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 이육사
by 송화은율꽃 - 이육사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北)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작거려
제비 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한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城)에는
나비처럼 취(醉)하는 회상(回想)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육사시집(陸史詩集)」(1946)>
* 맹아리 : 꽃망울의 경상북도 방언.
<핵심 정리>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일제말 국권 상실의 시기에 독립을 위해 몸바친 시인의 강렬한 의지가 표출된 작품이다.『절정』이 한계점을 인식하고 비극적 초월을 노래한 것이라면, 이 시는 삶의 비약적 상승(上昇)과 희망을 노래한 것으로 미래지향적이다. 그런 점에서『광야』와 같은 계열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먼저 화자가 처한 위치부터 생각해 보아야 한다. 화자는 하늘도 끝난 곳, 비 한 방울도 내리지 않는 곳, 추운 북쪽 툰드라의 척박한 땅에 있다. 이런 극한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도 ‘저버리지 못할 약속’처럼 다가올 봄날을 위해 그는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며 그날을 불러보고 있다.
▶ 성격 : 관조적, 영탄적, 의지적, 상징적, 저항적
▶ 경향 : 현실 참여적
▶ 심상 : 시각적 심상, 역동적 심상
▶ 운율 : 3음보의 변형
▶ 어조 : 강인하고 의지적인 남성적 어조
▶ 표현 : 상징에 의한 암시적 표현
▶ 특징 : 희망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시
▶ 시상 전개 : ① 점층적 전개
② 각 연이 서경에서 서정으로 표현됨.
▶ 구성 : ① 새 생명 탄생을 위한 노력(제1연)
② 새 생명 탄생을 위한 인고(제2연)
③ 새 생명 탄생의 환희(제3연)
▶ 제재 : 꽃
▶ 주제 : 새 생명 탄생의 의지.(참된 삶에 대한 의지와 기다림)
<연구 문제>
1. 이 시의 지배적 심상에 해당하는 시어를 찾아 쓰라.
☞ 꽃
2. ㉡‘저버리지 못할 약속’은 무엇을 하겠다는 약속인가? 본문에 나오는 낱말을 이용하여 쓰라.
☞ 극한 상황에서도 꽃을 피우겠다는 약속
3. ㉠, ㉢이 상징하는 의미를 쓰라.
☞ (1) ㉠ : 죽음과 고난을 이겨내는 강렬한 생명력과 의지.(새 생명)
(2) ㉢ : 생명력과 번영.(광복의 날)
4. 이 시의 화자는 어떤 사람인지 30자 내외로 쓰라.
☞ 암담한 현실을 초극하고자 하는 미래지향적 의지를 지닌 사람.
<감상의 길잡이>(1)
이 시는 시적 상황 전체가 상징적 의미를 띠고 있다. 그리고 각 연의 첫 3행은 상황, 마지막 행은 화자의 의지(意志)를 표현하여 선경 후정(先景後情)의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연은 극한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밝은 내일, 즉 광복을 위하여 하루하루의 삶을 바쳐 정진하겠다는 것이다. 하늘도 끝나고 비도 한 방울 내리지 않는 때에도 역설적으로 꽃은 피지 않는가? 결코 절망할 수는 없다. ‘동방’은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인 한반도를 가리킨다. ‘하늘도 다 끝나고’와 ‘비 한 방울 내리지 않는’은 생명체가 살 수 없는 극한 상황의 표현이다. ‘꽃’은 새 생명의 탄생으로 해석된다.
제2연은 제1연과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구체적이다. 추운 겨울에도 제비 떼가 까맣게 날아오는 봄을 기다리면서 꽃 맹아리가 옴작거리듯이 화자인 나도 지금은 가혹한 상황이지만 잃어버린 조국을 되찾기 위한 활동을 해야겠다는 약속을 저버릴 수는 없다.
