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꿈의 의미 (꿈의 상징성)

by 송화은율
반응형

꿈의 의미 (꿈의 상징성)

우리는 누구나 꿈을 꾼다. 흔히 돼지꿈이나 불꿈, 똥꿈은 뜻하지 않은 횡재를 할 꿈이라 해서 길바닥에서 지갑을 줍게 되는 따위의 요행을 바라며 복권을 사서 하루를 보내기도 한다. 또 이가 빠지는 꿈은 누가 죽게 되는 꿈이라 해서 그 꿈을 꾸고 나면 주위 사람의 안부를 걱정하는 전화를 하기도 한다. 특히 시험 발표를 앞두고 꾸는 꿈은 합격인지 불합격인지를 결정하는 신통력이라도 있는 듯이, 좋은 꿈을 꾼 사람은 느긋한 기분으로, 나쁜 꿈을 꾼 사람은 불안해 하며 하루하루를 보낸다. 우리의 늦은 밤 인사도 좋은 꿈에 대한 기원이다. 이렇게 우리는 꿈을 통해 미래의 행복과 불행을 점치기도 하고 기대와 근심 속에 빠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꿈의 역할은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문학의 세계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그러나 문학 속의 꿈은 현실의 꿈과는 다른 점이 있다. , 문학 속의 꿈에는 주인공이 다른 세계(용궁, 천국 등)로 이동하는 것이 잘 나타난다는 것이다. 주인공은 꿈 속에서 용궁, 천국 등에서 일생을 보내기도 하고, 같은 현실의 세계가 꿈에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자기와 완전히 다른 삶으로 일생을 산다. 또 꿈 속에 선녀, 도사 등 저 세상의 신성한 존재들이 흔히 나타난다는 것도 소설 주인공이 꾸는 꿈이 우리가 보통 꾸는 꿈과 다른 점이다. 이런 점에서 문학 속의 꿈은 유별나게 시간을 초월하고, 공간을 초월한다. 꿈 이야기가 들어 있는 대부분의 고대 설화나 소설은 이러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현대로 올수록 문학에 나타나는 꿈은 용궁이나 천상 세계에 가서 사는 것과 같이 유별난 것이 아니다. 일상 생활처럼 평범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그러한 것처럼 소설 속의 인물들이 느끼는 어떤 강박감이 꿈 속에서 나타나기도 한.

문학 속의 꿈은 단순히 이야깃거리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 상징하는 구실을 한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느끼는 강박감이 꿈으로 나타날 때 그 꿈은 그 주인공의 현실적 불안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작품을 읽을 때 작품에 나타나는 꿈을 소홀히 지나쳐서는 안 된다. 때로는 그 안에 작품의 주제가 숨어 있기도 하여 작품 전체의 중요한 고리 구실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꿈은 고대 소설이나 현대 소설에서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져 왔다. 이것은 특히 주인공의 내면 세계나 심리 상태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소재가 된다.

글과 생각, 김은정, 한국 문학에 나타나는 의 의미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