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조망 / 요점정리 / 최일남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최일남(崔一男: 1932- )
전북 전주 출생으로 전주사범학교를 거쳐 1952년 서울대학 문리대 국문과에 입학하여 1957년 졸업하고, 1958년 고려대학 대학원에 입학하여 1960년 수료하였다. 1953년 《문예》에 《쑥 이야기》가 추천 발표되고, 1956년 《현대문학》에 소설 《파양》이 추천 완료되어 등단하였다. 이후 《진달래》 《탄생》 《동행》 《보류》 《여행》 등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했으나 1960년대로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언론인으로서 활동하게 되어 창작활동을 거의 중단하게 되었다.
1959년 민국일보 문화부장을 시작으로 경향신문과 동아일보의 문화부장을 지내고, 1980년 동아일보 편집부 국장에서 해직될 때까지 언론 활동에 주력하면서 《두 여인》(1966) 《축축한 오후》(1967) 등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1973년부터 《빼앗긴 자리》 《노란 봉투》 《이런 해후》 등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창작활동을 재개하였다. 이후 창작활동과 언론활동을 병행하면서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최일남적인 소설 색채를 갖추었다.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진 이 시기에 이른바 '출세한 촌사람들'이 겪는 이야기를 토착어의 풍부한 구사와 건강한 해학성을 바탕으로 삼은 개성적인 문체로 표현하였다.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고향의 모습과 그 고향의 희생을 딛고 출세한 시골 출신의 도시인들이 느끼는 부채의식 등이 그의 소설의 주류를 이룬다.
1980년대 들어 해직의 아픔을 겪고 1984년 동아일보 논설위원으로 복직하면서 《고향에 갔더란다》(1982) 《거룩한 응달》(1982) 《서울의 초상》(1983) 등에서 날카로운 역사적 감각,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전면에 드러내었다. 그러나 분명한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함축하면서도 날카로운 공격이 아니라 해학적인 문체를 살려 건전한 상식의 세계를 이야기한다.
1988년 한겨레신문 논설고문을 지냈고, 1999년 현재 80년 해직언론인협의회 고문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를 맡고 있으며, '작가 최명희와 혼불을 사랑하는 사람들'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월탄문학상(1975)을 시작으로 한국창작문학상(1981), 《흐르는 북》으로 이상문학상(1986), 가톨릭 언론문학상(1988), 인촌문학상(1994), 위암 장지연상(언론부문, 1995)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에 작품집 《서울 사람들》(1975) 《거룩한 응달》(1982) 《누님의 겨울》(1984) 《그리고 흔들리는 배》(1984) 《틈입자》(1987) 《히틀러나 진달래》(1991) 《하얀 손》(1994) 《만년필과 파피루스》(1997) 등이 있고, 수필집 《홀로 생각하며 걸으며》 《바람이여 풍경이여》가 있으며, 시사평론집 《왜소한 인간의 위대함, 위대한 인간의 왜소함》이 있다.
요점정리
배경 : 강원도 산골.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인물 : 나 - 관찰자. 건축 설계사로 비교적 순탄한 가정을 꾸려가고 있는
가장.
주제 : 현실화되어 가는 농촌의 실상과 편협된 현대 도시민의 안일한 삶.
이해와 감상
[서울 사람들]은 도시민들의 삶 속에 내재하고 있는 문명화 사회의 각박함과 자연에 대한 막연한 동경 같은 요소들을 그린 작품이다. 도시적 삶의 허위성과 현실의 냉혹함은 인간의 가치관을 얼마나 잘못 이끌어 왔는가를 보여 준다. 따라서 이 작품은 인간과 괴리된 이상, 혹은 삶의 건조함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최일남은 이와 같이 문명된 사회일수록 인간의 가치는 반비례한다는 문명 비판론적 시각을 갖고 있다. 70년대 이후 잃어가는 자연에의 향수를 그리고들 있지만 이 시대에서 순박한 향수를 추구하는 것 자체가 얼마나 허위스러운가를 작가는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자체적인 문학의 주류에서 본다면, [서울 사람들]은 70년대 이후 도시 산업화 현실의 몰가치성과 도시 소시민의 삶의 문제를 다룬 작품 계열에 속한다.
줄거리
주인공인 '나'는 국영기업체 비서실장인 김성달과 고교 교사인 윤경수, TV가게를 하는 최진철 등과 함께 답답하고 현기증 나는 서울을 빠져나가 여행을 하고자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만나기로 하였다. 이들은 자신들의 목적지는 가족들에게 알리지 않기로 약속했다. 이윽고 친구들이 모두 모이자, 이들은 강원도에 있는 읍으로 향했다. 서울을 벗어난다는 후련함에 흥이 났다. 시골의 정취를 느낄려면 깊은 산골이라야 한다는 공통된 인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은 종착지에서 다시 버스를 타고 백 리나 더 깊은 산골로 들어갔다.
자신들을 수상히 여기는 이장 집에서 3박 4일을 머물게 되었다. 처음에는 김치와 우거지국 뿐인 밥상에도 흥겨워 하며 먹어대었다. 그러나 그것이 진정한 고향의 맛이라고 여긴 것도 잠시뿐이었다. 다음날 저녁부터 커피를 마시고 싶어하는 김성달을 위시하여 맥주타령을 늘어놓는 최진철과 TV 쇼를 보고 싶어하는 윤경수 등 모두 서울을 그리워하게 된다.
그래서 다시 서울로 돌아가기로 한 날 아침차를 놓친 일행은 산행(山行)을 결심하게 된다. 산행 도중 몇 채의 초가집을 만나 쉴려는 찰나 술취한 작부들과 마주치게 된다. 이들은 산 위에 있는 미군기지의 군인들을 상대하는 여자들이었다. 일행은 모두 씁쓸한 감정을 지우지 못한 채, 숨이 막힐 듯 답답한 시골을 떠나면서 안도의 한숨을 내쉰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