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에 대하여
by 송화은율고소설(古小說)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소설. 그 당시에는 소설을 패설(稗說) · 고담(古談) 등으로도 일컬었으며, 국문으로 된 것은 언패(諺稗) · 언서고담(諺書古談) 등으로 지칭하였다. 우리말 명칭은 고담과 같은 뜻인 이야기책이었다.
신소설이 나오게 되자 이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고소설을 고대소설이라 칭하게 되었다. 학술적인 용어로서 고대소설 · 고소설 · 고전소설 · 이조소설 등도 함께 쓰이는데, 그 가운데 고소설을 표준으로 삼을 수 있다.
소설사의 단계가 고소설 · 신소설 · 현대소설로 전개되어 왔다고 보면, 고소설은 첫 단계의 소설이다. 고소설은 산문으로 기록된 서사문학이라는 점에서 고전설화나 서사무가와 구별된다.
주인공이 상대역이나 주위 상황과의 관계에서 상호우위에 입각하여 심각하게 대결을 벌이는, 구체적인 경험에 입각한 이야기로서 비교적 길게 이어지므로 문헌설화와도 다르다.
현실생활에서 생겨나는 갈등에 관심을 가지고, 흥미와 교훈을 찾을 수 있는 서사문학의 읽을거리를 요구하게 되자 소설이 형성되었다. 그런데 고소설은 신소설 이후의 소설과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문본과 국문본이 공존하고, 대다수가 필사본으로 유통되었으며, 중국을 무대로 한 것이 국내를 무대로 한 것보다 많다. 현실적 경험을 다루되 초경험적인 전제를 개입시키기 일쑤이고, 사실적인 표현의 성장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
〔형성 및 변천〕
고소설은 15세기 후반에 김시습 ( 金時習 )의 〈 금오신화 金鰲新話 〉 에서 시작되었다. 〈 금오신화 〉 는 다섯 편의 단편이 수록된 작품집인데, 죽은 사람과 사랑을 하고 꿈에서 소원을 이루는 것 같은 초경험적인 요소를 지닌 이야기를 한문으로 다루었다. 그러나 고독하고 불우한 주인공이 삶의 보람을 찾기 위한 노력을 심각하게 그리고 있어 비슷한 유형의 설화에서는 찾을 수 없는 독특한 의미를 지녔다.
국문소설은 허균 ( 許筠 )이 17세기 초에 지었을 것으로 보이는 〈 홍길동전 〉 에서 시작되었다. 서자로서 받는 설움에 불만을 품고 출가한 홍길동이 도둑의 무리를 이끌고 나라에 반역하다가 섬나라 왕이 된다는 이 작품은 영웅소설의 연원을 이루었다. 그 뒤 국내를 무대로 한 영웅소설로는 〈 임진록 壬辰錄 〉 등이, 중국을 무대로 한 영웅소설로는 〈 조웅전 趙雄傳 〉 등이 다수 나타나 널리 읽혔다.
17세기 후반 김만중 ( 金萬重 )이 〈 구운몽 九雲夢 〉 과 〈 사씨남정기 謝氏南征記 〉 를 내놓아 소설의 발전을 가속화시켰다. 이 두 작품은 내용에서나 문체에서나 사대부 취향의 고급문화가 소설과 접합될 수 있게 하고, 소설은 허황되고 난잡하므로 금해야 한다는 주장을 누그러뜨리는 논거를 제공하였다.
이 두 작품을 비롯한 중국 무대, 사대부 취향의 작품들 중의 상당수는 국문본과 한문본이 함께 있어 두 층의 독자를 가깝게 하는 구실을 하였다. 〈 창선감의록 彰善感義錄 〉 · 〈 옥린몽 玉麟夢 〉 · 〈 옥루몽 玉樓夢 〉 등 국문본도 있으면서 작자를 알 수 있는 것들이 그런 계열을 이룬다.
그런데 〈 숙향전 淑香傳 〉 · 〈 운영전 雲英傳 〉 같은 것들은 국문본과 한문본이 공존하지만, 사대부 가문에서 일어난 일이 아닌 고독한 여주인공의 운명을 다루었으며, 작자는 알 수 없다. 국문본과 한문본이 서로 번역되어 함께 읽힌 작품군이 고소설의 중심을 이루었다 하겠으나, 거기 포함되지 않은 것들이 더 많았다.
한문소설이기만 한 것은 실제 인물의 행적을 다룬 전(傳)과 내용에서뿐만 아니라 서술방법에서도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아 범위를 정하기 어렵다. 그런 작품이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가운데 18세기 후반 박지원 ( 朴趾源 )의 작품이 독특하여 높이 평가된다.
〈 허생전 許生傳 〉 에서는 남산골 샌님이 장사꾼으로 나서서 나라의 형편을 진단하였다 하고, 〈 양반전 兩班傳 〉 에서는 시골 양반의 몰락을 그리면서 양반의 허실을 문제삼았다. 그 밖의 다른 작품을 통해서도 당대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다루고 풍자하였는데, 김려(金 錤 )와 이옥 ( 李鈺 )도 이와 상통하는 작품을 다수 남겼다.
전이나 야담에 의거한 한문소설은 세태를 풍자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중국을 무대로 하지 않고, 유교 도덕을 표방할 필요가 없던 점이 국문소설과 달랐다. 〈 오유란전 烏有蘭傳 〉 같은 것은 작자를 알 수 없는 필사본으로만 전해지는데, 그런 작품의 풍을 이은 세태풍자소설이다.
그런가 하면, 한문소설 고유의 성격에서 벗어나 국문소설이라야 어울릴 수 있는 복잡한 사건을 초경험적인 요소를 곁들여 다룬 한문소설도 있다. 〈 구운기 九雲記 〉 는 〈 구운몽 〉 을 개작하면서 분량을 갑절이나 늘리고, 도가적인 내용을 갖추었다.
