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낙지가(樂志歌) / 이이

by 송화은율
반응형

낙지가(樂志歌)

  

 

여파(餘波)에 정을 품고 그 근원을 생각해 보니

연못의 산 물결은 맑고 깨끗이 흘러가고

오래된 우물에 그친 물은 담연(淡然)히 고여 있다

짧은 담에 의지(依支)하여 고해(苦海)를 바라보니

욕낭(慾浪)이 하늘에 차서 넘치고 탐천(貪泉)이 세차게 일어난다

흐르는 모양이 막힘이 없고 기운차니 나를 알 이 누구인가

평생(平生)을 다 살아도 백 년(百年)이 못 되는데

공명(功名)이 무엇이라고 일생(一生)에 골몰(汨沒)할까

하관(下官)을 천력(踐歷하고 부귀(富貴)에 늙어서도

남가(南柯)의 한 꿈이라 황량(黃粱이 덜 익었네

나는 내 뜻대로 평생(平生)을 다 즐겨서

천지(天地)에 우유(優游)하고 강산(江山)에 누우니

사시(四時)의 내 즐김이 어느 때 없을런가

누항(陋巷)에 안거(安居)하여 단표(簞瓢)의 시름 없고

세로(世路)에 발을 끊어 명성(名聲)이 감추어져

은거행의(隱居行義자허(自許)하고 요순지도(堯舜之道즐기니

내 몸은 속인(俗人)이나 내 마음 신선(神仙)이오

진계(塵界가 지척(咫尺)이나 지척(咫尺)이 천 리(千里)로다

제 뜻을 고상(高尙)하니 제 몸이 자중(自重)하고

일체의 다툼이 없으니 시기(猜忌)할 이 누구인가

뜬 구름이 시비(是非없고 날아다니는 새가 한가(閑暇)하다

여년(餘年)이 얼마런고 이 아니 즐거운가

제 뜻을 제 즐기고 제 마음 제 임의(任意)

먹으나 못 먹으나 이것이 세상(世上)이며

입으나 못 입으나 이것이 지락(至樂)이다

직처(織妻)가 베를 짜니 의복(衣服)이 걱정 없고

앞 논에 벼 있으니 양식(糧食)인들 염려(念慮)하랴

노친(老親)이 강왕(康旺)하니 내 무슨 시름이며

형제(兄弟)가 단락(團樂)하니 즐거움이 또 있는가

내 뜻의 내 즐거워 낙지가(樂志歌)를 지어내니

묻노라 청허자(淸虛者)야 이를 능히 좋아하면

평생의 이를 즐겨 죽도록 잊지 마라

 

 요점 정리

 

 지은이 이이

 성격 자연친화적

 형식 형식은 모두 4·4조이며,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2

 주제 자연 속에 은거하며 누리는 삶의 즐거움

 표현 이분법적 사고 이 작품 속의 화자는 세계의 한 축을 버리고 대척점에 있는 다른 세계로 은거하여 정신적인 자유를 얻으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이때 정신적 자유를 이르는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욕망의 초탈이라는 비움의 의식이 통과의례처럼 행해진다.

 

누항’, ‘단표에는 비움의 과정을 통해 세속적 욕망을 초탈한 화자의 내면 의식이 함축적으로 드러나 있으며, ‘내 몸은 속인이나 내 마음 신선이오.’에는 세계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화자의 사고(세계 () - 인간 세상 ↔ () - 자연)가 나타나 있다. ‘뜬 구름’, ‘날아다니는 새에는 세속을 초월하여 그 대척점에 있는 자연 속에서 정신적 자유를 누리고 있는 화자의 정서가 투영되어 있다.

 

 내용 연구

 

여파(餘波)[큰 물결이 지나간 뒤에 일어나는 잔물결]에 정을 품고 그 근원을 생각해 보니

연못의 산 물결은 맑고 깨끗이 흘러가고

오래된 우물에 그친 물은 담연(淡然)[조용하게고여 있다

짧은 담에 의지(依支)하여 고해(苦海)[세속]를 바라보니

욕낭(慾浪)[욕심의 물결]이 하늘에 차서 넘치고 탐천(貪泉)[그 물을 마시면 모두 탐욕스러워진다는 샘물]이 세차게 일어난다[화자가 추구하는 삶과 대비되는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흐르는 모양이 막힘이 없고 기운차니 나를 알 이 누구인가 욕망과 탐욕을 불러일으키는 속세

 

평생(平生)을 다 살아도 백 년(百年)이 못 되는데

공명(功名)이 무엇이라고 일생(一生)에 골몰(汨沒)[다른 생각을 할 여유 없이 한 일에만 온 정신을 쏟음]할까[현실 세태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이 반영됨]

하관(下官)[직위가 낮은 벼슬아치]을 천력(踐歷)[여러 가지 경험을 함하고 부귀(富貴)에 늙어서도

남가(南柯)의 한 꿈[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남가지몽(南柯之夢).]이라 황량(黃粱)[메조찰기가 없는 조이 덜 익었네

