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프로이드의 꿈 해석

by 송화은율
반응형

프로이드의 꿈 해석

 

꿈은 우리가 우리 자신과 나누는 대화로서, 정신의 무의식층과 의식층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하는 상징 언어를 사용하다.

테마에 따른 해석은 우리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을 때, 꿈에서 나타나는 상징물에 따른 것이다. 상징에 따른 해석은 꿈속에 나타나는 상징물이 꿈에서 깨어났을 때 우리에게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꿈을 분석하는 가장 좋은 방법꿈 일기에 되풀이되는 주제들을 다루는 것이다. 꿈의 내용물을 여러 개의 범주로 나누는 일부터 손대는 것이 좋다. 가령 배경, 사물, 등장 인물, 사건, 색깔, 감정 등으로 나눈다. 꼼꼼하게 정확도를 기할 필요는 없다. 위의 열거한 범주들은 당연히 서로 겹치게 돼 있으며, 기억이라는 것은 흐릿하거나 혼란스럽기 마련이다. 하지만 하찮게 여겨지는 일들일지라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여러 범주 속에서 꿈의 의미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걸로 여겨지는 소재를 골라서, 융의 직접 연상 과정에 대입시켜라. 종이 한복판에 그 소재를 적고 그것에 대해 정신을 집중하라. 머릿속에 떠오르는 그 소재와 관련된 모든 이미지를 종이에 적으라. 이 작업을 해 나가면서 맨 처음 자극을 주었던 소재로 계속 생각을 돌려라. 융은 직접 연상 작을 한층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즉 꿈에 등장한 어떤 요소가 있을 때, 그것을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을 앞에 놓고 자신이 그 사람한테 요소를 설명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융은 덧붙여서 그렇게 해서 얻어낸 직접 연상을 잘 다듬을 것을 제의했다. 즉 원래의 꿈 이미지에 대해 생겨난 꿈꾸는 이 나름의 인상이나 반응을 직접 연상과 서로 연결시키라는 얘기다. 꿈의 주된 요소에서 떠올린 연상이 몇 가지 밖에 안 되었다면 그 꿈은 1단계에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꿈은 특정한 감정을 좀더 인정해 줄 필요가 있음을 암시하거나, 꿈꾸는 이가 의식 단계에서 고민해 온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꿈이다. 직접 연상을 통해선 찾아내기 힘든 한층 높은 단계의 의미를 지닌 꿈을 경우에는 프로이트 식의 자유 연상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자유 연상은 개개의 꿈 요소에서 꼬리를 물고 파생되는 모든 사고와 이미지를 자유롭게 살펴 보도록 허락한다. 그러할 때 하나의 개념에서 또 다른 개념이 자발적으로 생겨 날 수 있다. 융은 이런 식의 자유롭고 모호한 연상에 의지했을 경우에 원래의 꿈은 2단계 꿈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런 연상이 원형적인 상징 역할을 하는 걸로 비칠 경우에는 3단계 꿈으로 볼 수 있다. 융은 이런 웅대한 꿈을 다룰 경우에는 의미를 도출해 내는 한 단계 높은 방법으로서 확대 기법을 추천한다. 이는 꿈 상징과 집단 무의식 속에 저장된 원형적 이미지들을 서로 대비시키는 기법이다. 융은 꿈을 꾼 이에게 어떤 해석법을 강요해서도 안 된다는 걸 강조했다. 꿈을 꾼 이에게 자신 자신을 들여다보는 통찰력을 제공했을 경우에 한해서, 꿈의 의미가 제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는 얘기였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