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황동규 시인

by 송화은율
반응형

황동규(黃東奎, 1937- )

 

󰊱 시적 변모 󰆲

 

제1시집 시선집

 

[어떤 개인날](1961) - [견딜 수 없이 가벼운 존재들](1988)

 

다양한 변모

▼ ▼

<엽서(葉書)> <사랑의 뿌리>

 

<어떤 개인 날>수록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1978)

 

꿈을 꾸듯 꿈을 꾸듯 눈이 내린다 󰠝 돌이 허리 굽혀 눈을 헤치고

바흐의 미뉴엩 󰠝 돌을 묻었다

얼굴 환한 이웃집 부인의 󰠝 물린 돌이 환히 웃는다

올겐을 치는 소리 󰠝 주저없이 바람이 멎고

(중략) 󰠝 가득찬 달이 뜨고 있다.

이윽고 눈을 맞는 얼굴을 쳐들 때 󰠝

오고픈 곳에 오게 된 것을 깨닫는

것이 아닐 건가

 

* 시적 변모 양상

1) <어~> : ‘아닐건가’ - 사랑이 예감(豫感) 정도였음

‘환한’ - 밝음, 빛의 모티프

2) <사랑~ > : ‘물었다, 웃었다.’ - 단정적 서술어

‘아니기’ - 명사형 (사랑의 확신)

 

󰊲 시적 변모 󰆳

초기시집 [어떤 개인 날] - [비가]

󰠝 · 구체적 현실로부터 유리, ‘낭만적 우울과 예감’의 󰠝 세계를 관념적으로 노래

 

[평균율(平均律)](1968년, 공동시집)

: 구체적 사물을 통한 선명한 윤곽의 말들

 

· 70년대 이후 : 비극적 세계관 탈피, 건강한 세계 노래

<나는 바퀴를 보면 ~ >, <풍장>(1984년 연작시 시작), <견딜 수 없이 ~ >,

<악어를 조심하라고>(1986)

 

󰊳 시의 구조 : 꿈과 현실 사이의 갈등 구조 (모순형용)

 

창밖에 가득히 낙엽이 내리는 저녁

나는 끊임없이 불빛이 그리웠다.

바람은 조금도 불지 않고 등불들은 다만 그 숱한 향수와 같은 곳에 싸여가고

주위는 자꾸 어두워 갔다. <시월(十月)>

 

* 욕망 : 불빛을 그리워 함 󰠜󰠜󰠜󰌊

현실 : 희미하게 멀어져 감 󰠜󰠜󰌐

 

▲ 모순형용

‘금빛 어둠’ <삐에타> 중 / ‘눈보라처럼 웃고 있었다’ <기도> 중

‘머리 위에 어둡게 해가 오르고’ <비가(悲歌)> 제 10가 중

‘꽃이 어둡게 피고’ <비가 제 12가> 중

‘어둠이 유난이 번쩍인다’ <신초사(新楚辭)> 중

 

󰏐 관련기사

편집위원들의 선정을 거쳐 좋은 시와 소설을 재수록하는 반 년간지 <오늘의 시>와 <오늘의 소설> 95년 하반기호가 현암사에서 나왔다. <오늘의 시>는 황동규 시인 특집을 마련했으며, <오늘의 소설>에는 고종석, 유시춘, 이윤기씨 등의 우수 소설이 실렸다.

 

󰏐 황동규 연작시 `풍장' 마감..전70편 14년 노작

- 9월초쯤 시집 펴내 ······ 브레젤 역으로 독일서도 발간해 -

 

[바람을 이불처럼 덥고/ 화장도 해탈도 없이/ 이불 여미듯 바람을

여미고/마지막으로 몸의 피가 다 마를 때까지/ 바람과 놀게 해다오.].

 

시인 황동규씨가 14년 동안 써온 연작시 [풍장]을 최근 완결했다. 지난 82년 [풍장 1]부터 시작했던 시인은 [현대문학] 7월호에 [풍장 70]을 발표, 그동안 문단에서 시인의 징표처럼 여겨졌던 연작시를 마감했다.

 

황씨는 9월초쯤 연작시들을 모아 시집 [풍장]을 문학과 지성사에서 펴내며, 이 시집은 독일인 실비아 브레젤씨의 번역으로 독일에서도 출간될 예정이다. 평론가 류종호씨의 표현에 따르면 [풍장] 연작시는 [죽음에 관한 명상이자 희롱이면서 죽음에 대한 길들이기]를 보여준다.

 

[네 세상 뜨면 풍장시켜다오]라는 시행으로 시작된 [풍장] 연작시는 죽음을 다루되, 삶의 허무를 노래하지 않는다.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라는 폴 발레리의 그 유명한 [해변의 묘지]의 마지막 시행처럼 [풍장] 연작시에는 죽음 이후의 삶을 깨우는 바람 소리가 가득하다. 삶과 죽음을 둘로 나누지 않는 선의 세계도 이 연작시에 스며들어있다.

 

‘내가 보기에 지금도 보길도 같은 데서 남아있다는 풍장은 일정기간 동안 시신을 초분에 안치한 뒤 나중에 땅에 묻음으로써 육신의 죽음 이후 또 하나의 단계를 만들어주는 것 같다’고 이 연작시의 모티브를 설명했다.

 

이 연작시를 쓰는 동안 시인은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동료였던 문학평론가 김현, 변호사 황인철씨의 죽음을 겪었다. 그로 인해 [풍장] 연작시는 한때 죽음의 침묵에 기울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결국 죽음과 삶의 황홀은 한 가지에 핀 꽃이다’면서 ‘죽지 않는 꽃은 가화인 것이다’고 담담하게 지적했다.

 

80년대 후반부터 시집 [몰운대행], [미시령 큰바람] 등을 통해 전국 각지를 자동차로 떠돌면서 여행시편을 주로 내놓았던 틈틈이 시인은 그의 집과 서울대의 연구실에서 [풍장] 연작시를 길어올렸다. ‘초월은 결국 초월을 하지 않는 곳에 있다는 것을 깨닫기 위해 14년이 걸렸다’면서 연작시 마감의 소감을 털어놓은 그는 ‘아무리 긴 여행이라도 언젠가는 끝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