19세기 초 김소행(金紹行)이 지은 〈 삼한습유 三韓拾遺 〉 는 시집살이를 견디지 못하여 자결한 여인의 사건을 신라시대에 있었던 일이라고 꾸미고, 초경험적인 상상을 동원하여 사건을 구성하고 있다.
19세기 후반 서유영 ( 徐有英 )은 〈 육미당기 六美堂記 〉 에서 신라의 태자가 일본에 원정하여 왜왕의 항복을 받는 해외원정 영웅소설을 만들어내었다. 이런 작품은 작자의 지식과 상상력을 과시하는 데 머무르고 널리 읽히지 않았으며, 소설의 발전에 기여한 바를 인정하기 어렵다.
국문소설이기만 한 작품은 분량에 따라서 두 가지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주인공의 일대기를 다루기만 하고 한 책으로 끝나는 것은 ‘ ― 전 ’ 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기 일쑤여서 전책(傳冊)이라 하였다.
한 대 또는 여러 대에 걸쳐 가문의 흥망을 다룬 작품은 분량이 길어지게 마련이고 ‘ ○ ○ ○ 록(錄) ’ 이라는 제목이 흔하여 녹책(錄冊)이라 이름한다.
전책에는 영웅소설이 많고, 여자를 주인공으로 한 것도 적지 않았다. 〈 옥단춘전 玉丹春傳 〉 같은 애정소설, 〈 진대방전 陳大房傳 〉 같은 교훈소설도 흔히 볼 수 있었으며, 비교적 하층 독자들에게 읽혔다.
이보다 격조가 높다고 인정되어 사대부 부녀자들이 애독한 녹책은 국문으로만 되어 있는 경우 한문본과 공존하는 것보다 분량이 더 늘어나 대장편으로 발전하였다. 중국을 무대로 하는 관례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무척 흥미롭고 복잡한 사건을 전개하면서 초경험적인 설정을 계속 활용하였다.
이렇게 해서 생긴 대장편 가운데 〈 완월회맹연 玩月會盟宴 〉 은 180책이나 되어 고소설 중에서 가장 길다. 〈 명주보월빙 明珠寶月聘 〉 은 100책이며, 연쇄적인 관계에 있는 다른 두 작품까지 합치면 전체 분량이 235책에 이른다.
이와 비슷한 분량을 가진 작품이 몇 가지 더 있어서, 19세기쯤 서울을 중심으로 한 도시의 사대부 부녀자들이 길고 흥미로운 작품을 열망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내용에 있어서는 높은 지체를 자랑하는 몇 가문의 남녀가 여러 대에 걸쳐서 벼슬하고, 혼인하고, 자손을 두고 하면서 겪는 시련을 자세하게 다루는 데 그친다. 보수적인 가치관도 전과 다름없이 드러내고 있다.
그 비슷한 계열인 것 같으면서도 10책 전후의 분량인 〈 천수석 泉水石 〉 · 〈 보은기우록 報恩奇遇錄 〉 등은 가문의 질서가 무너지고 현실주의적 사고방식이 대두하여 새로운 갈등이 벌어지는 양상을 거짓없이 다루어 주목된다.
〈 천수석 〉 에서는 서술적 역전, 인과관계의 다각적 추적, 내면심리의 표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여러 인물이 관여해서 벌어지는 복잡한 사건을 다루는 수법은 양 계열에서 모두 크게 발전되었다.
판소리계 소설은 이와 같은 대장편류와 대조적인 위치에 섰다. 두 계열 모두 19세기에 이르러서 본격적인 발전을 보였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유래와 성격이 판이하다. 판소리계 소설은 판소리 사설이 정착되어 이루어졌으며, 판소리 자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판소리와의 관련 때문에 생동하는 구어문체를 지니고 있으며, 하층의 광대가 경험을 통하여 인식한 당대 사회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그러면서도 상층 취향의 표현과 사고방식도 아울러 지녀, 작품 속에서 대립을 일으키게 하였기에 폭이 더 넓어졌다.
여러 작품이 판소리를 통해서나 소설로 읽히면서 여러 작품이 전국에 널리 알려진 것도 특기할 만한 일이다. 판소리계 소설은 위에서 전책이라 한 저급소설을 쇄신하여, 국내를 무대로 한 사실적 작품의 발전을 가속화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판소리는 모두 열두마당이었다고 하는데, 그 중의 일부는 소설만으로 전하고, 일부는 판소리와 소설이 공존한다. 〈 옹고집전 雍固執傳 〉 과 〈 배비장전 裵裨將傳 〉 이 판소리는 없어지고 소설만 남은 대표적인 예인데, 탐욕과 허세를 풍자한 작품이다.
판소리와 소설이 공존하는 것들인 〈 춘향전 〉 · 〈 심청전 〉 · 〈 흥부전 〉 · 〈 토끼전 〉 은 주제와 수법이 더욱 흥미롭다. 각기 정절 · 효성 · 우애 · 충성 등의 전통적인 가치관을 표면에 내세우고서, 그런 것들로 해결될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를 제기하여 세상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를 보여주었다. 게다가 생동하는 구어에 의한 문체가 작품의 가치를 더욱 높였다.
〈 춘향전 〉 은 고소설 중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었던 작품으로서, 기생의 딸 춘향이 신분적인 제약을 벗어나 사랑을 성취하고 인간적인 해방을 이룩한다는 내용이다. 〈 흥부전 〉 에서는 농촌사회의 변화를 실감나게 다루어 전통적 가치관에 매달리는 아우와 돈을 모으기에 수단을 가리지 않는 형을 대립시켜 문제삼았다.
