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望(춘망)
by 송화은율春望(춘망)
나라가 망하니 산과 강물만 있고
성 안의 봄에는 풀과 나무만 깊어 있구나.
시절을 애상히 여기니 꽃까지 눈물을 흘리게 하고
(처자와)이별하였음을 슬퍼하니 새조차 마음을 놀라게 한다.
전쟁이 석 달을 이었으니
집의 소식은 (황금을 주어도 편지를 받아보지 못할만큼)만금보다 값지도다.
흰머리를 긁으니 또 짧아져서
(머리카락이 너무 빠져)다 모아도 비녀를 이기지 못할 것 같구나.
요점 정리
지은이 : 두보(杜甫)
갈래 : 오언율시
연대 : 두보가 46세(757년)덕 2년에 지음
성격 : 애상적, 영탄적, 회고적
구성 :
두련 : 전란으로 인한 황폐한 모습
함련 : 전란으로 인한 상심
경련 : 가족에 대한 그리움
미련 : 늙고 쇠약해진 자신에 대한 한탄
표현 : 선경후정, 대구법, 과장법
제재 : 전란의 상심
주제 : 전란의 비애와 전쟁으로 인한 상심
특징 : 선명한 심상을 통하여 짙은 향수와 우국의 정을 잘 표현했고, 당대의 사회 현실이 잘 드러나 있으며, 유교적 휴머니즘을 바탕에 깔고 있으고, 선경후정의 구성이며, 대구, 과장의 표현 기법을 사용하고 있음
출전 : 두공부시언해 초간본 권10
내용 연구
나라가 망하니 산과 강물만 있고
성 안의 봄에는 풀과 나무만 깊어 있구나[맥수지탄]. (1-2행 전란으로 인한 폐허)
시절을 애상히 여기니 꽃까지 눈물을 흘리게 하고
(처자와)이별하였음을 슬퍼하니 새조차 마음을 놀라게 한다.(3-4행 전란으로 인한 상심)
전쟁이 석 달을 이었으니
집의 소식은 만금보다 값지도다. (5-6행 가족에 대한 그리움)
흰머리를 긁으니 또 짧아져서
다해도 비녀를 이지지 못할 것 같구나. (7-8행 쇠약한 육신에 대한 탄식)
나라가 망하니 산과 강물만 있고
성 안의 봄에는 풀과 나무만 깊어 있구나. : 나라는 망해도 자연은 변함없다는 사실에서 느끼는 무상감을 대구적 표현으로 그리고 있다. 인구에 회자되는 표현임
시절을 애상히 여기니 꽃까지 눈물을 흘리게 하고
(처자와)이별하였음을 슬퍼하니 새조차 마음을 놀라게 한다. : 주체와 객체의 관계를 역전시켜 표현하고 있다. 즉, '아름다운 꽃을 보니 절로 눈물이 나고, 가족 생각에 얼마나 골몰하였는지 새 소리가 마음을 놀라게 하도다'를 '꽃이 눈물 흘리게 하고, 새 소리가 마음을 놀라게 하도다'로 표현한 것으로 함련에는 다음과 같은 주가 있다. "꽃과 새는 항상 평화로운 때 즐기거늘, 새 소리를 들으니 마음을 놀라게 되는지라, 세상이 얼마나 난세인가 알 수 있다."
전쟁이 석 달을 이었으니
집의 소식은 (황금을 주어도 편지를 받아보지 못할만큼)만금보다 값지도다. : 가족의 안부를 전쟁 때문에 듣기가 어렵다는 말
흰머리를 긁으니 또 짧아져서
(머리카락이 너무 빠져)다 모아도 비녀를 이기지 못할 것 같구나.
이해와 감상
두보의 나이 46세 때 안록산의 난으로 함락된 장안(長安)에서 지은 작품이다. 오언 율시로 각 2행씩이 모여서 하나의 연을 이루고, 두련(頭聯)은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되는 구절로, 나라가 망해도 아랑곳하지 않고 피어나는 풀과 나무를 보면서 느끼는 세사(世事)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다. 자연 속의 친숙한 대상인 꽃에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키고, 꽃을 보아도 눈물이 나고 새가 울어도 헤어진 가족들 생각에 마음이 놀란다고 한 함련( 聯)은 상식을 뛰어넘는 표현으로, 난리통의 어지러운 시대 상황과 가족을 그리워하는 두보의 간절한 심회를 잘 표현하고 있다. 경련(痙聯)에서는 전쟁이 계속되는 상황을 노래하고, 미련(尾聯)에서는 타향에서 덧없이 늙어가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고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