제3연은 억눌림과 인고(忍苦) 끝에 찾아올 광복의 날에 환희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는 것이다. ‘한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은 억눌림 속에서의 몸부림을 뜻하고, ‘꽃 성(城)’은 혹독한 시대 상황이 걷히는 날, 즉 광복의 날을 뜻하며, ‘나비’는 광복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우리 민족과 동일시한 것이다.
이 시는 한마디로 말해서 자신이 처한 현실을 극한 상황으로 인식하는데 그치지 않고 새 생명의 탄생을 위한 준비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다. 시인은 겨울과 새벽을 고통의 시간으로 보지 않는다.
<감상의 길잡이>(2)
<황혼>에서 보여 준 안식과 평화를 향한 육사의 의지는 <연보>, <노정기>와 같은 비극적 자아 인식으로 깊어져 삶의 비약적 상승과 희망을 꿈꾸는 이 <꽃>이란 작품으로 개화하게 된다. 극한의 식민지 시대 상황 속에서도 ‘기다림’과 ‘믿음’의 강인한 의지를 표출하고 있는 이 시는 시적 상황 전체가 상징적 의미를 띠고 있다.
이 시의 표현 특징을 살펴 보면 일정한 반복적 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기․서․결로 짜여진 이 시는 각 연 모두 4행씩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 아니라, 각 연의 1행부터 3행까지는 구문의 전개와 함께 시행의 길이가 점층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4행에 이르러 화자의 심정을 집중적으로 토로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매 4행을 모두 영탄형으로 끝맺는 문장 구조를 통해 화자가 자신의 내면 의지를 강화시키는 특징도 갖고 있다.
우선 화자가 처해 있는 현실 상황은 ‘하늘도 다 끝난’ 곳,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곳, ‘북쪽 툰드라’ 같은 척박한 곳으로 설정되어 있다. 생명의 근원적인 모든 요소를 잃어 버린 극한 상황에서도 그는 ‘저버리지 못할 약속’처럼 ‘꽃 맹아리가 옴작거리’고, ‘제비떼 까맣게 날아오’는 봄날을 기다리며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1연에서 화자는 극한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조국의 광복을 위해 하루도 쉬임 없이 정진하겠다는 결의를 나타내고 있다. 생명이 부정되는 극한 속에서도 피어난다는 역설적인 ‘꽃’은 암담한 현실 상황과 대립되는 동시에, 화자의 현실 초월 의지를 대변하고 있다. 2연에서도 화자는 극한적 한계 상황에서 ‘꽃 맹아리’와 ‘제비떼’를 기다리는 희망과 기다림의 자세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그 희망과 기다림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막연함이 아니라,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의 확신에서 비롯된 의지의 태도이다. 3연에서는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 실행되었을 때의 밝은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그것은 다름아닌 일제의 오랜 질곡에서 벗어난 환희로 가득차 있는 ‘한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조국 해방의 모습이며, ‘꽃성’으로 표상된 그 날, 광복의 기쁨에 ‘나비처럼 취하는 회상의 무리’는 결국 우리 민족의 모습이다.
물론 절대 절명의 극한 상황에서 ‘꽃이 빨갛게 피’었다는 역설은 마땅히 피어야 할 꽃이 피지 못한다는 의미로, 그만큼 당시가 극한적인 상황이었음을 반증하는 것이지만, 육사는 ‘저버리지 못할 약속’에 대한 기다림을 갖고 ‘쉬임 없는’ 날들을 살아가고 있다. 그 기다림이란 ‘북쪽 툰드라’․‘찬 새벽’․‘눈 속’이라는 일제 치하의 현실 상황에 ‘꽃 맹아리’․‘제비떼’와 같은 생명의 의지를 심는 ‘약속’이다. 그러므로 그 ‘약속’처럼 도래할 찬란한 조국의 미래를 위해 그는 꽃 한 포기 피어나지 못할 만큼의 암울한 역사 현장 속으로 온몸을 던지는 위대한 인간이 되는 것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