세태풍자의 한문소설, 대장편인 국문소설, 판소리계 소설이 고소설에서 이룩된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것들은 주제의식 · 전개방식 · 현실감각에서 각기 두드러진 장점을 가지고 독자적인 세계를 이룩하였으며, 서로 교류하고 융합될 기회가 없었다.
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그런 단계에 이르러서 새로운 단계의 발전이 요망될 때 나타난 신소설은 고소설의 전통을 협소하고 왜곡되게 계승하였다. 신소설과 현대소설이 외래적인 영향에 민감해 있는 동안 고소설의 소중한 유산은 대부분 잊혀졌다가, 근래의 연구에 힘입어 재발견, 재인식되고 있다.
〔창작·유통·수용〕
고소설은 아직 총괄적인 목록이 정확하게 작성되지 않아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600여종쯤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작자를 알 수 있는 작품은 한문소설 대부분과 국문본과 한문본이 공존하는 소설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국문소설 중에는 작자가 밝혀진 것이 거의 없다. 특히, 국문소설의 경우 소설을 짓는 일이 명예롭지 않다고 여겨 이름을 숨겼기 때문이다. 돈을 받고 영리적으로 유통될 작품을 제공해도 저작권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름이 남아 있지 않은 작가는 사대부일 수도 있고 그 이하 신분일 수도 있는데, 소설의 영리적 유통이 확대되면서 시민층 출신의 직업적 작가가 많아졌으리라고 짐작된다.
소설 유통의 일반적인 방법은 필사본으로 전달되어 읽히는 것이었다. 필사본은 독자가 늘어나면서 거듭 필사되었는데, 필사자가 개작을 할 수 있어서 인기의 정도에 비례해서 이본(異本)이 늘어났다. 읽을 때는 소리내어서 낭독하면 여러 사람이 듣는 경우가 흔하였다.
장터 등 행인의 내왕이 많은 곳에서는 자리잡고 돈을 버는 직업적인 낭독자도 있었다. 서울에서 영업을 하는 직업적 낭독자인 전기수(傳奇 馬 )는 흥미로운 대목에 이르면 소리를 멈추고 청중이 돈을 던져주기를 기다렸다고 한다.
필사본 소설, 그 중에서도 특히 대장편류를 많이 모아놓고 빌려주면서 돈을 버는 세책가(貰冊家)의 영업도 서울에서 번창했다. 이는 새로운 작품이 다수 창작되게 하는 구실을 하였다.
18세기에는 민간 출판업자가 목판으로 책을 출판하는 이른바 방각본(坊刻本)으로 소설이 출판되기 시작하였으며, 19세기에 이르러서 그 영업이 크게 발전하였다. 방각본 소설은 서울의 경판본 ( 京板本 ), 전주의 완판본 ( 完板本 ), 그리고 안성판본(安城板本)의 세 가지로 출판되었다. 종수가 60여종에 이르렀는데, 분량이 얼마 되지 않고, 특히 인기가 있는 작품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1910년대에 이르러서는 신활자본에 의한 고소설 출판이 시작되어 200여종이 나왔다. 그 가운데는 활자본으로 출판하기 위해서 창작한 신작 고소설도 있어, 고소설시대가 끝난 다음에 신소설이나 현대소설이 바로 시작된 것은 아니었다.
≪ 참고문헌 ≫ 韓國古典小說硏究(金起東, 敎學社, 1981), 古小說通論(蘇在英, 二友出版社, 1983), 韓國古小說入門(金東旭 · 黃浿江, 1985), 韓國古典小說硏究의 方向(韓國古典文學硏究會, 새문社, 1985), 古代小說 Kodae Sos ○ l-A Survey of Korean Traditional Style Popular Novels-(Skillend, W.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968).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심화 자료
고소설(古小說)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집. 1권 1책. 한문 필사본. 〈 최원정화풍남태설 崔猿亭 怜 諷南台說 〉 · 〈 왕수재취득용녀설 王秀才取得龍女說 〉 · 〈 이진사자지취삼계설 李進士者智就三計說 〉 등 세 편의 한문단편소설이 실려 있는데, 이들 작품은 전체적으로 야담류의 성격을 띠고 있다.
〈 최원정화풍남태설 〉 은 성품이 어질고 문장과 그림에 남다른 재주를 지닌 최원정(崔猿亭)이 온갖 비리를 자행하던 재상 남태(南台)를 그림으로 풍자했다는 내용이다. 이 작품은 능력은 있으나 세상에 쓰이지 못한 불우한 인재를 소재로 한 일사소설(逸士小說) 유형에 속하는데, 특히 부조리한 세태를 비판하는 내용이 돋보인다.
〈 왕수재취득용녀설 〉 은 왕수재(王秀才)가 승천(昇天)하려는 용을 방해하는 늙은 여우를 죽여 준 대가로 용녀(龍女)를 아내로 맞이해 고려 태조 왕건 ( 王建 )을 낳았다는 신화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 고려사 〉 에 실려 있는 왕건의 조부 작제건 ( 作帝建 ) 이야기와 흡사한데, 여기서는 왕수재가 할아버지가 아닌 아버지로 설정되어 있다.
내용은 왕수재가 남경으로 가는 통신사 ( 通信使 )의 일원이 되어 바다를 건너던 도중, 갑자기 배가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변고가 일어난다. 이에 왕수재는 해신(海神)이 꺼려하는 불결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일행과 떨어져 홀로 섬에 남게 된다.
이 때 서해 용왕의 아들이 늙은이 모습으로 나타나서는 왕수재에게 자신의 승천을 방해하는 늙은 여우를 죽여 달라고 부탁한다. 왕수재는 활을 쏘아 여우를 죽이고, 용녀를 아내로 삼는다. 용녀가 아들을 낳았는데, 그가 바로 왕건이었다. 이러한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널리 유포되어 있는 거타지(居陀知) 설화에서도 나타난다.
