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몽요결 (擊蒙要訣)
by 송화은율격몽요결 (擊蒙要訣)
사람이 이 세상에 나서 학문하지 않고서는 사람다울 수 없다. 이른바 학문이라는 것이 역시 이상하고 별다른 것이 아니며, 그저 아비가 되어서는 사랑해야 하고, 아들이 되어서는 효도해야 하고, 신하가 되어서는 충성해야 하고, 부부가 되어서는 구별을 지켜야 하고 형제가 되어서는 우애가 있어야 하고, 젊은이가 되어서는 어른을 공경해야 하고, 벗이 되어서는 믿음이 있어야 하는 것이나, 다 일상 생활의 모든 일에 있어서 그 일에 따른 마땅함을 찾을 뿐이지 현묘(玄妙)한 데에 마음을 두어 기이한 효과를 바라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배우지 않은 사람은 마음의 바탕이 가려져서 식견이 어두우므로, 꼭 글을 읽어서 이치를 궁구하여 마땅히 행할 길을 밝히고서야 행위가 비름을 얻고 실천이 알맞음을 얻게 될 것이다. 그런데도 요즘 사람들은 학문이 일상 생활에 있는 줄 모르고 망령되게 뜻을 높고 멀게 하여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하므로, 특별한 사람에게 미루고 스스로는 될 대로 되라며 안일하니 어찌 불쌍하지 않으랴.
내가 해산(海山)의 양지에 살 때, 한두 학도가 상종(相從)하여 배움을 묻는데, 내가 스승이 될 수 없는 것이 부끄럽게 생각되었으나. 또한 처음으로 배우는 사람이 방향을 모르고 또 굳은 뜻이 없이 범범히 배우기만 바라면, 피차에 도움이 없고 도리어 남의 비방만 살 것을 염려하여, 간략히 한 책자를 써서 마음을 세우고(입심), 몸을 바르게 하고(칙궁), 부모를 봉양하며(봉친), 남을 접대하는(접물) 방법을 대략 서술하고, <격몽요결(擊蒙要訣)>이라 이름지어, 학도가 이것을 보고 마음을 깨끗이 하고 기초를 세워 즉시 공부에 착수하게 하며, 나도 오래도록 구태(舊態)에 얽매였던 것을 걱정해 왔기에 이것으로 스스로 경계하고 반성하려 한다.
처음으로 배우는 사람은 먼저 모름지기 뜻을 세우고, 성인(聖人)이 되기를 자기의 목표로 하여야 하며, 한 터럭만큼도 스스로 적게 여겨 물러서고 미루려는 생각을 가져서는 안 된다. 대개 뭇사람도 성인과 그 본성은 같으니 비록 기질에는 맑고 흐림과 순수하고 조잡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꼭 참되게 알고 실천하여 그 낡은 습속(習俗)을 버리고 그 본성을 되찾을 수 있다면, 털끝만큼도 보태지 않고서도 온갖 선(善)에 족할 터인데 뭇사람이 어찌 성인 되기를 스스로 목표로 삼지 못하랴.
이런 까닭에 맹자(孟子)는 사람의 성품은 본래 착한 것이라고 설명할 때는 언제나 요순(堯舜)을 들어서 비유하였다. 맹자의 말에 “사람들은 누구나 요순이 될 수 있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 하였는데 어찌 이 말이 허황된 말이겠는가? 늘 스스로 분발하여 말하기를 “사람의 품성은 본디 착한 것이어서, 옛날과 지금, 지혜로움과 어리석음의 구별이 없는데. 성인은 왜 특별히 성인이 되고 나는 왜 특별히 보통 사람인가. 참으로 뜻이 서지 않고 아는 것이 밝지 않고 행실이 도탑지 않은 까닭이다. 뜻이 서고 아는 것이 밝고 행실을 도탑게 하는 것은 다 나에게 있으니, 어찌 다른 데서 구하랴.” 라고 하였다. 그리고 안연(顔淵)이 말하기를 “순(舜)은 누구이고 나는 누구인가, 모든 일을 성실하게 행하면 누구든지 순처럼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였으니, 나도 또한 안연이 순과 같이 되기를 바라던 것을 본받으려 한다.
