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地下國 大賊 退治 說話)

by 송화은율
반응형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地下國 大賊 退治 說話)

옛날 아귀 귀신이라는 큰 도적이 있었다. 그는 종종 이 세상에서 나와서 세상을 요란하게 하고 예쁜 여자를 납치해 가기도 하였다. 어떤 때 아귀 귀신이 임금님의 세 공주를 한꺼번에 납치하여 갔다. 임금님은 여러 신하에게 귀신 잡을 계획을 물어 보았으나, 신통한 계책을 말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 한 사람의 무신이 나와 자신이 그 일을 맡겠다고 하였다.

"임금님, 저의 집은 대대로 국록(國祿)을 받고 있습니다. 제가 생명을 바쳐 그 은혜를 갚고자 합니다. 반드시 공주님을 구하여 오겠습니다."

임금님은 이를 허락하고, 세 공주를 구하면 그 중 막내 공주와 결혼시키겠다고 하였다. 무신은 여러 하인을 데리고 아귀 귀신의 소굴을 찾아 출발하였다. 그러나 천하를 돌아다녔으나 귀신의 소굴이 어느 곳에 있는지조차 알 수 없었다. 하루는 어느 산모퉁이에서 피곤한 몸을 잡시 쉬고 있는 동안에 깜박 잠이 들었다. 꿈에 머리가 하얀 노인이 나타나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나는 이 산의 산신령이다. 네가 찾는 아귀 귀신의 소굴이 산의 저 쪽 산중에 있다. 그 산에 이상한 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를 들어내면 땅 속으로 들어가는 구멍이 있을 것이다."

노인은 말을 마치자 사라졌다.

무신은 산을 넘고 물을 건너, 꿈속의 노인이 말한 산까지 갔다. 거기에는 조그마한 구멍이 있었다. 무신은 하인들에게 튼튼한 새끼를 꼬게 하고, 광주리 하나를 얽게 하였다. 그리고 하인들에게

"누가 이 광주리를 타고 내려가서 아귀 귀신의 동정을 살피고 오겠는가?"

하고 물었으나, 한 사람도 응답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는 한 하인에게 광주리를 타라고 명령하였다. 그리고

"만일 도중에 위험한 일이 있으면 줄을 흔들어라. 그러면 줄을 끌어올리겠다."

고 하였다. 그 사람은 조금 내려가자 줄을 흔들었다. 무서웠기 때문이었다. 다음 사람은 조금 더 내려간 곳에서 줄을 흔들었다. 할 수 없이 무신 자신이 내려가기로 하였다. 그는 구멍의 끝까지 내려갔다.

그의 눈앞에 넓고 신비한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 그는 제일 큰집의 우물곁에 있는 버드나무 위에 올라가 동정을 살폈다. 조금 있으니 어여쁜 아가씨가 물동이를 이고 그 집에서 나왔다. 그 아가씨는 막내 공주였다. 공주가 물을 긷자, 무신은 나뭇잎을 한 줌 훑어서 물동이 위에 떨어뜨렸다. 공주는 물을 버리고 다시 길었다. 그는 다시 나뭇잎을 떨어뜨렸다. 세 번만에 공주는 머리를 저으면서, 나무 위를 쳐다보고 깜짝 놀라며 말하였다.

"당신은 윗 세상 사람인데, 어떻게 이런 도적의 굴에 내려왔습니까?"

무신은 나무에서 내려와 지금까지의 일을 얘기하였다. 그러자 공주는 이렇게 말하였다.

"귀신의 집 문에는 사나운 문지기가 지키고 있습니다. 그러니 어떻게 그 집에 들어가 도적을 잡을 수 있겠습니까?"

무신은 공주의 귀에 대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저는 다른 물건으로 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수박으로 변할 테니, 이렇게 이렇게 하여 주십시오."

무신이 열 걸음쯤 공중으로 뛰어오르자 수박으로 변하였다. 공주는 그것을 치맛자락에 싸서 문을 지나갔다. 문지기는 공주의 치맛자락을 조사하였으나 별로 의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귀 귀신은

"사람 냄새가 나니 웬일인가?"

하고 공주에게 야단을 치며 물었다. 공주는 태연하게

"그럴 리가 있습니까? 아마 몸이 불편해서 그런가 봅니다."

하고 속였다. 아귀 귀신은 마침 몸이 불편하여 누워 있었다.

공주들은 독한 술을 만들면서 도적의 병이 낫기를 기다렸다. 며칠 후에 공주들은 술을 거르고 돼지를 잡아 잔치를 벌였다.

"이제 병환이 나았으므로 즐거운 마음에 이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오늘은 마음껏 노시지요."

공주들이 갖은 아양을 부리며 술을 권하자, 도적은 마음이 흐뭇하여 걸러 놓은 술을 모두 마셨다. 그리고 공주들의 소원을 들어 주겠다고 하였다. 공주들은 속으로 기뻐하면서 도적이 더욱 우쭐대도록 칭찬하면서 말하였다.