〈 이진사자지취삼계설 〉 은 학식이 넉넉하고 강개한 뜻을 품고 있던 이진사가 도적에게 유치(誘致)되어 10년간 세 가지 계책을 써서 재물을 탈취하는 활약을 보인 뒤 돌아온다는 군도담(群盜譚) 유형의 작품이다.
첫번째 계책은 안변부사(安邊府使) 행세를 하여 평안도 부자 피동지(皮同知)의 재물을 탈취하는 것이고, 두 번째 계책은 양녕대군 ( 讓寧大君 )의 행세를 하여 칠보산 ( 七寶山 )에 있는 여러 절의 재물을 탈취하는 것이며, 세 번째 계책은 선릉(仙陵)에 불을 놓아 함경감영(咸鏡監營)의 재물을 탈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삽화는 〈 홍길동전 〉 을 비롯하여 야담집에 실려 있는 군도담에서 두루 보이는데, 여기서는 이들의 내용을 약간 변형시켜 하나의 작품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舊 金東旭 소장본)에 소장되어 있다.
≪ 참고문헌 ≫ 韓國野談資料集成 12券(鄭明基 編, 계명문화사, 1987), 高麗國祖神話(張德順, 서울대학교出版部, 1970), 李朝漢文短篇集 下(李佑成 · 林熒澤 編譯, 一潮閣, 1978).
고대소설(古代小說)
조선 초기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金贅新話)》가 나온 때로부터 신소설(新小設)이 나오기까지의 소설. 고소설(古小說)·구소설(舊小說)·고전소설(古典小說)이라고도 한다. 고대소설이란 명칭은 <고대>란 시간적 개념에 뜻이 있는 것이 아니라 20세기 초에 이른바 <육전소설(六錢小說)>이 출간될 당시, 출판사가 신소설과 구별을 짓기 위해 <고대소설>이라고 써온 것이 오늘날 고대소설이라는 일반적 명칭으로 고정되었다. 《금오신화》가 나오기 전까지는 소설이 나오게 되는 준비기간으로서 시화(詩話)·전설(傳說)·일문(逸聞)·기담(奇譚)·외설(猥說) 등을 중심으로 엮어진 설화류를 비롯하여 이른바 가전체(假傳體)소설이 나온 시기를 말한다.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종적으로 설화와 가전체 소설의 진통을 이어받고, 횡적으로 당시 중국에서 전해져온 《전등신화(剪燈神話)》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다. 그 뒤에도 고대소설은 꾸준하게 발전하여,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계기로 군담소설(軍談小說)이 쏟아져 나왔고, 이때 《홍길동전(洪吉童傳)》이 나왔다. 《임진록(壬辰錄)》 《유충렬전(劉忠烈傳)》 《조웅전(趙雄傳)》 《임경업전(林慶業傳)》 등 군담(軍談)소설은 군담을 중심으로 왜호적(倭胡敵)에 대한 적개심이 그 주제로 되어 있고, 그 문체나 표현에 《삼국지》의 영향을 받은 점이 많다. 그러나 허균(許筠)이 지은 《홍길동전》은 당시 서얼(庶孼) 차별에 대한 계급 타파를 주제로 하여 엮어진 사회소설이다. 《홍길동전》은 당시 널리 퍼진 중국의 《수호전(水滸傳)》 《서유기(西遊記)》 《삼국지》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서 한국소설사에 있어서 최초의 국문소설이라는 것과, 시대와 밀접하게 관련된 사회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군담소설이나 《홍길동전》의 그 공통성은 구성에 있어서 모두 우연성과 비현실성이 게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숙종 때에 이르러 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과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가 나왔다. 《구운몽》은 환몽(幻夢)구조로 엮어진 이상주의(理想主義)의 대표작으로서 불교 금강경(金剛經)의 공사상(空思想)을 바탕으로 한 사상과 서정이 교착된 소설이며, 《서유기》 《삼국지》 《태평광기(太平廣記)》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사씨남정기》는 숙종 때의 기사환국(己巳換局)을 배경으로 엮어진 일종의 가정소설이다.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는 군담소설보다 현실성에 접근해 있어 우연성과 비현실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18·19세기에는 박지원(朴趾源)의 《호질(虎叱)》 《허생전(許生傳)》 《광문자전(廣文者傳)》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등의 연암소설(燕巖小說)과 《춘향전(春香傳)》 《흥부전(興夫傳)》 《배비장전(裵裨將傳)》 《변강쇠전》 등 판소리 소설이 나왔다. 박지원은 그때까지의 유가(儒家)의 허례허식에 반기를 들어 <실사구시(實事求是)>에 의한 실학(實學)을 작품화하였다. 연암소설이나 판소리소설이 지니고 있는 공통점은 양반계급의 대의명분을 비판·풍자하였고, 또 종래 소설에서는 양반계급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켰음에 반하여 하류층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다는 것과, 그 구성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필연성을 띠게 되어 사실주의 문학이 나타나기 시작한 점을 들 수 있다. 말기에 이르러 지은이 미상의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이 나왔는데, 이 작품은 우연성과 비현실성이 완전히 제거되어 거의 신소설 경지에 이른 느낌을 준다. 《채봉감별곡》을 끝으로 고대소설은 종말을 고하고, 그 이후로는 신소설이 나오게 되었다.
고대소설
Ⅰ. 개관
국문학 용어. 재래적인 명칭으로 소설·언패(諺稗) 또는 이야기책을 이른다. 언패는 언문(諺文)으로 된 패관소설(稗官小說)이라는 뜻으로서, 국문소설만을 가리킨다. 학술상의 명칭으로는 소설이라고만 하면 되지만, 갑오개혁 이후의 소설과 구별하기 위해서 고대소설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고대소설이란 용어 대신에 고전소설(古典小說)·고소설(古小說)·구소설(舊小說)이라고 하기도 한다. 고대소설이란 명칭은 갑오개혁 이후 나온 신소설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학자에 따라서 여러 명칭으로 부른 것에 불과하다.
