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연형제곡(宴兄弟曲)

by 송화은율
반응형

연형제곡(宴兄弟曲)

(전략)

(후략)

요점 정리

갈래 : 경기체가

연대 : 조선 초기

작자 : 미상

형식 : 총 5장 연장체

주제 : 형제간의 우애를 바탕으로 백성을 잘 다스리고 태평을 구가하게 된다는 내용

배경 : 동생으로서 왕위에 오른 세종이 양녕, 효녕대군을 형님으로 받들면서 그 우애를 돈독히 하고, 그 형들은 신하로서 동생인 왕에게 충성을 다하는 왕실의 지극한 우애를 창작 배경으로 깔고 있으며, 그러한 형제간의 우애를 바탕으로 백성을 잘 다스리고 태평을 구가하게 된다는 자랑스러운 모습을 경기체가 특유의 형식에 담아 당당하게 노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세종의 선대인 태종이 왕위에 오르기 위해 형제를 죽여야 하는 혹독한 윤리적 시련이 있었음에 반해, 세종의 형제들은 그 우애와 직분을 다함에서 건국 초기의 국가의 기반이 확고해졌음을 감격해하고 과시하는 어조로 담은 작품의 창작 동기를 이해할 수 있다.

내용 연구

 

세종 14년에 예조에서 악부에 올려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예조의 관원들이 주관하여 세종 때 지은 것으로 추측된다. 형식은 총 5장으로 된 연장체로 경기체가의 가장 전형적인 율격과 구조로 짜여 있다.

1장

형제간에 서로 사랑하고 성을 따르는 모습을 감격, 과시함

2장

배움에 힘쓰고 덕으로 나아가는 모습

3장

형제간에 천륜을 두터이 하고 영원히 좋게 지내는 모습

4장

동생인 세종이 왕위에 올라 그 형들에게 우애를 다하고, 헝들은 공경하고 삼가며 신하로서의 임무를 다함으로써 군신간의 직분을 온전하게 잘 지키는 모습

5장

세종이 백성을 편안하게 잘 다스려온 나라가 태평한 모습을 각각 감격해 자랑스럽게 과시함

이해와 감상

 

조선 시대의 경기체가. 형제 사이의 우애와 조선의 문물을 칭송한 작품으로, 모두 5연으로 되어 있으며, 《악장가사》에 실려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악장가사(樂章歌詞)》에 그 내용이 전하며,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이 노래를 불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초엽에 유림(儒林)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 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 권57, 세종 14년(1432)조에 예조(禮曹)에서 이 노래를 악부(樂部)에 올려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예조의 관원들이 주관하여 세종 때 지은 작품으로 추정된다.

형식은 총 5장(章)으로 된 연장체(聯章體)로서, 경기체가의 가장 전형적인 율격과 구조로 짜여 있다. 즉, 전대절(前大節)의 음수율인 ‘3·3·4, 3·3·4, 4·4·4’가 철저히 지켜지고, 후소절(後小節)의 음수율인 ‘4·4, 4·4’ 역시 예외 없이 지켜졌다.

또한 각 절이 끝날 때마다 ‘위 ∼경(景) 긔 엇더悧니잇고’라는 엽(葉)이 붙는 것도 철저히 지켜지는 정연한 형식을 보인다.

각 장의 내용을 보면, 1장에서는 형제간에 서로 돈독히 사랑을 나누는 광경과, 하늘이 부여해 준 지혜와 재능에 따라 각자가 본성을 따라 행동한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2장에서는 서로 배움에 힘쓰고 덕을 기르는 모습을 노래했으며, 3장에서는 형제간의 천륜(天倫)을 두터이 하면서 평생 좋게 지내는 모습을 담아 냈다.

4장은 동생인 세종이 덕이 있어 왕위에 올라, 형들에게 우애를 다하고, 형들도 또한 공경하고 삼가며 신하의 직분을 바로 지키니, 사랑과 질서가 아울러 온전하게 지켜졌다는 내용을 읊은 것이다. 5장은 세종이 백성을 편안하게 잘 다스려 온 나라가 태평한 세상을 맞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세종이 형제간의 우애가 바탕이 되어 백성을 잘 다스리니, 나라가 아름다운 풍속을 이루었으며, 태평성대를 노래하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은 동생으로 왕위에 오른 세종이 양녕·효녕 대군 두 형님을 받들면서 그 우애를 돈독히 하고, 그 형들은 동생인 왕에게 신하로서 충성과 공경을 다했다는 왕실의 화목함을 작품의 제작배경으로 깔고 있다.

결국 이 노래는 왕실의 화목함과 조화로운 질서를 감격해 하면서 이를 경기체가 특유의 어법을 통해 자랑스럽게 과시한 노래라 하겠다.

≪참고문헌≫ 高麗歌謠의 硏究(李明九, 新雅社, 1974), 鮮初樂章文學硏究(조규익, 崇實大學校出版部, 1990), 儒敎道德樂章考(金倉圭, 崔正錫博士 回甲紀念論叢, 曉星女子大學校出版部, 1984).(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