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춘효(春曉)

by 송화은율
반응형

춘효(春曉)

春眠不覺曉 춘면불각효

處處聞啼鳥 처처문제조

夜來風雨聲 야래풍우성

花落知多少 화락지다소

 

봄 잠에서 날 새는 줄을 몰랐더니

곳곳에서 새들 지저귀는 소리 들리네,

간밤에 비바람 치던 소리에

꽃잎은 얼마나 떨어졌을까?

요점 정리

지은이 : 맹호연

형식 : 5언 절구

배경 : 계춘(늦봄)

주제 : 봄이 감을 애석하게 여김

운자 : 효, 조, 소

내용 연구

춘효 : 봄 날의 새벽

불각효 : 고단하여 늦잠을 잤다는 뜻

야래 : '래'는 '오다' 뜻 이외에 '래'자는 무의미한 허자로 쓰임 여기서는 허자임

화락지다소 : 꽃은 얼마나 떨어졌을까? 봄이 감을 서운해 하는 작자의 심정이 담겨 있음

지(知) : 시에서는 주로 부지(不知)의 뜻으로 쓰임. 일반적으로 번역하지 않는다.

다소 = 기하(幾何)

이해와 감상

 

봄날 늦잠을 자고 난 작가가 아침 풍경을 보고, 봄이 감을 애석하게 여기는 심정을 그림

심화 자료

압운

 

시(詩)와 같은 운문에서 행의 처음과 행의 끝, 행간 휴지(休止) 등에 비슷한 음 혹은 같은 음을 반복해서 문장을 정비하는 수사법.

 

행의 첫음에서 반복되는 것이 두운, 끝음에서 반복되는 것이 각운인데, 이것이 좁은 뜻의 압운이다. 이것은 옛날의 영시에서도 기조를 이루는 수사법으로서 “Twinkle twinkle little star, How I wonder what you are! Above the world so high, Like a diamond in the sky”에서 star와 are, high와 sky는 모두 행 끝에서 같은 음이 반복되는 것이다.

 

한시(漢詩)에서도 마찬가지여서

“白髮三千丈, 綠愁似箇長, 不知明鏡裏, 何處得秋霜(백발삼천장 녹수사개장 부지명경리 하처득추상)”에서의 ‘長’과 ‘霜’ 역시 행 끝에서 같은 음이 반복된 것이다. 이때에 어미(語尾)의 자운(子韻)만이 같은 것이 자운(consonance)이고 high와 sky같이 모음만이 같고 자음이 다른 것이 모운(母韻)이다.

 

또 시가 아니더라도 2개 이상의 말의 음성관계로서 이탈리아어의 gelo·stelo, 프랑스어의 anges·louanges, 독일어의 brennt·Kennt, 영어의 star·after 등은 각기 압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셰익스피어의 극시나 밀턴의 서사시는 거의가 무운시(無韻詩)이고 현대에 들어서 압운은 점차 사라져 가는 경향이다.

평측

 

중국의 작시법에 관한 술어로 평타(平他)라고도 한다. 중국어에 성조(聲調)가 있다는 사실은 육조(六朝) 때에 비로소 자각되기 시작하였으며, 5세기 말의 남제(南齊)시대에 심약(沈約) 등의 ‘사성팔병설(四聲八病說)’이 나옴으로써 확정되었다. 사성이란 평성(平聲)·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을 말하며, 처음에는 오언시(五言詩)의 첫 2구 10자의 구성에서 이들 사성의 배열을 세세하게 규정하였으나(팔병설), 차츰 ‘평’과 ‘측’의 두 가지로 나누어 그 배열을 따지게 되었다. ‘평’은 평성이며, 측은 상 ·거 ·입성을 말한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