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맥(天脈) / 요점정리 / 최정희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최정희(崔貞熙: 1912-1990)
함남 단천 출생. 숙명여고보를 졸업하고 1931년 중앙보육(中央保育)학교를 마쳤다. 1933년 잡지 《삼천리(三千里)》지 사원이 되었으며, 파인(巴人) 김동환(金東煥)과 결혼하였다. 이 무렵에 단편소설 《명일(明日)의 식대(食代)》 《성좌(星座)》 등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장, 이후 많은 순수소설들을 발표하였다.
1935년 《조선일보》 출판부에 입사한 후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흉가(凶家)》(1937)《지맥(地脈)》(1939) 《인맥(人脈)》(1940) 등을 발표하였으나, 1942년부터 《장미의 집》 《야국초(野菊抄)》 등의 친일적인 단편소설과 수필 ·단문들을 쓰기도 하였다. 1956년 《주부생활》지 주간을 역임하였으며, 1960년 발표한 대표작 《인간사(人間史)》는 일제 말기에서 8 ·15광복, 남북분단, 6 ·25전쟁을 거쳐 4 ·19혁명에 이르기까지의 사회적 ·역사적 변천사를 그린 작품이다. 1970년 예술원 회원에 선임되고 1972년 여류문인회 고문에 추대되었다. 한편 조연현(趙演鉉) 문학상 운영위원, 한국소설가협회 대표위원으로도 활약하였다.
작품세계는 체험적 인생주의(人生主義)에서 시작해 객관적 리얼리즘, 민족적 역사의식으로 발전해 나갔다. 특히 《인맥》은 사후인 1996년 딸 김지원(金知原)이 앞뒤에 글을 덧대 장편 《소금의 시간》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단편집으로 《천맥(天脈)》 《바람 속에서》 《찬란한 대낮》 《풍류잡히는 마을》 등이 있고 장편에 《별을 헤는 소녀들》 《녹색의 문》 등이 있으며, 수필집에 《사랑의 이력》 《젊은 날의 증언》 등이 있다. 서울시문화상 ·여류문학상 ·예술원상 · 3 ·1문화상 등을 받았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요점정리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옥수정 보육원.
인물 : 연이 - 주인공. 아이와 함께 사는 여성.
허진영 - 연이의 두 번째 남편. 의사.
선우 선생 - 옥수정 보육원 원장. 연이의 여학교 시절 스승.
주제 : 본능적 모성애.(인간 본능적 사랑.)
이해와 감상
{천맥}은 1941년 <삼천리> 4월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인맥}, {지맥}과 함께 그의 대표작이다. 연이라는 여주인공의 일생을 통하여 삶에 대한 사랑과 인간의 본연적인 애정을 묘사한 작품으로서, 버림받은 여성의 모성애 문제를 여인의 도덕적 문제와 가족 제도의 전근대적 사회 관습과 관련시켜 다루어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최정희는 {천맥}을 통해서 전근대적인 사회 관습이나 사상에 얽매인 여인의 심리적 세계를 날카롭게 파고들어 사회 관습에 대한 비판적 의식으로 여성의 인간성 회복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줄거리
연이(蓮伊)는 아침 저녁으로 무릎을 꿇은 채 손을 모으고 한참씩 앉아 있는다. 그녀는 이렇게 앉아 있는 때가 가장 신에 가까운 마음을 가지게 된다고 알고 있다. 그녀가 아이 하나만을 데리고 이 옥수정 보육원에 오게 된 유래를 안다면 누구나 그녀와 같은 자세를 지을 것이다.
연이의 첫 남편 상수와의 결혼은 법률과 도덕이 허락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남편 상수가 죽자, 연이와 연이의 아이는 시부모에게서 버림을 받게 된다. 한편, 친정으로 간 줄로만 알았던 상수의 처음 색시는 남편 몰래 시부모와 오래 전부터 함께 살고 있었고, 남편이 죽은 후 시부모는 상수의 첫 색시만을 며느리로 인정했을 뿐, 연이 모자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연이는 아이의 교육 문제를 위해, 그리고 아늑한 살림을 해 보고픈 생각에 전처와 사별한 남자에게 두 번째 시집을 간다. 연이의 두 번째 남편 허진영은 의사였다. 그러나 허진영과의 결혼은 그다지 행복하지 못했다. 연이가 데려온 아이 때문이었다. 허진영과 연이와 아이, 세 사람 사이엔 묘한 공기가 감돌았다. 그러나 그녀는 아이를 사랑으로 감쌌다. 아이는 점차 상냥해졌지만, 허진영은 연이와 아이가 더욱 가까워지는 것에 못마땅한 생각이 들어 연이에게 병원일을 보라고 권한다. 연이는 자신이 간호원복을 입고 병원일을 하느라고 아이와 함께 있지 못하는 것은 바로 자기와 아이를 파멸시키는 것임을 깨달았다. 문득 연이는 몇 달 전 신문에서 옥수정 보육원이 소개된 기사를 본 기억이 나서 아이와 함께 있기 위해서 허진영과 헤어져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연이네 모자는 옥수정 보육원을 찾아갔다. 마침 보육원 원장인 선우 선생은 연이의 여학교 시절의 스승님이었다. 선우 선생은 연이가 그 동안 걸어온 비참한 역정을 듣고 나서, 함께 보육원 아이들을 돌보는 일을 하자고 한다. 그 후 연이는 혼신을 다하여 보육원 아이들을 보살폈다. 과연 그녀의 정성 덕이었는지 아이들은 점차 양호해졌다. 그러나 보육원의 원장에 대한 자신의 선입견 때문에 연이는 슬퍼졌으나, 이내 원장의 말에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기도하는 버릇을 갖게 된다.
연이가 무릎을 꿇고 손은 마주 잡고 머리를 숙이고 눈을 감고 한참씩 앉아, 그의 신이 무엇인지 모르면서도 맹목적으로 비는 버릇이 생긴 것은 이 날부터 시작된 것이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