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어(金魚) / 요점정리 / 정한숙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정한숙(鄭漢淑: 1922 - 1997)
평북 영변 출생. 1950년 고려대학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1957~1988년 고려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82년 고려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후 고려대 명예교수로 활동하였으며, 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예술원 회장, 문예진흥원장 등을 지내면서 학계와 예술행정에 두루 업적을 남겼다.
1948년 《예술조선》지에 단편 《흉가》가 입선하여 문단에 데뷔한 이래 《배신(背信)》 《광녀(狂女)》 《내일에의 번민》 《준령(峻嶺)》 《닭》 《그늘진 계곡》 《바위》 《눈 내린 날》 등 다양한 소재를 도입한 단편소설을 발표하였으며, 특히 《전황당인보기(田黃堂印譜記)》 《고가》 《금당벽화》 등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주옥 같은 작품은 현대문학사에 한 줄기를 차지하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체적인 작품경향은 작품의 주제나 구성보다 다양한 언어구사에 치중한 편이다. 내성문학상, 3·1문화상, 예술원상, 대한민국예술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요점정리
갈래 : 단편소설, 액자 소설
배경 : 민족의 시련기라는 동일한 시간대와 사찰이라는 동일한 공간이
병치(竝置)됨. 백제 멸망기의 무명(無名)의 사찰을 배경으로
삼존 천불상은 이루어지고, 광복의 와중에서 수덕사를 배경으로
불화가 완성된다.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문체 : 우유체
제재 : 삼존 천불상의 제작과 불화의 완성
주제 : 현실적 삶이 주는 고통과 번민의 종교적 승화
인물 : 임실 - 미천한 신분의 백제 석공(石工). 신라 관창의 영향을 받아
쓰러진 백제를 구하고자 군문(軍門)에 뛰어든다. 마지막
전투에서 큰 부상을 입은 것을 스님이 구해 준다.
삼존 천불상을 완성하고 불법에 귀의한다.
아심 - 본명은 '정희'. 해방 다음해 약혼자와 함께 월남(越南)했으나
약혼자는 전사(戰死)함. 수덕사에 입문하여 일엽 스님으로부터
'아심(芽心)'이라는 법명을 받음. 탱화의 대가(大家)가 됨.
여대생 - 불화와 불상을 연구하는 대학원생
구성 : 도입부 - 여대생으로부터 불상의 내력을 들은 '아심' 스님은
공주 박물관에 소장된 삼존 천불상을 보 고 무한한 법열을
느낀다.
내부 이야기 - 나당(羅唐)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멸망하자 석공(石工)
'임실'은 구국 항쟁의 대열에 참가해 싸우다가 부상당한다.
부상당한 임실을 스님이 구해 준다. 그는 삼존 천불상을
제작한다.
결말부 - 삼존 천불상을 본 지 3년이 지났다. '아심' 스님은 필생의
대작(大作)을 그린다.
이해와 감상
1972년 <지성(知性)>에 발표된 단편 소설. '금어(金魚)'는 불화나 만다라를 그리는 스님을 뜻한다. 백제 시대의 아픈 삶의 자취가 해방 다음해 한국 백성 중의 한 남녀의 삶 속에 와서 평형을 이루면서 예술적 전통의 맥락을 잇는다는 내용의 액자(額子) 소설이다. 외부 이야기는 '아심' 스님의 현재 이야기이고, 내부 이야기는 1300년 전 백제 멸망을 전후한 '임실'이라는 청년의 이야기이다.
정한숙의 소설에서 파란 만장한 이야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사랑 손님과 어머니>(주요섭) 같은 가슴 저린 사랑의 파문(波紋)도, <광염 소나타>(김동인)와 같은 극적인 광태(狂態)도 없다. 그러나 깊고 잔잔한 호수와도 같은 정적미(靜寂美)를 기대할 수는 있다. 정한숙의 소설을 통해 우리는 격동의 현실이 아니라, 조용히 침잠하여 평정에 이른 고풍스런 멋의 세계와 만나게 된다.