"저희에게는 대감님과 함께 사는 것 외에는 소원이 없습니다. 그런데 대감님같이 이 세상에서 제일 강한 분도 죽는 수가 있습니까?"

도적은 취한 상태에서 공주들의 칭찬을 듣자 의심하지 않고 대답해 주었다.

"내 양 옆구리에는 비늘이 두 개씩 있는데, 그것을 떼어버리면 죽지. 그러나 그것을 뗄 놈이 세상에는 없지. 하하하하......"

도적은 껄걸 웃다가 쓰러져 코를 골면서 잠이 들었다.

수박에서 다시 사람으로 변한 무신은 도적의 옆구리에 있는 비늘을 칼로 베어 냈다. 그러자 도적의 머리는 떨어져 천장으로 올라가다가 다시 목에 붙으려고 하였다. 공주들이 재빨리 매운 재를 목에 뿌리자, 다시 붙지 못하였다.

하인들은 공주를 데리고 임금님에게 갔다. 임금님은 큰 잔치를 베풀고 하인들을 칭찬하였다.

무신은 떨어지는 바위를 피하여 죽음은 면하였으나, 구멍을 빠져 나갈 방법이 없었다. 그 때 노인이 나타나 말 한 필을 주며 타라고 하였다. 무신이 말을 타자, 말은 눈 깜짝할 사이에 땅 위로 올라왔다.

공주들은 오랜만에 만난 부모와 이야기를 하느라 무신의 일을 잊고 있었다. 임금님은 약속대로 하인의 우두머리와 막내 공주를 혼인시키려고 큰 잔치를 열었다. 그 때, 무신이 들어와 임금님에게 지나온 일을 말하였다. 임금님은 하인들을 죽이고, 막내 공주와 무신을 결혼하게 하였다.


요점 정리

연대 : 미상

작자 : 미상

갈래 : 설화

주제 : 무신의 성취와 결혼, 고난극복을 통해 지상국의 승리

내용 연구

아귀귀신 : 율법을 어기는 악업을 저질러 아귀도(餓鬼道)에 떨어진 귀신. 몸이 앙상하게 마르고 목구멍이 바늘구멍 같아서 음식을 먹을 수 없어 늘 굶주린다고 했다.

국록(國祿) : 나라에서 관원에게 주는 녹봉(祿俸)

어떤 때 아귀 귀신이 - 납치하여 갔다 : 아귀 귀신이 공주를 납치해 간 것은 우리 삶에 던져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삶 앞에 던져진 문제는 해결되어야 하므로 이 이야기는 그 해결의 과정을 보여줄 것이 기대된다. 여기 등장하는 아귀 귀신은 보통보다 우월한 존재라는 점에서 이 이야기가 옛날의 것임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광주리 : 광주리 이야기는 지하국이 우리 삶의 공간과는 다른 층위에 있음을 말해 주기도 한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나중에 주인공 스스로 광주리를 타고 내려가는 행위를 통해 그의 비범함을 드러내기 위한 삽화라는 점이다.

지하국 : 지하국을 신비한 세계로 설정한 것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모험심의 발로로 볼 수 있다.

그 사람은 조금 내려 가자 - 무신 자신이 내려가기로 하였다. : 세 사람이 차례로 내려갔지만 실패한 다음 무신 자신이 내려간다. 여기서 세 사람이 내려 가는 일의 '셋'이라는 수효는 별 의미가 없다. 모두 실패하지만 주인공은 해낸다는 뜻이 담겨 있다. 따라서, 과정은 압축적으로 이야기되고 만다.

아귀 귀신은 마침 몸이 불편하여 누워 있었다.: 설화에서는 이처럼 '마침', '뜻밖에도' 등의 표현이 흔히 사용된다. 이 이야기에서 '아귀귀신'이 이 때 마침 몸이 불편한 것도 그러한 예이다. 이는 인과적 필연성보다는 우연성의 요소가 강한 설화의 특징을 반영한다. 설화는 플롯 전개의 필연성보다 문제가 해결되는 데서 재미를 느끼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이런 우연성에 의한 전개와 해결도 흔히 이루어진다

.

임금님은 하인들을 - 결혼하게 하였다 : 이 이야기는 두 가지 사건을 동시에 해결하고 있다. 무신과 막내 공주의 결혼은 아귀 귀신을 물리친 결과로서 이 이야기 전체의 중심 문제를 해결한 것이고, 하인들을 죽인 것은 위선적인 악의 요소를 제거한 것이다. 이처럼 문제가 되는 요소를 완벽하게 해결함으로써 권선징악이라는 주제가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해와 감상

설화는 소설의 모태가 되는 이야기의 요소를 지니고 있으므로 어떤 인물이, 어떤 일을, 어떻게 펼쳐 갔으며, 그것이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에 중점을 두어 감상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민담의 주인공은 보통 사람과는 달리 신통한 능력을 지녔으며, 어려움 앞에서도 좌절하거나 패배하지 않는다. 이 민담의 창작 주체들은 이를 통해 인간에 대한 신뢰와, 어떠한 고난이나 적대적인 요소와도 싸워 이길 수 있다는 낙관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장수와 아귀의 대결이라는 구도는, 인간과 비인간의 싸움에서 언제나 인간이 승리를 거두게 되는 민담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자연의 위협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이 비록 꾸며진 이야기지만 인간의 승리로 끝나는 구도에서 대리 성취의 즐거움을 맛보았던 것이다.