장르적 성격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전기소설(傳奇小說)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견해도 있다.
Ⅱ. 개념
동양 전래의 ‘소설’이라는 용어의 뜻은 중요하지 않은 잡사(雜事)의 기록을 말하며, 이규보(李奎報)의 《백운소설(白雲小說)》 같은 것은 이런 뜻에서 소설이라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소설이라고 하면 서사문학(敍事文學)의 한 장르로 인물 ·사건 ·배경을 갖춘 이야기를 본질적 요건으로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소설은 산문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사무가(敍事巫歌)·서사민요(敍事民謠)·설화와 구별된다. 하지만 산문으로 되어 있다는 기준은 상대적인 것에 지나지 않아, 예컨대 판소리계 소설은 판소리의 율격(律格)을 거의 그대로 지닐 수 있다. 설화와 소설을 구별지어 주는 최소한의 요건은 구전(口傳)과 기록(記錄)의 차이이지만, 소설은 설화보다 생활이나 사회관계를 구체적으로 자세히 다룬다는 차이를 무시할 수 없다. 설화는 간략하게 이야기할 수도 있고 자세히 이야기할 수도 있으나, 모든 소설은 어느 정도 자세한 내용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소설은 문학적으로 볼 때, 생활이나 사회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이 나타난 시기에 발생한 장르로서의 의의가 있다. 고대소설은 현대소설에 비하여 현실적 의식이 약하다 할 수 있고, 환상적이거나 관념적인 면도 짙으며, 사건의 기이한 전개로 이루어진 작품이 많다. 이 점에서 고대소설은 서구의 로망스(romance)와 같다고 보고 소설(novel)에 해당하는 현대소설과 구별하려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고대소설 중에도 현실주의적 경향이 강한 것도 있고, 조선 후기에 이를수록 이런 경향이 커졌다고 할 수 있으므로, 고대소설을 로망스와 같다고 보는 견해는 전적으로 옳다고 할 수는 없다.
Ⅲ. 기원
소설의 시작은 15세기 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금오신화(金鰲新話)》에서 비롯되었다. 《금오신화》는 전 시대의 설화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나, 소설로서의 요건을 갖추었고 작가의 주제의식이 분명하다. 20세기 초 이른바 신소설이 출현함으로써 고대소설의 시대는 끝이 나는데, 《금오신화》는 한문소설의 효시이고, 《홍길동전(洪吉童傳)》은 국문소설의 효시이다. 고대소설에서는 한문소설과 국문소설이 병행해서 발전하여, 한문본(漢文本)으로도 나타나고 국문본(國文本)으로도 나타나는 작품도 많다.
고려시대에 성립되어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도 계속 창작되었던 가전체(假傳體)는 의인소설(擬人小說)이라 하여 소설에 포함시키는 견해도 있으나, 명명법(命名法)만이 중시되고 허구적인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 소설이라 하기 어렵다. 《한중록(閑中錄)》 등 궁중 사건을 담은 실화도 사실의 기록에 지나지 않으니 소설이라 하기 어렵다.
고대소설은 고전문학에서 양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여, 현재까지 번역을 포함하여 약 530여 종의 작품이 확인되어 있다. 같은 소설에도 여러 이본(異本)이 있는데, 《춘향전(春香傳)》 《임진록(壬辰錄)》의 이본들처럼 독자성이 강하여 독립적 작품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도 있다. 고대소설 중에서 가장 방대한 작품은 3부작으로 된 《명주보월빙(明珠寶月聘)》으로, 현재 필사본 235책이 전한다.
Ⅳ. 작가와 독자
고대소설의 작가는 한 계층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아, 김만중(金萬重)과 같은 집권층의 양반도 있고, 김시습·허균(許筠)·박지원(朴趾源)처럼 집권층에서 배척된 양반도 있다. 전자는 기존 질서나 이념을 긍정하고 이에 융합하려는 방향의 작품을 지었고, 후자는 기존 질서나 이념을 부정하고 이에서 벗어나려는 새로운 이념을 담은 작품을 지었다. 소설 창작은 품위 없는 일이라 생각되었으니만큼 지체가 높지 못한 층에서 많은 작가가 나왔으며 따라서 그 작가가 알려지지 않은 소설들이 대부분이다.
몰락한 양반 또는 평민 출신의 작가가 상업적인 보급자와 관련을 가지고, 어느 정도 직업적으로 소설을 썼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런 배경에서 나타난 작품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상업적인 보급자는 전기수(傳奇戒)·세책(貰冊)집 경영자·방각본(坊刻本) 출판업자의 세 형태이다. 소설의 독자도 어느 한 계층에 한정되지 않아, 양반의 부녀자들과 평민층도 소설에 관심을 가졌다.
Ⅴ. 작품의 형식
고대소설은 주인공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의 사건을 차례대로 서술하는 일대기소설(一代記小說)의 형식이 대부분이다. 《홍길동전》에서 시작되는 이런 형식은 ‘영웅의 일생’이라는 전승적 유형에 근거를 두고 있다. 한편, 《춘향전》처럼 주인공의 일생 중 어느 한 시기, 특히 청춘시절만 다룬 것도 있고, 《금오신화》처럼 한 시기의 어떤 사건만 다루는 소설도 있다. 또 《구운몽(九雲夢)》처럼 주인공이 태어나기 전과 주인공이 세상을 떠난 후의 일을 덧붙여 다룬 것도 있고, 나아가 아버지 대(代)·주인공 대·아들 대를 순차적으로 다룬 3대기(三代記) 소설도 있다.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처럼 주인공 외에 주인공과 관계되는 여러 인물을 같이 다룬 것은 가문소설(家門小說)이라 할 수 있는데, 3대기의 가문소설이 가장 방대한 형식이다.
