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열지(孝烈志)
by 송화은율효열지(孝烈志)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 · 한문 필사본. 낙질로 존재하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소장의 한문본과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의 국문본 2종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24회 회장체로 되어 있던 한문본이 소장되어 있었으나, 분실되었다고 한다.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의 국문본도 24회 회장체로 되어 있다.
원작이 한문본인지 국문본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국문본에는 결미에 “ 병오 정월 회일 필서우유상 倨 ” 라고 필사연대가 쓰여 있는데, 사본의 먹물이 묻은 흔적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쓰인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전실 자식에 대한 계모의 악행을 그린 계모형 가정소설이다.
이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나라 성화연간에 이부상서를 지낸 장홍(張弘)은 부인 순씨로부터 늦게야 아들 숙영(肅英)을 얻는다. 숙영이 12세 되던 해에 순부인이 죽자 장상서는 조씨와 재혼한다. 조씨는 천성이 간사하고 악독한 중에도 재주가 있고 꾀가 많아 숙영을 자신의 자식처럼 사랑하니, 장상서는 조씨에게 믿게 된다.
그러나 조씨는 아들 계영을 낳은 뒤부터 계영을 맏아들로 삼기 위하여 숙영을 살해하려는 음모를 꾸미기 시작한다. 조씨는 계집종 채운과 모의하여 채운의 정부로 하여금 숙영을 죽이도록 하기도 한다.
또 금매라는 아름다운 기생를 매수해서 숙영을 산중으로 유인하여 산적으로 하여금 살해하도록 하나, 모두 실패한다. 또한 과거에 응시하려고 상경하던 숙영을 죽이려고 자객을 보내기도 하나 역시 실패한다.
상경한 숙영은 우연히 화상서(花尙書)의 후원에 들어가 화상서의 딸 화향(花香)을 만나 백년가약을 맺는다. 숙영은 과거에 장원급제하고 고향으로 돌아온다. 장상서는 숙영의 혼처를 구하는데, 한 매파가 나타나 화상서의 딸을 추천한다. 조씨는 그 혼사를 방해하기로 마음먹고 화상서의 시비 춘련에게 숙영을 헐뜯는 편지를 보내니, 그것을 본 화상서는 숙영과의 혼사를 중지한다.
조씨는 간신 엄사도에게 편지를 보내 화상서의 딸을 며느리로 받아들이도록 권한다. 엄사도의 구혼을 받은 화상서는 엄사도의 아들로 택서(擇 淚 )하고자 한다. 이에 화소저는 식음을 전폐하고 어머니에게 숙영과의 언약을 고백한다.
화상서는 부인의 말을 듣고 엄사도의 구혼을 거절하고 숙영과 화소저를 혼인시킨다. 그러나 조씨는 숙영이 계모를 저주하는 것처럼 꾸며 장상서로 하여금 숙영을 내쫓도록 한다.
조씨는 장상서가 늙었음을 싫어하여 적맹과 최진이라는 남자를 두고 정을 통한다. 조씨는 남편 때문에 마음 놓고 간통하는 남자와 놀아나지 못함을 한하여, 엄사도에게 화상서와 장상서를 황제에게 참소하여 죽이도록 한다.
황제는 이들을 유배시킨다. 조씨는 또 간부를 시켜 화부인을 겁탈하게 하나, 화부인은 시비의 도움으로 사전에 피신한다.
이때 엄사도가 스스로 황제라고 칭하고 모반을 반란을 일으키니, 조씨는 장상서의 집에 불을 지르고 엄사도에게 가서 본처를 내쫓게 하고 친아들인 계영을 죽여 젓을 담가 엄사도에게 먹인다. 보은사에서 수학하고 있던 숙영은 대원수가 되어 반란을 일으킨 무리들을 격퇴시킨다.
장원수는 화상서와 장상서 그리고 화부인과 재회하고 조씨를 처형한다. 장원수는 회계후에 봉하여져 부귀영화를 누린다.
이 작품은 명목상의 모자 관계까지도 모두 무시하고, 계모와 전처 자식간의 치열한 대결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내용 전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계모 조씨를 간악하기 짝이 없는 인간으로 표현해 놓고 끝내는 숙영의 처형을 받는 것으로 그려, 권선징악의 주제를 그대로 제시하고 있다.
구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계모의 음모사건은 그 수법이 매우 독창적이다. 그러나 조씨가 다른 남자와 간통을 하고 남편을 유배 보내며, 집안을 망하게 하는 모티프는 〈 사씨남정기 〉 계열의 작품과 많이 닮았다.
조씨의 사주를 받고 숙영을 죽이려던 자객이 숙영의 풍채에 감동되어 물러나는 대목은 간악한 인간에게도 양심이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주제의 효과를 부분적으로 잘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작자의 의도는 권선보다 징악에 두고 있으며, 징악에는 추호의 동정도 두지 않았다는 데에 이 작품의 특색이 있다.
≪ 참고문헌 ≫ 韓國古典小說硏究(金起東, 敎學社, 1981), 계모형 가정소설의 갈등 양상과 의미 (이승복, 冠嶽語文硏究 20, 1995).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