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소설고(韓國近代小說考) / 김동인(金東仁)
by 송화은율한국 근대 소설고(韓國近代小說考) / 김동인(金東仁)
조선의 소설가 가운데서 그 지식의 풍부함과 그 경험의 광범함과 교양의 많음과 정력(精力)의 절륜(絶倫)함과 필재(筆才)의 원만함이 춘원(春園)을 따를 자 없다.
그가 처음에 사회에 던진 문학은 반역적(反逆的) 선언(宣言)이었었다. 실로 용감한 돈키호테였다. 그는 유교(儒敎)와 예수교에 선전을 포고하였다. 그는 부로(父老)들에게 선전을 포고하였다. 그는 결혼에 선전 포고하였다. 온갖 도덕, 온갖 제도, 온갖 법칙, 온갖 예의―이 용감한 돈키호테는 재래의 ‘옳다’고 생각한 온갖 것에게 반역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반역적 사조는 당시 전 조선 청년의 일치되는 감정으로서, 다만 중인(衆人)은 차마 이를 발설(發說)치를 못하여 침묵을 지키던 것이었다. 중인 청년 계급은 아직껏 남아 있는 도덕성의 뿌리 때문에, 혹은 예의 때문에 이를 발설치 못하고 있을 때에 춘원의 반역적 기치는 높이 들렸다. 청년들은 모두 그 기치 아래 모여들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런 일도 가능하다. 이런 반역적 행사(行事)도 가능하다고 깨달을 때에, 조선의 온 청년은 장위(將位)를 다투려는 한 마디의 불평도 없이 춘원의 막하에 모여들었다.
아아! 우리는 그 때 얼마나 존경하는 마음으로 그를 보았는가? 춘원이 이 모든 반역적 사조를 완전한 의식하에 그의 작품에 집어 넣은 것은 사실이다. 그 ‘의식(意識)’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는 우리는 좀 연구하여 볼 필요가 있다.
1. 이 사조를 선포키 위하여? 혹은 2. 당시 청년계에 환영받을 사조가 포함된 소설을 발표하여 그들로 하여금 소설에 대한 취미를 느끼게 하기 위하여?
제1문(問)은 뒤로 미루고 제2문을 볼 때 우리는 춘원의 밀모(密謀)의 완전한 성공을 볼 수 있다. 당시의 청년들은 일 년에 한두 번씩 발행하는 ‘청춘(靑春)’을 얼마나 기다렸으며 거기에 실은 춘원의 소설을 얼마나 애독(愛讀)하였을까? 조선의 사면(四面)에서 이혼 문제가 일어났다. 자유 연애에 희생된 소녀로 신문 삼면을 흥성스럽게 하였다. 동시에 해방된(?) 여성들의 거혼 동맹(拒婚同盟)이 각처에 있었다. 불경(不敬), 부로(父老)와 종교 맹신(盲信), 배척(背斥)이 없는 곳이 없었다. ‘청춘’에 춘원의 소설이 실리지 않은 호(號)는 그 팔리는 부수가 적었다. 그들은 소설 그것을 읽기보다 자기네들의 사상이 역력히 나타나 있는 춘원의 소설에 공명의 눈물을 흘리면서 읽는 것이었다. 이리하여 청년 간에 소설은 ‘읽어야만 될 것’으로 되었다.
불우(不遇)의 거장(巨匠) 이인직(李人稙)이 끝끝내 일부 부호(富豪) 노파(老婆)들밖에는 지기(知己)가 없이 몰락된 데 반하여 춘원은 청년과 학생 계급의 일대 세력이 되었다. 동시에 소설과 청년 계급의 이 밀접한 관계도 이에 맺어졌다. 춘원이 만약 필자가 지적한 바 그 제2의 의미로서 그런 소설을 썼다 하면, 이는 과연 세계 문예 사상(世界文藝史上)에 특필할 일대 예언(一大豫言)의 공전의 성공이었다.
그러나 제1의 의미로서 썼다 할 때에는 우리는 몇 가지의 불안(不安)을 말 아니 하지 못할지니, 기 일(其一)은 종래의 권선징악(勸善懲惡)과 춘원의 권선징악(당시의 도덕안(道德眼)에 비추어)의 사이에는 오십 보 백 보의 차밖에는 없다는 점이다. 종래의 습관이며 풍속의 불비된 점을 독자에게 보여 주는 것은 옳은 일이로되, 개선 방책(改善方策)을 지시하는 것은 소설의 타락을 뜻함이다. 소설가는 인생의 회화(繪畵)는 될지언정 그 범위를 넘어서서 사회 교화 기관(社會敎化機關)(직접적 의미의)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며 될 수도 없는 것이다. 그 범위를 넘어설 때에는 한 실화(實話)는 될지언정 소설로서의 가치는 없어진다. ‘소설은 인생의 회화(繪畵)라’―이는 만년 불변(萬年不變)의 진리이다. 소설은 인생의 펀치이어도 안 될 것이요, 스케치이어도 안 될 것이요, 표본화(標本畵)이어도 안 될 것이요, 엄정한 의미의 인생의 회화라야 소설로서의 가치가 이에 있다.
고성(孤城)을 홀로 지킨 이인직의 뒤를 이어 역시 홀로 지키고 있던 춘원은 여기 몇 사람의 동지를 만났다. 그 때에 유명한 3․1 운동은 일어났다. 동경 유학생 선언서를 초한 그는 상해로 망명을 하였다. 그리하여 몇 해를 지나서 귀국하였을 때에는, 조선에는 빈약하나마 문단이라는 것이 형성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소설의 형식이며 표현 방법이며 취급 내용이 춘원의 독무대 때와는 완전히 달랐다.
