 남쪽 고향을 뒤로 하고 북방으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던 우리 민족의 비극적인 운명이 북방의 매서운 추위와 연계되어 더욱 절실한 비애를 자아낸다. 몸도 마음도 위축되어 버린 이들은 ‘서로 부둥켜안고 적성을 손가락질’하지만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는 희망이 부질없는 것임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제3연의 ‘봄이라고 개나리꽃 보러 온 손님을 / 눈 발귀에 실어 곱게 남국에 돌려 보내느니’라는 구절은 화자의 안타까운 마음과 절실한 소망을 담고 있지만, 그것이 불가능한 소망이라는 사실은 화자나 유민 모두가 깊이 인식하고 있는 터이다. 그러기에 화자의 시선은 다시 북방으로 옮겨지면서, 우리 민족이 밀수입(수출)을 하며 살아가는 고달픈 삶이 제시된다. 제4연의 3,4행은 ‘국경의 밤’의 시상과 놀라울만치 닮아 있는데, 이것은 시인이 국경 부근에 거주하면서 경험하였던 사건이 그만큼 강렬한 인상으로 각인(刻印)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향에서는 농사의 풍요를 담보할 것으로 여겨져 기쁘게 맞을 소담한 눈조차도 북방으로 쫓겨가는 이주민들에게는 혹독하고 매정한 자연 현상일 뿐이며, 자신들의 운명이 갈수록 암담해질 것이라는 비극적 조짐으로밖에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물론, 이 시의 제3연과 제4연에서 유민들의 고향 회귀 혹은 조국의 독립에 대한 강렬한 소망과 의지가 담겨져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유민들이 서로 부둥켜안고 얼음벌에서 추는 춤이 환희와 희망의 군무(群舞)가 아니라, 실의와 좌절 속에서 서로를 위무(慰撫)하는 통곡의 포옹이요 춤이라 해석하는 것이 온당하며, 따라서 그것이 갖는 의미도 분명해진다. 그것은 조국의 독립에 대한 확신과 신념이라기보다 그런 믿음이라도 가짐으로써 자신의 불행을 감내하려는 내적 의지의 간접적 표현인 것이다.
<감상의 길잡이>(2)
이 작품은 김동환의 등단시로 원래 <적성(赤星)을 손가락질하며>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던 것을 시집 국경의 밤에 수록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손질과 함께 지금 제목으로 바뀐 것이다.
모진 추위와 눈보라를 뚫고 일제의 수탈을 피해 북국으로 이주하던 1920년대 우리 민족의 수난사를 튼튼한 서사 구조와 사실적 묘사를 통해 형상화시킨 이 작품은 소재면에서나 정서면에서 <국경의 밤>과 매우 흡사하다. 작품의 배경은 ‘날마다 밤마다 눈이 내리’는 동토(凍土)이며 ‘막북강 건너로 굵은 모래를 쥐어다가’ ‘귓불을 때리’는 모래 바람까지 불어오는 어느 북국 마을이다.
조상 대대로 살던 고향을 뒤로한 채, 생존을 위해 그 곳을 찾아가는 그들의 행로는 독자로 하여금 처절한 느낌까지 갖게 만들어 준다. ‘눈 속에 파묻힌’ 산을 넘고, ‘얼음장 트는 소리’ 나는 강을 건너 얼어붙은 귓불을 매만지면서 무작정 발걸음을 옮기는 유이민들은 ‘백웅이 울고 북랑성이 눈 깜박’이는 밤이면, ‘서로 부등켜 안고 적성을 손가락질’해 보지만,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는 희망은 포기한지 오래일 뿐이다. 또한 ‘봄이라고 개나리꽃 보러 온 손님을 / 눈 발귀에 실어 곱게 남국에 돌려보내느니.’라는 구절에서 유이민들의 안타까운 심정과 절실한 소망을 드러내고 있으나, 그 소망도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없을 만큼 그들의 삶은 고달프기만 하다. 그러나 그러한 절망과 비탄 속에서 ‘제비 가는 곳 그리워하는’ 유이민들의 마음은 차츰 동병상련(同病相憐)과 같은 집단 의식으로 발전하고 ‘우리네’로 승화됨으로써 그들은 불가에 모여앉아 고향을 화제로 이야기꽃을 피우며 잠시 시름을 잊기도 한다. 고향 얘기를 안주삼아 독한 호주(胡酒)를 마시며 추위를 잊은 그들은 내친김에 한바탕 신명난 춤판을 벌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그들이 추는 춤은 조국의 독립을 열망하는 마음의 상징적 의식이라기보다는 절망과 비애 속에 빠져 있는 서로를 위무(慰撫)하고 고통을 잊게 하는 행위로서, 불행한 자신들의 운명을 감내하려는 의지가 간접적으로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그러드는 모닥불 곁에 피곤한 육신을 눕힐 때, 또다시 퍼붓는 함박눈을 바라보며 ‘오호, 흰 눈이 내리느니, 보오얀 흰 눈이 / 북새로 가는 이사꾼 짐짝 위에 / 말없이 함박눈이 잘도 내리느니.’라며 내뱉는 자조(自嘲) 섞인 영탄은 당시 유이민들의 황량하고 막막한 심경을 대변하고 있으며, ‘막북강’․‘북랑성’․‘북새’와 같은 시어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북방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한편, 이국(異國)으로 이주하는 우리 민족의 애환과 민족적 이질감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