한편 한 대에서 일어난 여러 사건을 상호간의 관계를 긴밀하게 설정하지 않고 다루는 《임진록(壬辰錄)》과 같은 연대기소설도 있다. 이 밖에 장편의 소설을 여러 장회(章回)로 구분한 것을 장회소설(章回小說)이라 한다. 한문소설은 모두 문어체(文語體)로 되어 있고, 백화(白話)로 된 것은 보이지 않는다. 한문소설 중에는 화설(話說)·차설(次說) 등으로 시작되는 관용적(慣用的) 표현을 따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데, 전자는 국문본과 병존(倂存)하는 경우가 많다. 국문소설은 문체에 따라 역어체소설(譯語體小說)·가사체소설(歌辭體小說)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역어체소설은 한문 번역을 통하여 발전된 것으로, 국문본 《구운몽》이 대표적인 예이다. 판소리계 소설처럼 율문(律文)에서 사용되던 율격(律格)의 흔적이 남아 있거나 낭독하기에 적합하도록 쓰인 소설은 가사체소설이라 할 수 있으나, 가사체라 해서 율문이라 하기는 어렵다.
Ⅵ. 배경과 인물
고대소설의 지역적 배경은 중국과 한국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이외의 장소는 흔하지 않다. 중국을 배경으로 한 이유는, 중국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면서도 상상력이 개입될 수 있고, 한국의 현실을 간접적으로 비판하기에 적절하고, 작품의 품위를 높여 준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보수적 경향을 지닌 소설이 주로 중국을 무대로 한 데 비하여, 평민소설과 비판적 지식인의 소설은 한국을 무대로 하고 있다.
고대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은 영웅적 인물과 일상적 인물의 두 가지로 갈라진다. 김덕령·유충렬·양소유처럼 탁월한 능력을 가진 것으로 설정된 인물은 영웅적이라 할 수 있고, 놀부·허생·이춘풍처럼 범속한 인물은 일상적이라 할 수 있다. 영웅적 인물은 귀족적인 소설에서, 일상적인 인물은 평민적인 소설에서 흔히 등장하는데, 두 가지 성격의 인물이 같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고대소설의 등장인물은 남성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어서, 영웅적이거나 일상적인 여성도 주인공으로 나타난다.
Ⅶ. 작품의 주제
고대소설에는 기존 질서를 존중하고 봉건적인 도덕률과 세계관을 긍정하는 것도 있고, 이와는 달리 기존 질서와 도덕률 및 세계관을 비판하고 부정하는 것도 있다. 《구운몽》 《유충렬전(劉忠烈傳)》 《창선감의록》 등은 기존 질서와의 융합이 숭고하게 나타나고 봉건적 세계관의 근거로서 유교와 함께 도교나 불교가 작용하고 있다.
《홍길동전》 《운영전(雲英傳)》 《양반전》 등은 기존질서와의 충돌이 비장(悲壯)하거나 해학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현실주의적 사고가 작품의 근저를 이루므로 초자연적인 요소는 제한되어 나타난다. 판소리계 소설은 보수적인 도덕률을 지니고 있으면서 기존 질서를 해학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고대소설은 전반적으로 권선징악을 주제로 하는데, 시대와 작품에 따라 선과 악의 내용이 다르다.
Ⅷ. 작품의 연대구분
고대소설 작품은 대부분 작자 및 창작 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고대소설사의 시대를 구분하기란 어렵다. 작자 및 창작 연대가 알려진 작품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잠정적인 시대구분이 가능하다.
① 《금오신화》와 《홍길동전》이 나타난 15·16세기의 소설은 봉건사회에 대한 회의와 비판을 내용으로 한다. ② 《구운몽》 《창선감의록》 및 《숙향전(淑香傳)》 《유충렬전》 등이 나타난 17세기의 소설은 전 시기의 소설보다 형식과 문체는 발전하였으나, 주제면에서는 오히려 관념적·운명론적인 성격이 나타났다. ③ 연암(燕巖)의 소설, 판소리계 소설 및 《천수석(泉水石)》 《보은기우록(報恩奇遇錄)》 등의 작품이 나타난 18·19세기의 소설은 장르적 성격이 뚜렷해졌고, 봉건사회의 해체과정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고전소설 요점 정리
1. 뜻 : 조선시대에 쓰여진 소설을 가리키며 갑오경장(1894) 이전의 소설을 말함
2. 특징 :
① 주제 : 권선징악(勸善懲惡), 인과응보(因果應報)
② 구성 : 일대기적 구성, 평면적, 행복한 결말
㉠ 인물 : 과장적, 선악의 대결, 전형적
㉡ 사건 : 비현실적, 우연적
㉢ 배경 : 대부분이 중국(공간), 작가들이 살고 있는 시대가 아닌 과거(회고적)
③ 문체 :
㉠ 낭독하기 좋은 운문체, 가사체
㉡ 언문일치가 아닌 문어체 : -하였더라. -가로되
㉢ 길게 이어 쓴 만연체
3. 판소리계 소설
① 뜻 : 근원설화 - 판소리소설 - 고전소설 - 의 과정을 밟아 창작된 소설
② 종류 : 흥부전(방이설화), 춘향전(열녀설화), 심청전(연권녀설화,효녀지은설화), 토끼전(구토지설) 등
전(傳)과 소설(小說)의 갈래적 특성 비교
|
전 |
소설 |
작품 세계 |
사실 지향 |
허구 지향 |
구성 |
정형성(일정한 형태나 형식을 말함) |
인과성(원인과 결과를 이르는 말) |