사람의 얼굴은 추한 것을 곱게 바꿀 수 없으며, 힘은 약한 것을 세게 바꿀 수 없으며, 키는 작은 것을 크게 바꿀 수 없으니, 이것은 이미 정해진 분수이므로 고칠 수 없다. 그러나 오직 심지(心地)는 어리석은 것을 지혜롭게, 어두운 것을 어질게 바꿀 수 있으니, 이것은 마음이란 것이 매우 심령스러워서 타고난 것에만 얽매이지 않기 때문이다. 대체로 지혜로움보다 훌륭한 것이 없고 어짐보다 귀한 것이 없는데 무엇이 괴로워서 어질고 지혜롭게 되지 못하고 하늘이 내려 준 본성을 손상하랴. 사람이 이 뜻을 유지하고 굳게 물러서지 않으면 어진 이가 될 수 있다.
무릇 사람들이 스스로 뜻을 세웠다고 하면서도 곧 노력하지 않고 머뭇거리며 기다리는 것은 명목상으로는 뜻을 세웠다 하나 실은 배움을 향하는 성의가 없기 때문이다. 진실로 내 뜻을 학문에 두었다면, 인(仁)함이 나에게 있으므로 하려고 하면 될 것인데, 왜 남에게 구하며 왜 뒷날로 미루랴. 뜻을 세움이 귀하다는 것은 곧 공부를 시작하여 생각이 물러서지 않는 까닭인데, 만일 뜻이 정성스럽지 못하여 하는 것 없이 날만 보낸다면 종신토록 어찌 성취하는 것이 있으랴.
요점 정리
연대 : 조선 중기
작자 : 이이
형식 : 수필
성격 : 성찰적
주제 : ‘격몽요결’의 소개와 학문에 임하는 자세
내용 연구
이해와 감상
이 글은 아이가 배움에 있는 학도들을 위해 ‘격몽요결’이라는 책을 집필하고 나서 그 집필 의도를 밝힌 글이다. 아울러 자기도 이 책을 통해서 스스로 경계하고 반성하려고 한다는 의도를 밝히고 있는 글로 후학들에게 학문의 길을 안연의 예를 들면서 밝히고 있다. 이 글은 ‘격몽요결’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것으로 ‘격몽요결’의 내용이 무엇이며 어떤 태도로 이 책을 읽어야 하는지와 학문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소개하고 있다.
이해와 감상1
1577년(선조 10) 이이(李珥)가 일반 학도들에게 도학(道學)의 입문을 지시하기 위해서 저술한 책. 2권 1책. 인본(印本). 이 책은 덕행과 지식의 함양을 위한 초등과정의 교재로 근세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 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초학자들에게 ≪천자문 千字文≫·≪동몽선습 童蒙先習≫·≪훈몽자회 訓蒙字會≫에 이어 널리 읽혀졌다.
서문에 의하면, 저자가 해주의 은병정사(隱屛精舍)에서 제자들을 가르칠 때, 초학(初學)의 향방을 정하지 못하여 굳은 뜻이 없는 제자들에게 뜻을 세우고 몸을 삼가하며, 부모를 봉양하고 남을 접대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서 이 책을 지었다고 하였다.
본문은 입지(立志)·혁구습(革舊習)·지신(持身)·독서(讀書)·사친(事親)·상제(喪制)·제례(祭禮)·거가(居家)·접인(接人)·처세(處世) 등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 끝에 사당도(祠堂圖)·시제도(時祭圖)·설찬도(設饌圖)와 제의(祭儀)의 출입의(出入儀)·참례의(參禮儀)·천헌의(薦獻儀)·고사의(古事儀)·시제의(時祭儀)·기제의(忌祭儀)·묘제의(墓祭儀)·상복중행제의(喪服中行祭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1장 〈입지〉에서는 처음 배우는 이가 먼저 뜻을 세워서 스스로 성인이 될 것을 기약하고, 스스로 작게 여겨 물러가려는 생각을 일으키지 말 것을 강조했다.
제2장 〈혁구습〉에서는 사람이 학문에 뜻을 두어 열심히 노력하여도 성취하지 못하는 것은 구습이 있기 때문임을 밝히고, 구습의 종류로서 ‘뜻을 게으른 데 둔 것’ 등 여덟 가지를 들고 있다.
제3장 〈지신〉에서는 9용(九容)으로 몸과 마음을 지키고, 9사(九思)로써 학문을 진취시키는 뜻을 세울 것을 강조하였다.
제4장 〈독서〉에서는 이치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독서를 해야 하며, 독서를 하되 반드시 책 한 권을 선택한 후 충분히 뜻을 헤아리며 읽어 통달한 뒤 다른 책으로 바꿔 읽을 것과, 다독에 빠져서 쓸데없이 힘을 소모하는 것을 경계하였다.
