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의 '금 따는 콩밭' - 해설
by 송화은율김유정의 금 따는 콩밭 - 해설
작가 : 김유정(1908-1937), 서울(강원도 춘성?) 출생. 아명은 멱설이. 1916년부터 약 4년간 한문 수업. 휘문 고보를 거텨 1927년 연희 전문 문과 입학하였으나 다음 해 중퇴. 1931년 실레마을에 야학을 열었고 그후 얼마 동안 금광을 전전했으나 1932년부터 실레마을에 금병의숙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계몽운동에 나섰다. 1935년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 순문예 단체인 ‘9인회’ 회원. 1937년 지병인 결핵성 치질과 폐결핵으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상산곡리에서 요절(夭折).
문단 생활은 2년여밖에 안 되지만 30여 편의 단편을 남겼다. 토착적 유머와 함께 농민의 생활 감정과 습속을 사실적으로, 해학(골계)적으로 그려 낸 작가로 평가된다. 대표작으로 <금 따는 콩밭>, <만무방>, <봄․봄>, <동백꽃>, <따라지>(1937) 등
<줄거리>
깊은 구덩이 속에서 영식은 암팡스런 곡괭이질을 한다. 금을 캐기 위해 영식은 콩밭 하나를 잡쳤다. 약이 올라 죽을 둥 살 둥 눈이 뒤집혀 곡괭이질만 한다. 영식이 살기 띤 시선으로 수재를 노려본다. 몹시 미웠다. 이 놈이 풍치는 바람에 애꿎은 콩밭 하나만 결딴을 냈다. 이 기미를 알고 지주는 대로하였다. 굴 문 밖으로 나왔을 때 산을 내려오는 마름과 맞닥뜨렸다. 마름은 구덩이를 묻지 않으면 징역을 갈 줄 알라고 포악을 한다. 구덩이 안에서 영식은 흙덩이를 집어 들어 수재의 머리를 내리친다. 어느 날, 콩밭에서 홀로 김을 매고 있는데 수재가 이 밭에 금이 묻혔으니 파보자고 했고, 몇 차례 거절을 했으나 아내의 부추김도 있고 하여 선뜻 응낙을 했던 것이다.
저녁도 아니 먹고 드러누운 영식은 산제를 지내기 위해 아내에게 쌀을 꿔 오도록 한다. 닭이 두 홰를 치고 나서 떡 시루를 이고 콩밭으로 향한다. 영식은 밭 가운데에 시루를 놓고 산신께 축원을 한다. 아내는 그 꼴을 바라보며 독이 뾰록같이 오른다.
아내가 점심을 이고 콩밭에 갔을 때 남편은 얼굴에 생채기가 나고 수재는 흙투성이에 코피가 흐르고 있다. 아내가 분통을 건드리자, 영식은 아내의 머리를 후려친다. 콩밭에서 금을 따는 숙맥도 있느냐고 비아냥거리는 아내에게 영식은 발길질을 한다. 조바심이 난 수재가 “터졌네, 터졌어. 금줄 잡았어” 하고 황토흙을 보이며 외친다. 영식이 처가 너무 기뻐서 고래등 같은 집까지 연상할 때 수재는 오늘 밤에 꼭 달아나리라고 생각한다.
<갈래> : 단편, 농촌 소설
<배경> : 1930년대 강원도 산골
<시점> : 작가 관찰자 시점(+전지적 작가)
<주제> : 절망적 현실에서 허황된 꿈과 욕망을 추구하는 인간의 어리석음. ( ⇒ “콩밭에서 금을 딴다는 숙맥도 있담” )
* 금을 따기 위해 콩밭에 뚫은 구덩이 속 : 황토 장벽으로 좌우가 콕 막히고 무덤 속같이 쿠더부레한 흙내와 냉기만이 가득한 장소 ⇒ 당시 우리 농민이 처한 현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