이러한 작품 세계를 평론가 정현기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정한숙을 비롯한, 대학 교단에도 서면서 작품 활동을 하는 몇몇 작가들의 작품이 지닌 일반적인 특성 중 중요한 몫에 대해서 나는 '치우침으로부터의 몸사림'이라는 말로 요약하려 한다.
어떤 사건에 개입된 인물들이 행동이나 생각에다 부여하는 작가의 안목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잘못되면 치기(稚氣)로 흐르기 십상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작품 전체에 불어넣는 활력일 수도 있는 뜨거운 열정의 등밀이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면서 그 뒤의 결과까지 긴 안목으로 보려 하는 노숙(老熟)한 관찰법이 이런 지식 체계를 지닌 작가들의 작품 주제를 지배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하는 게 나의 생각이다.
이런 특성은 까딱하면 작품으로서 치명적인 흠일 수 있다. 재미나 관심에의 유도라는 점에서 볼 때 달관한 듯한 어른들의 이야기는 지루해서 읽어 내기 힘들 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바로 이러한 어른의 소설의 달관한 듯한 이야기 스타일 속에서 한국 소설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을 기대하고 있다.― <안개 거리> (정음사. 1983, 353쪽)
작품 <금어(金魚)>는 철저한 이중 고리로 짜여져 있다. 과거의 '임실'과 현재의 '아심'의 득도(得道) 과정이 시간대와 장소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 방식으로 되어 있다. 불법(佛法)에서 말하는 윤회(輪廻)의 원용(援用)인지도 모를 일이다. 두 사람에게는 3년의 수행 과정('임실'에게는 남자로서 조국을 위한 투쟁이, '아심'에게는 여자로서 고뇌를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일)이 필요했으며, 1년의 말미를 거쳐 이들은 모두 승려가 된다.
줄거리
해방 다음해, 38선 이북 땅엔 소련군이 진주한다. 식구들은 '정희'를 약혼자와 먼저 월남하게 한다. 약혼자 '김동성'은 국방 경비대에 입대하여 송악산 전투에서 전사한다. 약혼자의 유해조차 찾지 못한 그녀는 수덕사의 김일엽(金一葉) 스님을 찾는다. 1년간 수행한 후 스님으로부터 '아심(芽心)'이란 법명을 받고 정식 비구니가 되어 20년의 세월이 흐른다.
그러던 어느 해 여름, 한 여대생과 만나게 된다. 불화와 불상을 연구라는 대학원생인 그녀와 함께 기거하면서 공주 박물관에 안치된 삼존 천불상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1300년 전, 백제가 나당(羅唐) 연합군에 패한다. 석공(石工) 일을 하던 16세의 청년 '임실(任實)'도 군문(軍門)으로 뛰어들어 항쟁의 대열에서 3년의 세월을 보낸다. 마지막 남은 항쟁의 거점인 임존성이 포위되자 여기를 탈출하다가 '임실'은 크게 부상을 입고 정신을 잃는다. 스님에 의해 구조된 '임실'은 절에서 생활하게 되지만 불사(佛事)에는 관심이 없다.
어느 여름 날, 냇물에서 몸을 씻다가 검정빛 돌을 하나 발견한다. 그 돌에서 문득 자신의 과거를 보게 된다. 3년 동안 자신이 모시고 다녔던 흑치상지 장군 등 여러 사람의 얼굴이 비쳐 나오는 것이다. '임실'은 자신도 모르게 그 돌을 향해 합장 배례한다. 그리고는 그 돌에 삼존불을 새기기 시작한다. 그 후 1년 동안 손 끝에 굳은 못이 박히도록 작업에 정진한 결과 삼존 천불상을 완성한다. 그 사이에 마음 속에 쌓였던 망국의 울분과 고민도 풀려 간다. '임실'은 불상 앞에 합장하고 머리를 깎는다.
삼존 천불상은 이렇게 제작되어 오늘날 공주 박물관에 보존되었다. 이 불상 앞에서 '아심(芽心)' 스님은 전율 이상의 것을 느낀다. 황홀한 감격에 시간 가는 줄도 모른다. 박물관에서 돌아온 '아심(芽心)'은 붓을 들고 부처님 탱화를 그리기 시작한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