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日城南卽事 (춘일성남즉사)
by 송화은율春日城南卽事 (춘일성남즉사)
봄바람이 문득 불어 청명날 가까우니,
이슬비는 안개처럼 내려 저물도록 개지 않음이라
집 모서리 살구꽃은 활짝 피려 하여,
두어 가지 이슬 머금은 채로 사람을 향해 기울이라.
요점 정리
지은이 : 권근
형식 : 칠언절구
시간적 배경 : 청명절 (양력 4월 5.6일경)
운자 : 명, 청, 경
주제 : 봄비를 맞는 살구꽃의 정경을 보고 느끼는 흥취
내용 연구
비비 : 비나 눈이 부슬부슬 내리는 모양
만청 : 저녁 무렵에 갬.
옥각 : 집 모서리
개옥편 : 활짝 피려고 함.
함로 : 이슬을 머금음
수지 : 두어 가지.
數枝含露向人傾(수지함로향인경) : 두어 가지 이슬을 머음은 채 사람을 향해 기울다. 즉 살구꽃 두어 가지가 봄비에 젖어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사람이 있는 쪽으르 기울어 지는 풍경. 그 모습이 마치 사람을 반겨 손짓하는 모습과 같다는 뜻이다.
春風忽已近淸明 청풍홀이근청명
細雨 晩未晴 세우비비만미청
屋角杏花開欲遍 옥각행화개욕편
數枝含露向人傾 수지함로향인경
이해와 감상
봄비 맞는 살구꽃 핀 풍경을 노래한 작품으로 손정섭은 "집 그늘에 가리어 둥치는 안보이고 가지만 내다보이는 뒤란 살구나무의 갓 피어나는 꽃가지를, 차마 부끄러워 성큼 나서지는 못하고, 발그레 홍조띤 얼굴만을 집모서리로 갸웃이 내밀며, 날 보란 듯 수줍은 웃음을 흘리고 있는 함정의 여인으로 의인한 전·결구의 묘사는 지나치게 아리땁다. 맺혀있는 이슬 방울을 바람결에 굴려내듯, 머금어 있는 미소를 벌어지는 입술 사이로 소리 없이 흘리고 있는, 이 반함교태 반함수의 '함로'의 매혹적인 염용을 보라. 또, 짐짓 숨는 듯 얼굴을 내미는 '향인경'의 대담한 유혹을 보라. 꽤나 춘정겨운 정감적인 즉흥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심화 자료
권근(1352-1409)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학자로 본관 안동. 자 가원(可遠)·사숙(思叔). 호 양촌(陽村). 시호 문충(文忠). 초명 진(晋). 1367년(공민왕 16) 성균시(成均試)를 거쳐 이듬해 문과에 급제, 춘추관 검열이 되고, 우왕(禑王) 때 예문관응교(藝文館應敎)·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거쳐, 성균관 대사성 ·예의판서(禮儀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창왕(昌王) 때 좌대언(左代言)·지신사(知申事)를 거쳐 밀직사첨서사(密直司僉書事)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375년(우왕 1) 박상충(朴尙衷)·정도전(鄭道傳)·정몽주(鄭夢周)와 같이 친명정책(親明政策)을 주장하여 원나라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였고, 1389년(창왕 1) 윤승순(尹承順)의 부사(副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올 때 가져온 예부(禮部)의 자문(咨文)이 화근이 되어 우봉(牛峯)에 유배되었다가 영해(寧海)·흥해(興海)·김해(金海) 등지로 이배(移配)되었다. 1390년(공양왕 2) 이초(彛初)의 옥(獄)에 연루되어 또 다시 청주(淸州)에 옮겨졌다가 풀려났다.
조선이 개국되자 1393년(태조 2) 예문춘추관학사(藝文春秋館學士)·대사성 ·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역임하고, 1396년 표전문제(表箋問題)가 일어나자 자청하여 명나라에 들어가 두 나라의 관계를 호전시켰으나, 정도전 일파의 시기로 불안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1398년 정도전 일파가 숙청되자, 정당문학(政堂文學)·문하부참찬사(文下府參贊事)를 거쳐 대사헌을 지내고, 사병(私兵)의 폐지를 주장하여 왕권확립에 큰 공을 세웠다. 1401년(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예문관 대제학이 되었고, 대사성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를 거쳐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이사(貳師) 등을 역임하였고, 왕명으로 《동국사략(東國史略)》을 찬하였다.
문장에 뛰어났으며, 경학(經學)에도 밝아 사서오경(四書五經)의 구결(口訣)을 정하였다. 또한 그의 《입학도설(入學圖說)》은 후일 이황(李滉)·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크게 영향을 끼쳤다. 그는 성리학자이면서도 문학을 존중하였고, 시부사장(詩賦詞章)의 학을 실용면에서 중시하여 이를 장려하였으며, 경학(經學)과 문학(文學)의 양면을 조화시켰다. 문집 《양촌집(陽村集)》 외에 저서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 《사서오경구결(四書五經口訣)》 《동현사략(東賢事略)》이 있고, 작품에 <상대별곡(霜臺別曲)>이 있다.(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