나는 내 뜻대로 평생(平生)을 다 즐겨서

천지(天地)에 우유(優游)[하는 일 없이 편안하고 한가롭게 지냄]하고 강산(江山)에 누우니

사시(四時)의 내 즐김이 어느 때 없을런가 부귀공명의 덧없음

 

누항(陋巷)[좁고 더러운 거리]에 안거(安居)[편안히 지냄]하여 단표(簞瓢)[도시락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소박한 생활의 비유.]의 시름 없고[안빈낙도의 삶 세속적 욕망을 초탈한 화자의 내면 의식]

세로(世路)[세상을 살아가는 길 속세]에 발을 끊어 명성(名聲)[세상에 널리 떨친 이름세상에 알려진 좋은 평판]이 감추어져

은거행의(隱居行義자허(自許)하고[벼슬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지내며 의로운 행동을 할 만한 일이라고 여기고요순지도(堯舜之道)[요임금과 순임금이 덕으로 천하를 다스리던 시절이란 뜻으로나라가 태평한 시대를 일컫는 말즐기니

내 몸은 속인(俗人)이나 내 마음 신선(神仙)이오[()을 버리고 자연에 은거하여 신선과 같은 정신적 자유를 누리려는 소망을 드러냄]

진계(塵界)[티끌 세상=속세가 지척(咫尺)이나 지척(咫尺)이 천 리(千里)로다[매우 가까운 곳에 살면서도 오래 만나지 못해 멀리 떨어져 사는 것과 같다는 말]

제 뜻을 고상(高尙)[높이 숭상함]하니 제 몸이 자중(自重)[품위를 지켜 몸가짐을 신중히 함]하고

일체의 다툼이 없으니 시기(猜忌)[샘을 내서 미워함]할 이 누구인가 속세를 벗어나 자연에서 신선 같은 삶을 누림

 

뜬 구름이 시비(是非없고 날아다니는 새가 한가(閑暇)하다[뜬 구름과 새는 자연 속에서 정신적 자유를 누리고 있는 화자의 정서가 투영됨]

여년(餘年)[남은 인생]이 얼마런고 이 아니 즐거운가

제 뜻을 제 즐기고 제 마음 제 임의(任意)[자기 의사대로 처리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살아가는 삶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먹으나 못 먹으나 이것이 세상(世上)이며

입으나 못 입으나 이것이 지락(至樂)[더할 수 없는 즐거움]이다 벼슬을 떠나 자연 속에서 누리는 삶의 즐거움

 

직처(織妻)가 베를 짜니 의복(衣服)이 걱정 없고

앞 논에 벼 있으니 양식(糧食)인들 염려(念慮)하랴[현실적인 걱정이 없는 행복한 삶]

노친(老親)이 강왕(康旺)[몸이 건강하고 기력이 좋으니]하니 내 무슨 시름이며

형제(兄弟)가 단락(團樂)하니[모여 즐기니즐거움이 또 있는가

내 뜻의 내 즐거워 낙지가(樂志歌)를 지어내니

묻노라 청허자(淸虛者)[마음이 맑고 깨끗한 사람]야 이[욕심을 버리고 자연 속에 은거하며 유유자적하는 삶]를 능히 좋아하면

평생의 이를 즐겨 죽도록 잊지 마라 현실적인 걱정이 없는 행복한 삶

 

 이해와 감상

 이 가사는 자연에 묻혀 사는 한가로운 즐거움을 노래한 은일가사로서 서사춘사하사추사동사결사의 6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화자는 부귀영화와 같은 세속적 욕망의 덧없음을 깨닫고 자연에 은거하며자연과 더불어 신선처럼 정신적 자유를 누리고 싶은 소망을 들어내면서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안빈낙도(安貧樂道)하며 편안하고 한가롭게 지내고자 하는 삶의 자세를 노래하고 있다.

 

 심화 자료

 조선 중종 때 이서(李緖)가 지은 가사줄글체 기사형식(記寫形式)에 순한문투의 표기이다형식은 모두 4·4조이며,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2구이다그의 문집 몽한영고 夢漢零稿≫에 전한다.

 

 작자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증손이다작자가 1523(중종 18)을 전후하여 유배지에서 풀려난 뒤에 귀경(歸京)을 단념하고전라도 담양 대곡(大谷)에 은거하면서 지은 노래이다.

 

 내용은 만세무궁한 태평성대를 축원하면서담주(潭州 지금의 전라남도 潭陽)의 경치와 미풍양속을 찬양하고거기에 초가삼간을 짓고중장통(仲長統) 낙지론(樂志論)’을 벗삼아 선현의 도를 본받고안빈낙도하면서 살아가겠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전고(典故)의 과다한 인용과 추상적인 표현 등이 고루한 감을 주지만왕손이 지은 유배가사라는 점에서 이색적이다참고문헌≫ 夢漢零稿

 

참고문헌≫ 李緖 樂志歌考察(丁益燮국어국문학 24, 1961)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