책을 읽는 순서에 있어서는 먼저 ≪소학 小學≫을 읽어 부모를 섬기고 형을 공경하며, 임금에게 충성하고 웃어른에게 순종하며, 스승을 높이고 벗과 친해지는 도리를 음미하여, 힘써 행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 다음에는 ≪대학≫ 및 ≪혹문 或問≫을 읽어서 마음을 바르게 하고, 몸을 닦는 이치와 사람을 다스리는 도리를 배우며, ≪논어≫를 읽어서 인(仁)을 구하고 자신을 위한 학문의 본원(本原)을 함양하는 공부를 익히라고 하였다.
다음에는 ≪맹자≫를 읽어서 의리를 밝게 분별하여 인욕을 막고 천리(天理)를 보존하는 설(說)을 밝게 살피며, ≪중용≫을 읽어서 성정의 덕과 위육(位育)의 묘를 음미할 것을 권하였다.
다음에는 ≪시경 詩經≫을 읽어서 성정의 그릇됨과 올바름, 선악을 가려 표창할 것과 경계할 것을 분명히 하며, ≪예경 禮經≫을 읽어서 하늘의 이치 가운데 사람이 갖추어야 할 것과 지켜야 할 것을 연구하여 분명히 뜻을 간직할 것, 다음에는 ≪서경 書經≫을 읽어 요·순과 우왕·탕왕·문왕이 천하를 다스린 경륜과 대법의 요령을 얻고 그 근본을 소급해서 구할 것을 가르쳤다.
다음에는 ≪주역 周易≫을 읽어서 길흉·존망·진퇴·성쇠의 기미를 관찰, 음미할 것과 ≪춘추 春秋≫를 읽어서 착한 것은 상을 주고 악한 것은 벌하며, 어떤 이는 억누르고 어떤 이는 높여주는 화법과 심오한 뜻의 깨달음을 가르쳤다.
이 밖에도 선현들이 지은 ≪근사록≫·≪가례≫·≪이정전서 二程全書≫·≪주자대전≫·≪주자어류 朱子語類≫와 성리학설을 정독할 것을 강조하였다.
제5장 〈사친〉에서는 효도의 당위성을 강조하여 잠시도 효를 잊지 말 것을 밝혔고, 제6장 〈상제〉에서는 상례를 주희(朱熹)의 ≪가례≫에 따를 것 등을 밝히고 있다. 제7장 〈제례〉에서는 ≪가례≫에 의해서 사당을 세우고 조상의 신주를 모시며, 제전(祭田)을 두고 제기를 갖출 것과 사당에 대한 예의 등을 밝혔다.
제8장 〈거가〉에서는 부부간의 예의를 중심으로 집안 다스리는 방법을 설명하였고, 제9장 〈접인〉에서는 부드럽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사람을 접대할 것과 학문을 믿고 스스로 교만해지는 것을 경계하라고 가르쳤다. 제10장 〈처세〉에서는 벼슬을 위해 학문하지 말 것과 도를 행할 수 없으면 벼슬에서 물러날 것을 깨우치고 있다.
이 책은 저술 직후부터 조선시대 초학자는 물론, 사림(士林)에서 읽혀야 할 책으로 널리 유포되었으며, 인조 때는 전국 향교에 이 책을 내려서 교재로 삼게 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栗谷의 敎育思想(孫仁銖, 博英社, 1976), 栗谷全書 上·下(栗谷思想硏究院, 大提閣, 1978), 擊蒙要訣(孫仁銖, 敎育名著解題, 한국능력개발사, 1979).(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심화 자료
격몽 요결
앞머리에 저자의 서문이 있고, 10개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마다 여러 항목이 나열되어 있다. 학문이란 특별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하여 일상생활을 마땅하게 해나가는 것일 따름이라는 입장에서 저술되었다. 물론, 이 때의 일상생활은 아버지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성스러워야 하며, 신하는 충성되고, 부부는 유별해야 하고, 형제간에는 우애가 있고, 어린 자는 나이가 많은 자를 공경해야 하고, 붕우(朋友)된 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는 유교이념을 구현하는 것이었다. 그 방법은 글을 읽어 이치를 연구하여[讀書窮理] 마땅히 행하여야 할 길을 밝힌 다음에, 깊은 경지로 들어가 올바름을 얻고 밟아 실천하여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 중도(中道)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목적은 학도에게 뜻을 세우고 몸을 삼가며 부모를 모시고 남을 대하는 방법을 가르쳐, 바로 마음을 닦고 도를 향하는 기초를 세우도록 노력하게 만든다는 데 있으며, 동시에 저자로서도 스스로를 경계하고 반성하는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제1장 입지(立志)에서는 학문에 뜻을 둔 모든 사람이 성인(聖人)이 되기를 목표로 하여 물러서지 말고 나아가라고 하였으며,
제2장 혁구습(革舊習)에서는 학문 성취를 향해 용감히 나아가기 위해 ‘마음과 뜻을 게을리하여 겉으로 드러나는 것만을 모방할 뿐 안일한 것을 생각하고 얽매임에 깊이 물들어 있는 것’ 등 구체적 조항 8개를 떨쳐버려야 한다고 하였다.
