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김현승
by 송화은율가을 - 김현승
<핵심 정리>
▶ 시작(詩作) 배경
이 작품은 봄과 가을이 주는 서로 다른 정서, 즉 봄의 화사하고, 화려하고, 뜨겁고, 순간적인 이미지와 가을의 차갑고, 과묵하고, 사려 깊은 이미지를 대비시켜 삶의 자세를 드러내고 있다. 또 시인 자신의 내면 세계를 생명의 깊은 곳에 닿고자 하는 자세가 드러나 있다.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처음부터 끝까지 봄과 가을의 대비를 통해서 시상이 전개되고 있으며, 그것은 대조적 진술의 대비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양하고 아름다운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아름답고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서 추상적인 시간 의식을 구체화함으로써 대비 방식이 지니는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시적 긴장을 끝까지 유지하고 있다.
▶ 성격 : 대조적, 대비적, 주지적
▶ 어조 : 진정하고 영원한 세계를 갈구하는 자세
▶ 특징 : 관념적, 추상적 시간 의식을 구체화시킴.
▶ 시상 전개
* 형식상의 시상 전개
① 대지에서 솟아오르는 봄의 기운(제1연)
② 푸른 하늘과 함께 오는 가을(제2연)
③ 봄의 화려함과 생각을 일깨워 주는 가을(제3연)
④ 봄의 화사함과 가을의 침묵(제4연)
⑤ 봄의 가벼움과 가을의 사색(제5연)
* 내용상의 시상 전개
① 기(제1연) : 봄의 정서(←땅)
② 서(제2연) : 가을의 정서(←하늘)
③ 결(제3,4,5연) : 봄과 가을의 정서 대비
(봄-화려․맹목․화사, 가을-사색․묵묵함․명징)
▶ 제재 : 가을
▶ 주제 : 가을이 주는 깊이 있고 그윽한 느낌.(정신이 갈구하는 영원한 세계에의 소망)
▶ 시어의 상징 의미
* 제3연 - 생명을 만드는 화려하고 격정적인 봄과 달리 가을은 사색을 통하여 삶의 진리를 깨닫게 해준다.(*보석-충실의 이미지)
* 노래를 고르더니 - 삶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게 하더니
* 언어의 뼈마디 - 삶의 본질
<연구 문제>
1. 이 시에서 ‘봄’과 ‘가을’은 어떻게 대조되고 있는지 한 문장으로 설명하라.
<모범답> 봄이 화려함, 화사함, 뜨거움, 순간적임에 비하여 가을은 과묵함, 차가움, 사색적이다.
2. 이 시에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 즉 가장 본질이 되는 것을 나타낸 시구를 찾아 쓰라.
<모범답> ‘언어의 뼈마디’
3. 이 시는 대조적 의미를 반복함으로써 다소 도식적, 기계적 느낌을 주기는 하나 관념적 추상성에 떨어지지 않도록 수사적인 장치를 마련했다. 그 수사적인 장치에 대해 40자 내외로 설명해 보라.
<모범답>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시간 의식을 구체화하였다.
4. ㉠과 의미가 서로 통하는 세 어절의 말을 찾아 쓰라.
<모범답> ‘입술을 다문 가을’
<감상의 길잡이>(1)
이 시는 봄과 가을의 다양한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제1연에서 봄을 비유하고 있는 것은 ‘숨결’이다. 숨결은 얼어 붙은 채 잠들어 있는 공간에 따뜻함을 불어넣어 주는 기운을 뜻한다.
제2연의 ‘차가운 물결’은 봄의 ‘숨결’과 대조를 이루는 이미지로서 대지를 다시 엄동 설한의 시간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을 뜻하며, 화자의 지향성이 지상에서 천상으로, 육체에서 정신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제3연은 별의 이미지다. 봄이 꽃으로써 빛날 때라면, 가을은 하늘의 별을 깎고 다듬어 마음에 ‘보석’을 만드는 때이다. 즉, 봄이 육체를 성장시키는 때라면, 가을은 사색 속에 영혼을 성숙시키는 때를 의미하는 것이다.
제4연의 ‘눈동자 먼 봄’이란 봄이 사람들을 지상적이고 육체적인 것에 쉽사리 눈 멀게 한다는 뜻이고, ‘입술을 다문 가을’은 자아 성숙을 위해 스스로 침묵 속에 깃드는 것을 의미한다.
제5연에서 봄이 언어로 불려진 노래라면, 각성의 계절인 가을은 노래에서 골라 낸 ‘언어의 뼈마디’에 해당된다. ‘언어의 뼈마디’는 보석처럼 단단한 사색의 핵심을 의미한다.