대상 |
인물 |
사건 |
창작 의식 |
기록성 |
창조성 |
기능 |
교훈성(권선징악, 인과응보) |
흥미성 |
고대 소설과 현대 소설의 특징
구 분 |
고대 소설 |
현대 소설 |
인물면 |
평면적 인물, 전형적 인물 |
입체적 인물, 개성적 인물 |
사건면 |
우연적, 비현실적 |
현실적, 사실적 |
문체면 |
운문체 |
산문체 |
구성면 |
일대기적 구성 |
복합구성 |
주제면 |
권선징악 |
다양함 |
작자면 |
작자 미상이 많음 |
작자가 거의 있음 |
인물의 제시 방법
구분 |
직접적 제시 방법(분석적 방법) |
간접적 제시 방법(극적 방법) |
개념 |
서술자가 인물의 특성이나 성격을 직접 요약, 설명하는 법 |
인물의 행동이나 대화를 통해 장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인물의 성격이나 심리를 판단 하게 하는 방법 |
의미 |
설명적→말하기(telling), 요약 편집자적 논평 |
묘사적→보여주기(showing) |
방법 |
성격이나 심리 상태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과 설명(편집자적, 해설적), 화자의 요약, 설명은 물론, 타인물의 보고 등을 통하여 이루어짐 |
등장 인물의 언어 행위를 중심으로 행동이나 비롯, 대화, 갈등을 장면적으로 보여줌. |
단점 |
추상적인 설명으로 흐르기 쉬움. 작가의 견해를 나타내는 데 불편함. |
작가의 견해를 나타내는 데 알맞음. 구체적, 감각적으로 제시함 |
장점 |
작가의 견해를 나타내는 데 알맞음 |
구체적, 감각적으로 제시함 |
구체적인 작품의 예
|
<중략>뾰쪽한 입을 앙다물고 돋보기 너머로 쌀쌀한 눈이 노릴 때면, 기숙생들이 오싹하고 몸서리를 치리만큼 그는 엄격하고 매서웠다. '현진건, B사감과 러브레터'에서 |
"벳섬 좀 치워 달라우요." "남 졸음 오는데, 님자 치우시관." "내가 치우나요?" "이십 년이나 밥 처먹구 그걸 못 치워." '김동인, 감자'에서 |
인물의 유형
역할에 따라 |
주동인물 |
주인공으로서 사건을 이끌어 가며, 주제를 부각시키는 인물로 작품 안에서 주동적 역할을 수행하는 긍정적 성격의 인물로 춘향전에서 '이몽룡', '성춘향' |
반동인물 |
주인공과 맞서거나 적대적 위치에 있는 인물로 갈등을 일으키거나 부정적 성격의 인물로 춘향전의 '변학도' |
|
성격에 따라 |
전형적 인물 |
집단이나 특정 계층의 보편적인 성격을 대표하는 전형성을 지닌 인물로 시대적 보편성을 지닌 자로 흥부- 선인의 전형, 길동 - 영웅의 전형 , 심청 - 효의 전형, 춘향전의 춘향은 열녀(烈女), '흥부전'의 놀부는 악인(惡人)을 대표하는 전형적인 인물로 현대에서는 루쉰의 '아큐정전'에서 아큐라는 인물은 봉건적 잔재를 버리지 못하'고 있는 당대 중국 민중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자기 기만의 태도, 강자에 굴종하고 약자에게 으시대는 노예 근성의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부정적 인물이자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인물. |
개성적 인물 |
어떤 특정 사회의 부류나 계층에 속하지는 않는 개인으로서 독자적 성격을 가진 인물, 독특한 개성을 지님 '운영전의 운영과 김진사', '광문자전'의 광문 |
|
성격변화 여부에 따라 |
평면적 인물(정적인물) |
인물의 성격이 처음부터 끝까지 성격이 변하지 않는 정적(靜的) 인물. (고대소설에서 많이 나타남. '심청전의 심청') |
입체적 인물(동적 인물) |
환경, 상황 등의 영향으로 사건의 진전에 따라, 인물의 성격이 자주 바뀌는 동적(動的) 인물(현대소설에 많이 나타남) - 홍길동전의 홍 판서로 호부호형을 허락함 |
|
중요도에 따라 |
주요 인물 |
주인공, 또는 그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로 춘향전에서 춘향. 이몽룡 |
주변 인물 |
이야기의 진행을 도와 주는 역할을 하는 인물로 '춘향전'의 향단, 방자 |
|
인생을 보여주기에 따라서 |
비극적 인물 |
제도, 인습, 인간의 탐욕 등에 의해 희생되는 비극적인 면을 보여주는 인물로 운영전의 운영, 장화홍련전의 장화, 홍련 |
희극적 인물 |
인생의 희극적인 면을 보여 주는 인물로 시대나 사회 현실을 풍자함 - 이춘풍전의 '이춘풍' |
인물의 유형
재자가인형 인물 |
특출난 재주나 현숙한 미인의 주인공 |
의인화된 인물 |
가전체 소설과 우화 소설의 인물로 주로 현실을 풍자하는 인물 |
근대화된 인물 |
진보적인 사상으로 고대 사회의 이념에 반하여 행동하는 인물 |
영웅형 인물 |
귀한 혈통 - 비정상적 탄생 - 기아와 시련 - 구출 - 승리자가 되는 인물 |
방자형 인물 |
진지함과 엄숙함을 비판하고 넉살과 신명의 오락성으로 지배층을 풍자, 비판하는 인물 |
갈등(葛藤 : 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의 유형
유형 |
특징 |
개인의 내적 갈등 |
개인의 내부의 심리적 모순 대립에 의한 내적(內的)인 갈등으로 '김만중, 구운몽'에서 불도(佛道)를 닦던 성진이 팔 선녀를 만난 후, 속세의 부귀공명과 불도의 적막함 사이에서 내적 갈등을 겪게 된다. |
개인과 개인의 갈등 |
