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꿈과 관련된 고사성어와 배경설화

by 송화은율
반응형

꿈과 관련된 고사성어와 배경설화

 

호접지몽

전국시대의 사상가 장자(莊子)는 맹자와 같은 시대의 인물로서 사물의 시비와 선악, 진위, 미추, 빈부, 귀천을 초월하여 자연 그대로 살아가는 무위자연을 제창한 사람이다.

 

장가가 어느날 꿈을 꾸었다. 자신은 꽃과 꽃 사이를 훨훨 날아 다니는 즐거운 자비 그 자체였다. 그러나 문득 깨어보니 자신은 분명 장주(莊周-장자의 본명)가 아닌가. 이는 대체 장주인 자기가 꿈 속에서 나비가 된 것일까? 그렇지 않으면 자기는 나비이고 나비인 자기가 꿈 속에서 장주가 된 것일까? 꿈이 현실인가? 현실이 꿈인가? 그 사이에 도 대체 어떤 구별이 있는가? 추구해 나가면 인생 그 자체가 하나의 꿈이 아닌가.

 

이와 같은 장자의 사물과 자아의 구별을 잊음 혹은 만물일체의 심정 및 인생의 덧없음을 이야기해 '장자지몽' 혹은 '호접지몽'이라고 한다.

 

남가 일몽

()나라 9대 황제인 덕종(德宗 : 780-804) 때 광릉(廣陵) 땅에 순우분(淳于 )이란 사람이 있었다. 어느날, 순우분이 술에 취해 집 앞의 큰 홰나무 밑에서 잠이 들었다. 그러자 어디서 남색 관복을 입은 두 사나이가 나타나더니 이렇게 말했다.

 

"저희는 괴안국왕(槐安國王)의 명을 받고 대인(大人)을 모시러 온 사신이옵니다."

 

순우분이 사신을 따라 홰나무 구멍 속으로 들어가자 국왕이 성문 앞에서 반가이 맞이했다. 순우분은 부마(駙馬)가 되어 궁궐에서 영화를 누리다가 남가(南柯) 태수를 제수(除授)받고 부임했다. 남가군을 다스린 지 20, 그는 그 간의 치적을 인정받아 재상(宰相)이 되었다. 그러나 때마침 침공해 온 단라국군(檀羅國軍)에게 참패하고 말았다.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아내까지 병으로 죽자 관직을 버리고 상경했다. 얼마 후 국왕은 '천도(遷都)해야할 조짐이 보인다'며 순우분을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잠에서 깨어난 순우분은 꿈이 하도 이상해서 홰나무 뿌리 부분을 살펴보았다. 과연 구멍이 있었다. 그 구멍을 더듬어 나가자 넓은 공간에 수많은 개미의 무리가 두 마리의 왕개미를 둘러싸고 있었다.

 

여기가 괴안국이었고, 왕개미는 국왕 내외였던 것이다. 또 거기서 '남쪽으로 뻗은 가지[南柯]'에 나 있는 구멍에도 개미떼가 있었는데 그곳이 바로 남가군이었다.

 

순우분은 개미 구멍을 원상태로고쳐 놓 았지만 그날 밤에 큰 비가 내렸다. 이튿날 구멍을 살펴보았으나 개미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천도(遷都)해야할 조짐'이란 바로 이 일이었던 것이다.

 

동의어남가지몽(南柯之夢), 남가몽(南柯夢), 괴몽(槐夢)

유사어한단지몽(邯鄲之夢), 무산지몽(巫山之夢), 일장춘몽(一場春夢)

 

노생지몽

당나라 현종(玄宗) 때의 이야기이다. 도사 여옹이 한단(邯鄲 : 河北省 所在)의 한 주막에서 쉬고 있는데 행색이 초라한 젊은이가 옆에 와 앉더니 산동(山東)에 사는 노생(盧生)이라며 신세 한탄을 하고는 졸기 시작했다. 여옹이 보따리 속에서 양쪽에 구멍이 뚫린 도자기 베개를 꺼내 주자 노생은 그것을 베고 잠이 들었다.

 

노생이 꿈 속에서 점점 커지는 그 베개의 구멍 안으로 들어가 보니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있었다. 노생은 최씨(崔氏)로서 명문인 그 집 딸과 결혼하고 과거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순조롭게 승진했다. 경조윤(京兆尹)을 거쳐 어사대부(御史大夫) 겸 이부시랑(吏部侍郞)에 올랐으나 재상이 투기하는 바람에 단주자사(端州刺史)로 좌천되었다. 3년 후 호부상서(戶部尙書)로 조정에 복귀한 지 얼마 안 되어 마침내 재상이 되었다. 그 후 10년간 노생은 황제를 잘 보필하여 태평성대를 이룩한 명재상으로 이름이 높았으나 어느날, 갑자기 역적으로 몰렸다. 변방의 장군과 결탁하여 모반을 꾀했다는 것이다.

 

노생과 함께 잡힌 사람들은 모두 처형 당했으나 그는 환관(宦官)이 힘써 준 덕분에 사형을 면하고 변방으로 유배되었다. 수 년 후 원죄(寃罪)임이 밝혀지자 황제는 노생을 소환하여 중서령(中書令)을 제수(除授)한 뒤 연국공(燕國公)에 책봉하고 많은 은총을 내렸다. 그 후 노생은 모두 권문세가(權門勢家)와 혼인하고 고관이 된 다섯 아들과 열 명의 손자를 거느리고 행복한 만년을 보내다가 황제의 어의(御醫)가 지켜 보는 가운데 80년의 생애를 마쳤다.

 

노생이 깨어보니 꿈이었다. 옆에는 여전히 여옹이 앉아 있었고 주막집 주인이 짓고 있던 기장밥도 아직 다 되지 않았다. 노생을 바라보고 있던 여옹은 웃으며 말했다.

 

"인생이란 다 그런 것이라네."

노생은 여옹에게 공손히 작별 인사를 하고 한단을 떠났다.

 

동의어

한단지몽(邯鄲之夢), 한단몽침(邯鄲夢枕), 일취지몽(一炊之夢),

영고일취(榮枯一炊), 황량지몽(黃梁之夢)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