제3장 지신(持身)에서는 충신(忠信) 등 몸을 지키는 방도를 제시하여 뜻을 어지럽히지 말고 학문의 기초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제4장 독서는 독서가 도에 들어가기 위한 궁리의 전제가 되며, 단정한 자세로 깊이 정독할 것을 가르치고 독서의 순서를 제시하였다. 즉, 먼저 《소학》을 읽어 부모 형 임금 어른 스승 친우와의 도리를, 《대학》과 《대학혹문(大學惑問)》을 읽어 이치를 탐구하고 마음을 바로 하며 자기를 수양하고 남을 다스리는 도를, 《논어》를 읽어 인(仁)을 구하여 자기를 위하고 본원(本源)이 되는 것을 함양할 것을, 《맹자》를 읽어 의(義)와 이익을 밝게 분별하여 인욕(人慾)을 막고 천리(天理)를 보존할 것을, 《중용》을 읽어 성정(性情)의 덕이 미루어 극진하게 하는 공력과 바른 자리에 길러내는 오묘함을, 《시경》을 읽어 성정의 그릇됨과 올바름 및 선악에 대한 드러냄과 경계함을, 《예경》을 읽어 하늘의 도를 이치에 따라 적절하게 드러내는 것과 사람이 지켜야 할 법칙의 정해진 제도를, 《서경》을 읽어 중국 고대의 요순과 우왕 탕왕 문왕이 천하를 다스린 큰 줄기와 법을, 《역경》을 읽어 길흉 존망 진퇴 소장(消長)의 조짐을, 《춘추》를 읽어 성인이 선(善)을 상주고 악을 벌하며 어떤 것은 누르고 어떤 것은 높여 뜻대로 다루는 글과 뜻을 체득하여 실천하라고 하였다. 위 책들을 반복 숙독한 다음에 《근사록(近思錄)》 《가례(家禮)》 《이정전서(二程全書)》 《주자대전(朱子大全)》 《주자어류(朱子語類)》와 기타 성리설을 읽어 의리를 몸에 익히고, 여력이 있으면 역사서를 읽어 식견을 키우되 이단과 잡류의 책은 읽지 못하게 하였다. 여기서 정립된 독서 순서와 방법은 조선의 사림파가 그들의 사상체계를 세워 유교의 모든 경전과 성리서를 조망하게 되었음을 보여주는 학문적 성과이다.
제5장 사친(事親)에는 평상시의 부모 섬기기를 비롯하여 부모의 뜻이 의리에 어긋날 때 자식이 부드럽게 아뢰어 뜻을 바꾸게 하라는 것 등의 내용이,
제6장 상제(喪祭)와
제7장 제례(祭禮)에는 그것들을 주희의 《가례》에 따라서 할 것과 반드시 사당을 갖추라는 내용 등이 실려 있다.
제8장 거가(居家)에는 부부간의 예를 비롯하여 집안을 다스리고 가산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9장 접인(接人)에는 사회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교양이,
제10장 처세(處世)에는 과거를 거쳐 벼슬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자세가 실려 있다.
이러한 구성과 내용은 학문에 뜻을 두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자기 몸을 바로 세우고 사회에 나가 활동하도록 하는 성리학의 근본이념을 일상생활에 구체적으로 적용한 것이다. 자연과 사회를 파악하는 데 이기철학이 바탕이 되며, 부모 자식 간의 효가 사회질서의 근본이념을 이루고, 향촌 지주로서의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사족(士族)들이 사회를 주도하던 조선시대에는 가장 기본적인 교과서였다. (자료 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