그리고 그는 거기서 조선에는 ‘돈키호테’보다 ‘햄릿’이 필요한 것을 깨달았다. ‘돈키호테’가 물러갈 시기가 왔음을 깨달았다. 그런데 왜 춘원은 ‘햄릿’이 되지 않았느냐? 필자는 이를 검구(儉究)키 전에 춘원이 그 때에 취한 방법을 술(述)하려 한다.
춘원은 ‘재생’을 썼다. ‘춘향전’을 썼다. ‘허생전’을 썼다. ‘단종 애사’를 썼다. 그는 자기의 나아갈 새 길로서 강담(講談)을 발견하였다. 초기에 청년들에게 소설과 접근할 길을 지도한 춘원은 여기서 중년급(中年及) 노년들을 소설과 접근시키려는 운동에 온 힘을 썼다. 아직껏 그 운동이 도중에 있으므로 결과는 미리 말할 수가 없으되 상당한 효과를 예측할 수는 있다. 이 일대(一代)의 재자(才子)요 일대의 욕심꾸러기인 현명한 춘원은, 조선 전 민중과 문예와의 접근의 영예를 독점하려 한다. 그리고 거기 대한 경쟁자는 하나도 없다.
그러나 춘원은 왜 이 길로 나섰나? 순전한 문예의 길을 버리고 왜 이 길로 나섰나? 이 길의 필요함을 잊을 수는 없다. 그 자신이 왜 이 길로 나섰나?
필자는 아직껏 소설도(小說道)와 춘원에 대하여만 논하였지 춘원과 그의 작품에는 한 마디도 언급치 않았다.
춘언에는 상반되는 두 가지 욕구가 서로 다투고 있는 것은 감출 수 없는 사실이다. ‘미(美)’를 동경하는 마음과 ‘선(善)’을 좇으려는 바람이다. 이 두 가지의 상반된 욕구의 갈등! 악귀(惡鬼)와 신(神)의 경쟁, 춘원에게 재(在)하여 있는 악마적(惡魔的) 미에의 욕구와 의식적으로 (오히려 억지로) 흥기(興起)시키는 선에 대한 동경, 이 두 가지의 갈등을 우리는 그의 온갖 작품에서 볼 수 있다. 그는 악마의 부하다. 그는 미의 동경자다. 그러면서도 그는 자기의 본질인 미에 대한 동경(憧憬)을 감추고 거기다가 선의 도금(鍍金)을 하려 한다.
이원적(二元的) 번민(煩悶)! 그의 작품에서 미에 대한 동경만을 발견할 때에는, 우리는 언제든 동시에 예술의 진수(眞粹)를 발견한다. 그러나 그가 정신을 차리고 그 위에 선에 도금을 할 때에는, 거기 남는 것은 모순과 자가당착(自家撞着)밖에는 없다. ‘무정’에서 ‘형식’으로 하여금 영채를 버리고 선형에게 가게 한 것도 춘원의 그 위선적 성격의 산물이다. 그만큼 형식을 그리워하던 영채가 마지막에 형식을 무시하여 버린 것은 이 때문이다. ‘개척자’에 나타난 그 모든 피상적 갈등도 그 때문이다. 그의 모든 작품이 하나도 심각한 인상을 독자에게 남기지 못하는 것은 모두 작가의 이원적 성격의 탓이다.
문체(文體)? 필치(筆致)? 묘사(描寫)? 그 어느 것이든 다른 작가들보다 동떨어지게 우월한 그의 작품이 하나도 박진력(迫眞力)이 없는 ‘한낱 재미있는 이야기에 지나지 못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둘째로는 당시 청년 신흥 계급에 생긴 사회 개조(社會改造)라는 명목하의 괴테카스 풍조(風潮)를 들지 않을 수가 없으며,
셋째로는 문학 청년들 및 사회 소설에 대한 오해를 일으키게 한 것이니, 도덕적 표준이 엄한 노인들은 소설을 가리켜 청소년을 타락케 하는 연애 희문(戀愛戲文)이라 하였고, 문학 청년들은 ‘소설이란 사회 개조, 특히 연애 해방을 표준 삼은 연애 물어(戀愛物語)’라는 개념을 가지게 되었으니, 이도 또한 춘원의 초기의 모든 작품의 영향이라 아니 할 수 없다. 그 후에 우후죽순(雨後竹筍)같이 무수히 생겨난 일시적 소설 장난의 그 많은 소설의 9할 9푼이 자유 연애를 주장한 것이 아니면 신(新) 자유 도덕(自由道德) 갈등을 주지(主旨)로 한 것으로 보더라도 그 영향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춘원에게도 전환기(轉換期)―아니, 오히려 자성기(自省期)가 이르렀다. 1919년에 필자와 늘봄과 요한의 몇 사람으로 시작된 ‘창조(創造)’의 문예 운동이 일어났으니, 신흥 소년(新興少年)들의 실력은 부족하나마 열(熱)로 충만된 운동이었다. 그리고 우리들이 보여 주려 한 것은 결코 신구(新舊) 도덕이나 연애 자유를 주장하는 이러한 소국부(小局部)의 것이 아니고 인생의 문제와 번민이었다.
▶ 작품 해설
신문학 초기 우리 문단을 석권하던 이광수의 계몽주의 문학에 대해 평자 김동인이 시도한 본격 문학 비평이라 할 수 있다. 개성적이고 예술적 바탕을 중시하는 김동인의 소설관이 이 비평의 중심 논거로 자리잡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오늘날처럼 정교한 비평의 원리를 동원한 것은 아니지만, 문학 비평이라는 장르 의식하에서 특정 작가의 작품을 비평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 비평사에 한 기원을 차지하는 글이라 할 수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