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의 개념
by 송화은율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
1. 18세기의 슈트름 운트 드랑(노도질풍·怒濤疾風)의 시대나, 19세기 중엽의 사실주의(리얼리즘)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 후에서 2차대전 종식기에 유럽 대륙을 휩쓴 모더니즘(modernism)과 비견(比肩)되는 80년대 이후의 지배적 사조는 포스트모더니즘이다.
사실상 이 사조는 유럽의 시대사조에 그치지 않고 전세계를 풍미(風靡)하는 20세기 시대정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이 사조에 관한 일치된 견해가 없다. 2차 대전 이후 혹은 60년대 이후에 생겨난 모든 현상을 말하거나, 괴이하거나 새로운 것, 고급이 아니고 대중적인 것을 모두 거기에 포함하기도 한다.
* “포스트 모더니즘이라는 유령이 지금 유럽에 출몰하고 있다.” (프랑스 [르몽드]지 1981.10)
2. 시의 전통형식을 해체하고, 일정한 줄거리가 없는 소설이 등장하는가 하면, 백남준의 비디오아트 같은 전위예술(前衛藝術)을 비롯, 낯설고 기이한 형상의 회화와 조각들이 고전적인 미의 기준을 파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포스트 모더니즘은 철학, 사회학, 정치학 등 인문-사회과학의 강의실에서도 후기 자본주의를 설명할 이론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점차 패션 등 풍속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등 90년대의 신사조(新思潮)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을 어떤 시각에서 보느냐에 따라 번역(飜譯)도 달리 이루어지고 있는데, <후기(後期)>로 번역하면 20세기 초의 모더니즘을 계승한 사조가 되고, <탈(脫)>로 번역하면 모더니즘과의 결별을 뜻한다. 그래서 원어(原語) 그대로 사용하자는 주장도 있다.
3. 포스트 모더니즘의 소개
① 영문학자 김동욱(서강대 교수)
·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刊)
: 김교수의 논문과 문학, 건축, 미술, 영화, 사회, 정치 등에 걸쳐 외국학자들의 주요 논문들을 재편집한 것으로 난해한 [포]이론체계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 [바흐친과 대화주의](나남 刊)
: 바흐친(러시아 문예이론가, 1895-1975)의 이론체계에서 [포]의 기본개념을 찾으려는 의도
소설의 경우,
그동안 작가가 자신의 작품과 등장인물을 창조한 주인으로 행세했으나, 모든 글쓰기란 사실 과거의 글들을 은연중에 베끼고 짜집기한 것이므로 작가의 창조성이란 허구이며, 실제로 [포]계열의 소설들은 유명한 고전들을 재편집하거나 서술시점의 다양화로 인한 자아의 분산, 파편화된 이야기의 나열 등을 실험하고 있다. 또한 소설의 주체는 그 소설의 작가가 아니라 그 소설과 무수한 독자들이 맺는 관계이므로 ‘작가의 죽음’이 선언되고, 독자의 몫이 더 중시된다.
② 김성곤(서울대교수)
· [포]는 정치적으로는 반체제적이며, 사회생태학적으로는 규제로부터 자유를 추구하고 인류의 위기의식(종말론)과 관련있다.
· [포]의 특성을 화해, 무질서, 비이성(非理性), 혁신, 불확실, 시작, 단절, 상대, 다양성, 오독(誤 讀), 해석불가능, 해체성, 부재(不在), 탈신비화(脫神秘化), 변화, 미로(迷路) 등을 들고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