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古家) / 요점정리 / 정한숙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정한숙(鄭漢淑: 1922 - 1997)
평북 영변 출생. 1950년 고려대학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1957~1988년 고려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82년 고려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후 고려대 명예교수로 활동하였으며, 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예술원 회장, 문예진흥원장 등을 지내면서 학계와 예술행정에 두루 업적을 남겼다.
1948년 《예술조선》지에 단편 《흉가》가 입선하여 문단에 데뷔한 이래 《배신(背信)》 《광녀(狂女)》 《내일에의 번민》 《준령(峻嶺)》 《닭》 《그늘진 계곡》 《바위》 《눈 내린 날》 등 다양한 소재를 도입한 단편소설을 발표하였으며, 특히 《전황당인보기(田黃堂印譜記)》 《고가》 《금당벽화》 등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주옥 같은 작품은 현대문학사에 한 줄기를 차지하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체적인 작품경향은 작품의 주제나 구성보다 다양한 언어구사에 치중한 편이다. 내성문학상, 3·1문화상, 예술원상, 대한민국예술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요점정리
배경 : 6 25 전쟁을 전후한 사회 현실.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인물 : 필재 - 종가집 종손. 봉건적 환경 속에서 절제로 살아온 인물.
어린 시절부터 할아버지, 작은 아버지, 작은 어머니, 할머니,
어머니 그리고 길녀의 죽음까지 지켜보는 동안 종가와
종손이라는 틀을 벗어 버리고자 몸부림치는, 근대사의
전환기적 인물.
주제 : (김씨 일가의 삶을 통한) 민족사의 비극과 수난.
이해와 감상
정한숙은 어느 한 주제에 집착하지 않고 여러 방면에 관심을 기울여 작품을 쓰는 작가다. 그래서 흔히 다양한 수법의 작가로 일컬어진다. 그는 <고가>를 발표하면서 신진 작가 시절을 거치지 않고 중견 작가로 곧장 올라서는 작가적 기반을 얻게 된다.
그의 작품 세계는 역사 속에서 펼쳐지는 사건들을 현대적인 시각으로써 그 전통적 의미를 되살리거나 민족사의 비극과 수난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소설 <고가>는 그의 <끊어진 다리>와 함께 민족사의 비극과 수난을 다룬 작품이다.
줄거리
주인공 필재는 세칭 김씨 마을이라고 전해지는 마을의 종가집 종손이다. 5대조때부터 자리를 잡았다는 장동 김씨 집안이지만 세도가 약해져 낙향한 상태였다. 필재는 일찍 아버지를 여읜 탓에 할아버지로부터 가문에 대한 얘기를 들으며 그 영향 하에서 자란다. 필재의 집안은 고집과 양반의 권위에 싸여 있는 할아버지와 그 할아버지와 대립적 위치에 있는 작은 아버지, 그리고 이 둘을 둘러싸고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소실 작은 할머니(노비 출신), 필재의 어머니와 작은 어머니, 작은 할머니가 낳은 어린 태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재의 집을 둘러싸고 있는 집안들 틈에서 어느 날 숙부에 의해 필재의 상투머리가 잘리면서부터 서서히 집안에 붕괴의 조짐이 일어난다. 일제 침략기의 상황 속에서도 필재의 집안 사람들은 상투머리와 종가집의 위신을 고집해 왔다. 어른들 사이의 미묘한 일들이 무엇인지 모르는 가운데 할아버지와 어머니, 숙모, 할머니들의 눈치를 살피면서 필재는 집안의 종손이라는 자신의 위치를 점차 깨닫기 시작한다. 작은 아버지의 사망 소식과 잇따른 작은 어머니의 죽음, 화병으로 인한 할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다음, 필재는 자신이 종손이라는 위치에 대해서 더욱 부담을 느끼며 대학까지 공부를 마친다.
일본이 패망하고 독립이 되자, 근로 동원에 나갔던 태식이 돌아오고 필재는 태식과 잘 지내려고 노력하지만 첩의 자식이라는 천대 속에 자라면서 한을 품고 살아온 태식은 이미 비뚤어질 대로 비뚤어진 상태였다. 대대로 내려오던 집안이 자기 대에 이르러 영락해 버리는 듯한 슬픔을 느끼면서 필재는 고향에 내려온 이틀 후 6 25를 맞는다.
필재와 종의 딸인 길녀는 서로에 대한 마음을 확인하고 신분상의 차이는 사랑으로 극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길녀가 태식과 함께 공산당 노릇을 하다가 필재에게 편지 한 장을 남긴 채 목을 매어 자살하자, 필재는 자신의 삶에 대한 의욕마저 상실됨을 느끼다가 어머니가 죽은 후 고향을 떠난다. 그 후, 다시 고향으로 내려온 필재는 이제는 모든 것을 정리하려 한다. 그러자 집안 어른들은 필재에게 종손임을 인지시키며 오히려 출마를 권유한다.
필재는 종파를 나누고 문중을 따지는 것이 이 모든 비극의 원천이라 생각하게 된다. 이 나라의 비극 또한 종가를 중심으로 벌어졌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것을 가장 뼈저리게 체험하고 느낀 것이 바로 자신이고, 그 희생자가 태식이와 길녀인 것만 같았다. 문중 어른들을 향해 모든 것을 처분할 의사를 비치고 나오는 필재의 눈에 조부의 얼굴 같은 고가(古家)의 그림자가 별빛 아래 어렴풋이 보였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