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불우헌곡(不憂軒曲) 제1장 산사회 수중포 일무유궁 향양명 개남창 명불우헌 좌금서 우박혁 수의소요 위 낙이망우 경 하질다 평생립지 사우성현 (재창) 위 준도이행 경 하질다 제2장 만생원 노급제 낙천지명 재훈도 삼교수 회인불권 가숙삼간 구취동몽 상설구독 위 순순선유 경 하질다 불역낙호 부급서생 (재창) 위 자원방래 경 하질다 제3장 재상소 벽이단 의호중용 진이례 퇴이의 수신위대 비원상대 구신미원 인년치사 위 여석중부 경 하질다 일개고신 남승천총 (재창) 위 재삼원종 경 하질다 제4장 경전식 착정음 부지제력 상량신 설빈연 형제붕우 담소지간 불황타급 효제충신 위 낙차유의 경 하질다 무지도지 가영성덕 (재창) 위 기천영명 경 하질다 제5장 윤지임 혜지화 아무능언 성지시 안지락 내소원야 상하..
서방가(西方歌) 요점 정리 형식 : 경기체가 연대 : 미상 작자 : 미상 주제 : 서방 세계의 삶을 노래함 내용 연구 작자 창작연대 미상의 경기체가 염불작법에 전한다. 염불작법은 1572년(선조5)4월에 개간하였다는 간기와 이 작품의 형식을 총하여 볼 때에 창작연대는 세종 때로 추정된다. 염불작법에는 작자가 의상으로 되어 있으나, 후대인이 의상의 위명을 빌어 쓴 것으로 생각된다.한편, 염불작법에 각종 진언과 여래십대발원문 나옹화상발원문 등이 함께 수록된 점, 서방가의 내용이 불교세계를 읊은 점 등을 통하여 볼 때에 불교의식 또는 불교적인 신앙생활을 위하여 창작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은 전체 10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이 극락세계의 실존을 읊고, 제2장이 극락세계 주위환경의 장엄함과 ..
죽계별곡(竹溪別曲) 제1장 죽령남 영가북 소백산전 천재흥망 일양풍류 순정성리 타대무은 취화봉 왕자장태 위양작중흥경 기하여 청풍두각 양국두어 위 산수청고경 기하여 제2장 숙수루 복전대 승림정자 초암동 욱금계 취원루상 반취반성 홍백화개 산우이량 위 유흥경 기하여 고양주도 주이삼천 위 휴수상유경 기하여 제3장 채봉비 옥용반 벽산송록 지필봉 연묵지 제은향교 심취육경 지궁천고 부자문도 위 춘송하현경 기하여 연년삼월 장정로량 위 가갈영신경 기하여 제4장 초산효 소운영 산원가절 화란만 위군개 유음곡 망대중래 독의란간 신앵성리 위 일타록운 수미절 천생절염 소홍시 위 천리상사 우내하 제5장 홍행분분 방초처처 준전영일 녹수음음 화각침침 금상훈풍 황국단풍 금수춘산 홍비후량 위 설월교광경 기하여 중흥성대..
화전별곡(花田別曲) 요점 정리 형식 : 경기체가 전 6장 연대 : 조선 중종 작자 : 김구 주제 : 해남에 귀양가서 그 곳의 화전의 경치와 생활을 읊음 출전 : 자암집 내용 연구 구성 : 6장 제 1장은 총괄적인 서사, 제 2~5장은 구체적인 자랑거리를 노래한 본사, 제6장은 자신의 감회를 노래한 결사에 해당한다. 1장 산천이 수려하고 많은 인물을 배출한 남해섬의 뛰어남을 찬탄하고, 그 속에서 그곳 인물들과 어울려 풍류를 즐기는 자신을 과시 2장 그곳 향촌의 벼슬아치와의 잡담, 음식, 코골기 잘하는 사람들과 만나 어울리는 광경등을 찬양하고, 이어 풍월을 잘하는 인물과 노래로 화답하는 모습을 과시 3장 여러 기생들의 가무 및 장구 소리와 그들의 뛰어난 미모를 바라보는 광경을 자랑하고,..
한림 별곡(翰林別曲) 1장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으로 운자를 내어 빨리 내리 써서 짓는 시.(쌍운을 맞추어 써 내려간 글)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 뜻풀이, 김양경의 시와 부. 아, 과거 시험장에서 뽑아 내는 광경, 그것이야말로 어떻습니까?(그것이 어떠합니까?, 참으로 굉장합니다.) 금의에 의하여 배출된 빼어난 문하생들.(금의가 배출한 많은 문하생들, 금의가 배출한 많은 문하생들) 아, 나를 포함하여(좇아) 몇 분입니까.(참으로 많습니다.)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을 맞추어 써 내려간 글,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 해의(解義), 김양경의 시와 부(賦) 아, 과거 시험장의 광경, 그것..
오륜가(五倫歌) 제1장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判陰陽 位高下 天尊地卑 판음양 위고하 텬존지비 生萬物 厚黎民 代作聖賢 沂만물 후려민 倨쟉성현 仁義禮智 三綱五常 秉彛之德 인의례디 삼강오샹 병이지덕 위 萬古流行○景 긔엇더悧니잇고 만고류里 경 伏羲神農 皇帝堯舜 복희신롱 황뎨요순 伏羲神農 皇帝堯舜 복희신롱 황뎨요순 위 立極○景 긔엇더悧니잇고 (제1장) 입극 경 음양이 나뉘고 고하가 자리잡으니 하늘은 높고 땅은 낮도다. 만물이 생겨나고 백성은 불어나니 대대로 성현이 나시도다. 인의예지·삼강오상, 영원히 변치 않고 지키는 덕, 아, 만고에 행해지는 아름다움, 그 어떠합니까? 복희씨와 신농씨 요임금 순임금, 복희씨와 신농씨 요임금 순임금, 아, 도를 확고히 세운 아름다움, 그 어떠합니까? (현대어 해석)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