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첫사랑 - 고재종

by 송화은율
반응형

첫사랑 - 고재종

 

흔들리는 나뭇가지에 꽃 한 번 피우려고

눈은 얼마나 많은 도전을 멈추지 않았으랴

 

싸그락 싸그락 두드려 보았겠지

난분분 난분분 춤추었겠지

미끄러지고 미끄러지길 수백 번,

 

바람 한 자락 불면 휙 날아갈 사랑을 위하여

햇솜 같은 마음을 다 퍼부어 준 다음에야

마침내 피워 낸 저 황홀 보아라

 

<후략>


요점 정리

 

• 작가 : 고재종

• 갈래 : 서정시

• 성격 : 의지적, 예찬적, 유추적

• 구성 :

1연 – 눈꽃을 피우기 위한 눈의 노력

2연 – 눈의 도전

3연 – 도전 끝에 성취한 눈꽃

4연 – 나뭇가지에 피어난 봄꽃

눈꽃을 피우기 위한 노력 눈꽃 봄꽃 자연의 섭리
↓유추
첫사랑을 위한 헌신과 희생 첫사랑 첫사랑의 아름다운 기억 사랑의 의미

• 제재 : 한 겨울 나뭇가지에 쌓인 눈

• 주제 : 사랑의 결실을 위한 헌신의 의미 / 첫사랑을 위한 헌신과 그 상처의 아름다움 / 인내와 헌신으로 피워 낸 아름다운 사랑

• 특징 : ‘눈’이 내리는 이유를 꽃을 피우기 위한 것이라고 착안하고 있으며,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시상을 전개하고 있고, 자연의 순환인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 변화 속에서, 눈이 내린 후 녹고 봄이 되어 꽃이 피는 과정을 첫사랑에 빗대어 첫사랑의 의미를 발견하고 있으며, 직유법·설의법·역설법·의인법이 쓰였고, 동어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고 있고, 시각적 심상을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눈꽃을 피우기 위한 눈의 노력을 음성 상징어로 형상화하고 있다.

• 출전 : “쪽빛 문장”(2004)

 

 

 

내용 연구

 

흔들리는 나뭇가지에 꽃 한 번 피우려고[‘눈’이 내리는 이유를 나뭇가지에 꽃을 피우기 위한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꽃’은 봄에 피는 꽃을 함축하기도 하고, 눈꽃을 의미하기도 한다.]

눈은 얼마나 많은 도전[의인법]을 멈추지 않았으랴[설의법 / 당연한 것을 질문의 형태로 표현하여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라는 눈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을 강조] - 꽃을 피우기 위한 눈의 도전

 

싸그락 싸그락[의성어] 두드려 보았겠지[눈꽃을 피우기 위한 눈의 노력을 음성 상징어로 형상화하고 있음]

난분분 난분분[의태어 / 눈이나 꽃잎 따위가 흩날리어 어지럽게] 춤추었겠지[대구법, 의인법]

미끄러지고 미끄러지길 수백 번[동어 반복으로 운율감 형성], - 나뭇가지에 꽃을 피우기 위한 눈의 헌신적 노력

 

바람 한 자락 불면 휙 날아갈 사랑[사랑의 덧없음을 표현]을 위하여[눈이 나뭇가지에 머무는 시간은 순간이므로 첫사랑과 유사]

햇솜 같은 마음[직유법 / 마음을 햇솜에 빗대어 햇솜이 지닌 순수하고 깨끗한 의미의 마음을 표현]을 다 퍼부어 준 다음에야[아름다운 사랑을 위한 헌신, 노력]

마침내 피워 낸 저 황홀[눈과 나뭇가지가 만들어낸 아름다운 눈꽃으로 그 첫사랑이 꽃으로 피어난 모습을 ‘저 황홀’이라고 표현] 보아라 –마침내 눈과 나뭇가지가 피워낸 황홀한 사랑의 결실(눈꽃)

 

봄이면 가지는 그 한 번 덴 자리[짧지만 황홀한 만남(눈꽃이 피었던 자리 / 눈이 멈췄다 간 자리 – 황홀하지만 짧은 만남)]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상처를 터뜨린다[한 번 눈꽃이 핀 자리에 꽃망울을 터뜨린다는 의미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상처’란 끝없는 인내와 헌신 끝에 얻은 아름다운 봄꽃을 의미함. / ‘눈’은 나뭇가지에게 그 마음을 다 주며 사랑하지만, 봄이 오면서 녹아 없어지고 만다. 눈이 머물다 간 자리는 나뭇가지에겐 사랑에 ‘덴 자리’이며, 그 자리에서 ‘아름다운 상처’인 꽃이 피어나게 된다. / 역설법] - 나뭇가지에 피어난 아름다운 상처인 봄꽃

 

‘나뭇가지’와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 ‘눈’이 하는 행위 : ‘나뭇가지’와의 사랑을 이루기 위한 ‘눈’의 노력을 사람처럼 의인화하여 표현하였다.

    • 싸그락 싸그락 두드림.

    • 난분분 난분분 춤을 춤.

    • 수백 번 미끄러지기를 반복함.

    • 햇솜 같은 마음을 다 퍼부어 줌.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눈은 ‘꽃’을 피우기 위하여 ‘싸그락싸그락’ 나뭇가지를 두드리기도 하고, ‘햇솜 같은 마음을 다 퍼부어준’다음 ‘꽃’을 피운다. 이로 볼 때, 이 작품은 눈이 내리는 이유를 꽃을 피우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생경한 발상을 표현한 시이다. 눈은 꽃을 피우기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눈은 꽃을 피우기 위해 나뭇가지를 두들기기도 하고, 어지럽게 춤을 추기도 한다. 그 결과로 ‘황홀한 눈꽃’을 피우는데 시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이러한 눈꽃이 피는 이유도 결국은 봄에 꽃을 피우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시인은 모든 성과물은 시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평범한 진리를 역설적인 발상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심화 자료

 

시어의 중의성 : 1연의 ‘꽃’은 ‘눈꽃’을 의미하기도 하고, ‘꽃’을 의미하기도 한다. 시의 맥락에서 볼 때 ‘꽃’은 제4연의 ‘꽃’을 의미하는 시어이다. 즉, 봄에 꽃을 피우기 위해서 ‘눈’은 계속하여 도전한다는 내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꽃’은 봄에 피는 꽃이 아니라 겨울에 나뭇가지에 눈이 쌓여 피는 눈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눈꽃’을 피우기 위하여 ‘눈’은 계속하여 도전한다는 내용으로 해석 된다. 그런데 제3연의 ‘황홀’도 ‘눈꽃’일 수도 있고 봄에 피는 꽃일 수도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