전체적으로 ‘숨결’, ‘꽃잎’, ‘살’, ‘노래’ 등으로 이미지화된 봄은 공간적으로 ‘땅’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멸을 속성으로 하며, ‘차가운 물결’, ‘별’, ‘보석’ 등으로 이미지화된 가을은 공간적으로 ‘하늘’에 해당하는 것으로 영원성을 그 속성으로 한다.
<감상의 길잡이>(2)
김현승의 시는 기독교적 세계관과 언어에 의한 관념의 육화(肉化)로 압축시킬 수 있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엄격한 가정 교육을 받으며 자라난 탓으로 어려서부터 서구적 생활 환경에 익숙해 있던 그는 자연스레 자신의 시에 소멸성과 영원성의 교차를 통한 이원적(二元的) 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의 시는 주로 관념적 내용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이미지를 통해 그 관념을 수용, 형상화하였기에 추상적 세계에 머물지 않고 구체화됨으로써 보다 큰 시적 미감을 획득하고 있다.
한편, 그의 시가 수용하는 자연은 흔히 동화와 순응이라는 의미로의 동양적 자연이 아니라, 주관적 해석을 통해 변형시킨 자연으로 자신의 지향 의식을 밝히는 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의 가을도 단순히 소멸의 시간이 아닌, 사물의 본질을 인식하고 존재의 한계를 극복하는 시간으로 변형되어 있다.
이 시의 전체적 구조는 봄과 가을의 대응 체계로 이루어져 있지만, 대조적 진술의 대비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양하고 아름다운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이미지들을 통해 추상적인 시간 의식을 구체화함으로써 대비 방식이 지니는 단조로움을 극복, 시적 긴장을 끝까지 유지하고 있다.
1연의 ‘가까운 땅’․‘숨결’과 2연의 ‘머나먼 하늘’․‘차가운 물결’은 각기 등가성(等價性)을 이루고 있으며, ‘일다’와 ‘밀려오다’의 대립에 의해 순환하는 자연의 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봄의 보조 관념으로 등장한 ‘숨결’은 얼어붙은 대지에 불어넣는 따스한 기운을 뜻하며, 가을의 비유로 나타난 ‘물결’은 대지를 다시 동토로 되돌아가게 하는 차가운 기운을 의미한다. 이것은 화자의 지향 의식이 땅에서 하늘로, 육체에서 정신으로 옮겨 가고 있음을 암시한다.
3연에서는 봄의 ‘꽃잎’이 지닌 유한성과 가을의 ‘보석’이 지닌 항구성(恒久性)이 대립되어 있다. 즉, 봄은 ‘꽃잎을 이겨 빚은 살’처럼 아름답기는 해도 쉽게 지나가 버리는 유한적 존재인 데 비해, 가을은 ‘별을 생각으로 깎고 다듬어 만든 보석’처럼 항구성을 지닌다. 결국, 봄은 유한적 존재인 육체를 성장시키는 시간이지만, 가을은 사색 속에서 영원한 영혼을 성숙시키는 시간임을 의미한다.
4연에서는 자연과 사람을 연결시켜 자연과 인간의 내면을 결합시키고 있다. ‘눈동자 먼 봄’은 육체적이고 열정적인 세계를, ‘입술을 다문 가을’은 영혼의 세계, 차가운 이성의 세계를 표상한다. 또한, 이 가을은 자아 성숙을 위해서 외부 세계와 절연하고 자아의 내면으로 침잠하는 시간이므로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한 고독의 시간이기도 하다.
5연에서는 봄이 언어로 불려진 ‘노래’라면, 가을은 그 노래를 헤치고 골라낸 ‘언어의 뼈마디’에 해당한다며 봄의 ‘노래’와 가을의 ‘언어’를 대립시키고 있다. ‘언어의 뼈마디’란 ‘살’에서 물과 기름을 제거하여야만 얻을 수 있는 ‘뼈’처럼 가장 본질적인 언어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화자가 ‘입술을 다문 가을’의 ‘고요한 밤’에 ‘보석’처럼 단단한 사색의 핵심인 ‘언어의 뼈마디’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이 시는 봄과 가을의 대응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숨결’․‘꽃잎’․‘살’․‘노래’ 등으로 형상화된 봄은 공간적으로 ‘땅’에 해당하는 것으로, 현실적․감각적․육체적․현상적․소멸적인 것을 의미하며, ‘차가운 물결’․‘별’․‘보석’․‘언어의 뼈마디’ 등으로 형상화된 가을은 공간적으로 ‘하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상적․이성적․정신적․본질적․영원적인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