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논개(論介)의 애인(愛人)이 되어서 그의 묘(廟)에 / 해설 / 한용운

by 송화은율
반응형

논개(論介)의 애인(愛人)이 되어서 그의 묘(廟)에 / 한용운(韓龍雲)

 

날과 밤으로 흐르고 흐르는 남강(南江)은 가지 않습니다.

바람과 비에 우두커니 섰는 촉석루(矗石樓)는 살 같은 광음(光陰)을 따라서 달음질칩니다.

논개(論介), 나에게 울음과 웃음을 동시(同時)에 주는 사랑하는 논개여.

그대는 조선의 무덤 가운데 피었던 좋은 꽃의 하나이다. 그래서 그 향기는 썩지 않는다.

나는 시인으로 그대의 애인이 되었노라.

그대는 어디 있느뇨. 죽지 않은 그대가 이 세상에는 없고나.

나는 황금의 칼에 베어진 꽃과 같이 향기롭고 애처로운 그대의 당년(當年)을 회상(回想)한다.

술 향기에 목맺힌 고요한 노래는 옥()에 묻힌 썩은 칼을 울렸다.

춤추는 소매를 안고 도는 무서운 찬바람은 귀신 나라의 꽃수풀을 거쳐서 떨어지는 해를 얼렸다.

가냘핀 그대의 마음은 비록 침착하였지만 떨리는 것보다도 더욱 무서웠다.

아름답고 무독(無毒)한 그대의 눈은 비록 웃었지만 우는 것보다도 더욱 슬펐다.

붉은 듯하다가 푸르고 푸른 듯하다가 희어지며 가늘게 떨리는 그대의 입술은 웃음의 조운(朝雲)이냐 울음의 모우(暮雨)이냐 새벽달의 비밀이냐 이슬꽃의 상징(象徵)이냐.

삐비 같은 그대의 손에 꺾이우지 못한 낙화대(落花臺)의 남은 꽃은 부끄럼에 취()하여 얼굴이 붉었다.

옥같은 그대의 발꿈치에 밟히운 강 언덕의 묵은 이끼는 교긍(驕矜)에 넘쳐서 푸른 사롱(紗籠)으로 자기의 제명(題名)을 가리었다.

 

아아, 나는 그대도 없는 빈 무덤 같은 집을 그대의 집이라고 부릅니다.

만일 이름뿐이나마 그대의 집도 없으면 그대의 이름을 불러 볼 기회가 없는 까닭입니다.

나는 꽃을 사랑합니다마는 그대의 집에 피어 있는 꽃을 꺾을 수는 없습니다.

그대의 집에 피어 있는 꽃을 꺾으려면 나의 창자가 먼저 꺾어지는 까닭입니다.

나는 꽃을 사랑합니다마는 그대의 집에 꽃을 심을 수는 없습니다.

그대의 집에 꽃을 심으려면 나의 가슴에 가시가 먼저 심어지는 까닭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금석(金石)같은 굳은 언약을 저버린 것은 그대가 아니요 나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쓸쓸하고 호젓한 잠자리에 외로이 누워서 끼친 한()에 울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니요 그대입니다.

나의 가슴에 사랑의 글자를 황금으로 새겨서 그대의 사당에 기념비를 세운들 그대에게 무슨 위로가 되오리까.

나의 노래에 눈물의 곡조를 낙인(烙印)으로 찍어서 그대의 사당에 제종(祭鍾)을 울린대도 나에게 무슨 속죄가 되오리까.

나는 다만 그대의 유언대로 그대에게 다하지 못한 사랑을 영원히 다른 여자에게 주지 아니할 뿐입니다. 그것은 그대의 얼굴과 같이 잊을 수가 없는 맹세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그대가 용서하면 나의 죄는 신에게 참회를 아니한대도 사라지겠습니다.

 

천추(千秋)에 죽지 않는 논개여,

하루도 살 수 없는 논개여,

그대를 사랑하는 나의 마음이 얼마나 즐거우며 얼마나 슬프겠는가.

나는 웃음이 겨워서 눈물이 되고 눈물이 겨워서 웃음이 됩니다.

용서하여요 사랑하는 오오 논개여.


 

* 갈래 : 산문시적 자유시, 서정시

 

* 어조 : 예찬적, 추모적, 남성적(의지적)

· 어조의 변화 도모

 - -ㅂ니다 : 추모적

 - -ㄴ다 : 단정적(역사적 장면 회고 부분)

- 여 : 예찬적

 

* 성격 : 민족적, 애국적

 

* 표현상의 특징

· 역사적 인물의 형상

· 역설적 표현 기법 과거

· 과거 사실을 현재형으로 표현

· 주요 미의식 : 숭고미(崇高美)

 

* 시어 및 어구

· 날과 밤으로 ~ : (역설) 비극적 역사적 현장은 그대로임

· 바람과 비에 ~ : (역설) 역사적 의미가 많이 사라져 감

· 울음과 웃음을 동시에 ~ : (역설)

- 울음 : 비극적 상황 인식 (추모의 대상)

- 웃음 : 난국(亂國)에 삶의 방향 제시 (사모의 대상)

· 죽지 않은 그대가 ~ : (역설) 육체(외면)은 사라졌으나 영혼(내면)은 살아있음

· 황금의 칼에 베어진 ~ : 순국(殉國)

· 썩은 칼 : 나약한 의지

· 떨어지는 해 : 국가의 몰락 운명(누란지위)

· 빠비 : 수정을 뜻하는 파리(玻璃)로 생각됨. 불교의 칠보(七寶) 중 하나

(이를 삘기, 즉 띠와 같은 풀의 어린 순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

· 낙화대의 남은 꽃 : 논개의 충절과 거리가 먼 존재

· 교긍(驕矜) :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뽐내며 스스로 잘난 체하며 뽐내는 것

· 제명을 가리었다 : 자랑에 넘쳐서 푸른빛으로 자기의 본 모습을 감추었다.

· 그대도 없는 빈 무덤 같은 집(1)을 그대의 집(2)이라고 부릅니다. : 집(1)은 ‘사당’을, 집(2) 는 ‘논개를 마음으로 만나보는 공간’을 의미

· 나는 꽃을 사랑합니다마는 ~ 가시가 먼저 심어지는 까닭입니다. : 논개에 대한 사랑은 ‘고 통을 감내하며 역사적 삶을 영위해야’ 가능하다.

· 기념비, 제종 : 외형적인 것(겉치레)

 

* 구성

· 제1연 : 논개를 회상함

 

· 제2연 : 논개의 순국 행위 회고, 예찬

 

- 노래 → 나약한 의지를 각성(覺醒)시킴

- 찬바람(무서운 결의) → 구국(救國)

- 마음 → 강한 애국심

- 무독(無毒)한 눈 → 비장감

- 입술 → 사모의 대상 (조운(朝雲), 모우(暮雨), 새벽달의 비밀, 이슬꽃의 상징)

 

# 조운, 모우 : 몸은 떨어져 있으나 마음은 가까이 있음

# 새벽달 : 신비로움

# 이슬꽃 : 한 순간의 아름다움

 

- 손 : 논개의 충절과 거리가 먼 존재를 부끄럽게 함

- 발꿈치 : 묵은 이끼와 같은 미천한 존재를 고귀하게 변모시킴

 

· 제3연 : 논개와 같은 실천적 삶의 고통

 

· 제4연 : 논개에게 용서를 구함

 

· 제5연 : 논개의 애국심 예찬, 화자의 실천적 삶 결의

 

* 주제 : 논개에 대한 예찬과 역사적, 실천적 삶의 다짐

* 출전 : [님의 침묵](1926)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