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들과의 대립 관계에서 일어나는 갈등으로 '김유정, 동백꽃'에서 닭싸움을 통해 서로 대립하고 있는 '점순'과 '나'의 대립과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춘향과 변사또의 갈등을 그 한 예로 들 수 있다. |
개인과 사회의 갈등 |
등장 인물과 사회의 관습, 제도와의 대립에서 일어나는 갈등 '채만식, 레디메이드 인생'에서 인텔리인 등장 인물과 인텔리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사회 사이의 갈등이 나타난다. 홍길동이 살아가면서 겪는 사회 윤리, 제도와의 갈등을 말한다. 호부호형을 할 수 없는 사회 제도 |
개인과 운명의 갈등 |
한 개인이 인간의 조건과 대결하는 과정으로 '오영수, 갯마을'에서 '해순'이라는 과부가 어쩔 수 없이 갯마을을 떠나야 하는 운명과의 갈등이 드러나 있다. 바리 공주는 부모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무장승의 약수를 구해 오기로 하고 길을 떠난다. 무장승은 나무 삼 년 해 주기를 요구한다. 그것이 바리공주에게 주어진 운명이며, 바리 공주는 운명과 대결한다. |
개인과 자연의 갈등 |
등장 인물과 이들의 행동을 제한하는 자연 현상과의 갈등으로 ' 김정한, 사하촌'에서 극심한 가뭄이라는 자연 현상과 이에 시달리는 사하촌 사람들의 갈등이 엿보인다. 또한, 심청전에서 뱃사람들이 험한 인당수를 무사히 항해하기 위하여 심청을 제물로 바치려 한다. |
소설의 표현 방법
① 서술(敍述) : 사건을 차례로 이야기해 나가는 표현 예) 아이들은 패를 갈라 씨름도 하고 말타기도 했다.
② 묘사(描寫) : 사물의 형태나 심리를 비유에 의해 표현함 예) 춘돌이는 엉거주춤하고 흰자위를 두어 번 굴리다가 갑자기 ‘끼루룩’하고 껑충 솟구어 뛰었다.
③ 설명(說明) : 지은이가 풀이해서 알려주는 표현 예) 기차도 전기도 없었다. 라디오도 영화도 몰랐다. 그래도 소년은 마을 아이들과 함께 마냥 즐겁기만 했다.
④ 대화(對話) : 인물들이 주고받는 말로서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행동 및 심리를 묘사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 “그게 뭐냐?” “물까마귀다.” “웬거냐?” “잡은 거다.”
* 대화의 특성(말하기 방식) : 인물의 대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물 간의 관계와 주요 사건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인물들의 처지나 이해 관계에 따라 사건을 바라보는 태도와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작품에 제시된 여러 가지 정황을 바탕으로 화자의 의도와 발화 상황을 잘 살펴보도록 한다.
* 편집자적 논평 : 작중화자, 즉 서술자가 진행 중인 사건이나 인물의 언행 등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것으로 편집자적 논평이라고도 한다. 작중 화자의 개입은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가능하며 특히 판소리계 소설에서 빈번히 볼 수 있다.
(예문)
민정(民情)을 생각하고 본관의 정체(政體)를 생각하여 지었것다.
어찌 가련(可憐)하지 아니하리요.
홧김에 하는 말이었다.
어찌 다 설화하랴. 춘향의 높은 절개 광채 있게 되었으니 어찌 아니 좋을쏜가?갈 바이 망연(茫然)하고나.
바람이 분들 끄덕하며 비가 온들 떠내려 갈쏘냐.
그리하여서야 효녀 죽음 될 수 있나,
뉘라서 건져 주리
뉘 즐거이 고집을 부려서 한림의 뜻을 거스르리오.
* 바꿔쓰기의 효과
서술 방법이 3인칭에서 1인칭으로 바뀌면 등장 인물을 가리키는 말이 달라지고 글의 분위기가 달라진다. 위 글에서는 격식 있는 말투에서 대화체로 바뀌어 마치 눈 앞에서 벌어지는 일처럼 사건이 묘사되어 독자들에게 실감나게 하고 있다.
소설의 구성 단계
① 발단 :인물과 배경이 소개되고 사건의 실마리가 나타난다.
② 전개 :사건이 발전하고, 갈등도 나타난다.
③ 위기 :전개의 발전이면서 놀라움을 가져오는 계기가 마련된다.
④ 절정 :인물의 성격, 행동, 갈등 등이 최고조에 이르게 되며 주제가 선명히 드러난다.
⑤ 결말 :주인공의 운명이 분명해지고 사건이 해결되는 끝맺음에 이른다.
소설의 3요소
① 주제 : 작가가 표현하려고 하는 정신적인 내용, 즉 작가의 인생관
② 구성 : 제재를 선택하여 이야기의 내용을 가장 효과있게 표현하기 위하여 선택한 작품의 뼈대, 즉 얽거리
③ 문체 : 작가의 품격을 나타내는 문장의 체재, 곧 문장의 성격
구성의 3요소
① 인물 : 소설에 등장하는 사람. '성격'이라고도 한다.
② 사건 : 등장 인물들의 행동, 갈등에 의해 전개된다. - 우연성과 전기성(고전 소설의 사건은 필연적인 인과 관계가 제시되지 않은 채 우연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사건 전개의 우연성이라고 한다. 또한, 고전 소설에서는 현실 세계에서 나타날 수 없는 사건, 즉 초현실적이고 실현 불가능한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전기성(傳奇性)이라고 한다.)
③ 배경 : 인물들의 사건이 벌어지는 때와 장소를 말한다.(시간적, 공간적 배경과 사회적 배경, 사상적 배경, 자연적 배경 등을 말한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