심화 자료

'지하국의 도적' 설화에 나타난 인간의 유형

이 설화에는 긍정적 인물로 무신과 공주, 임금님, 산신령이 있고, 부정적 인물로는 아귀 귀신과 하인들이 있다. 긍정적 인물은 밝음의 세계를 지향하는 인물이며 부정적 인물은 어둠을 지향하는 인물이다. 어둠을 지향하는 인물들의 근거지는 땅 속의 깊은 곳에 있다. 이 어둠의 세계와 밝음의 세계는 이상한 바위의 조그마한 구멍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어둠의 세계와 밝음의 세계는 이 구멍을 경계로 구분되어 각각의 질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어둠의 세계 속에 존재하는 아귀 귀신은 이 구멍을 통하여 밝음의 세계로 나와 나쁜 짓을 저지름으로써 기존의 질서를 파괴한다.

 

그런데 이러한 밝음과 어둠의 양면성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공통적 속성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긴장과 이완의 양면성을 공유하는 것처럼 인간은 밝음을 지향하는 측면과 어둠을 지향하는 측면을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밝음의 측면은 이성적 판단과 긍정적 사고를 하게 하지만, 어둠의 측면은 대상을 감성적인 면에서 파악하고 파괴적이며 부정적인 사고를 하게 한다. 따라서, 어둠의 측면은 주변의 환경이나 스스로의 절제에 의하여 억압되고 축소를 강요당하기 때문에 일상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스스로의 절제를 잃었을 때, 이 어둠의 측면은 밝음의 세계로 튀어 나와 파괴와 부정이 횡행하게 된다.

변신의 의미

이처럼 다른 것으로 변하는 이야기는 민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보통 사람의 힘으로 이룰 수 없는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이런 방법이 동원된다. 이 점에서 '무신'이라는 인물도 보통보다는 우울한 인물임이 확인된다. 여기서 반동인물인 아귀는 사람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것은 아귀 귀신이 특별한 능력을 가졌음을 나타내고 있다.

사건 해결을 위한 복선

공주들은 구출되기를 바라는 구출대상자이다. 그러나 여기서 스스로 노력도 하고 또 구출하는 일을 돕기도 한다. 구출대상자가 조력자가 되어 주인공을 도운다는 점이 다른 이야기에 비해 특이하다.

사건의 해결

초월적 힘을 가진 반동 인물을 특별한 방법으로 물리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비늘은 특별한 힘의 원천으로서 서양의 '삼손과 데릴라' 이야기에 나오는 '삼손의 머리카락'과 같은 요소이다. 재는 사물(死物)의 상징으로 생명이 되살아나는 것을 막는다고 알려졌다.

또 다른 위기의 해결

고난을 해결하려면 특별한 능력이 필요하다. 이 민담에서는 조력자가 다시 나타나 마술적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한다.

지하대적퇴치설화 개요

신이담에 속하는 설화의 하나. (괴물(혹은 독수리)에게 납치되어간 세 미녀)·(금돼지(혹은 미륵돼지)의 자손 최치원) 등으로도 알려져있다. 이 설화 유형은 우리 민간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것 중의 하나로, 그 대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① 여인이 괴물에게 납치당함.

② 여인의 부모는 재산과 딸을 현상으로 용사를 구함.

③ 용사등장

④ 용사 혼자(혹은 부하와 함께) 여인을 찾아 출발,

⑤ 괴물의 거처를 알게 됨

⑥ 지하로 이르는 좁은 문 발견

⑦ (밧줄을 내려 부하들을 차례로 내려 보내려 하였으나 모두 중도에 기권)

⑧ 우물가 나무위에 숨어 있다가 물 길러 나온 여인의 물동이에 나뭇잎을 뿌려 구원왔음을 알림,

⑨ 여인의 도움으로 괴물의 집 문을 무사히 통과.

⑩ 여인이 용사의 힘을 시험하려고 바위를 들어보게 하였으나 용사는 들지 못함,

⑪ 여인은 용사에게 '힘 내는 물'을 먹임.

⑫ 드디어 괴물 죽임

⑬ 납치되었던 사람을 구원.

⑭ 부하들이 무사를 지하에 남겨둔 채 여인을 가로채어 가버림,

⑮ 신령의 도움을 받아 용사는 지상으로 오름,

16 (부하들을 모두 처벌하고) 여인과 혼인.

이상과 같은 내용을 지닌 '지하국대적퇴치설화'는 우리나라 전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아르네-톰슨에 의하면, 이 설화의 유형으로는 AT 300(용퇴치자), AT 301 (곰 아들), AT 303(두형제)와 같은 것이 유명한데, 랑케에 의하면, 유형 300은 368유화, 유형 303은 770유화가 채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3유형중 우리나라의 자료들은 유형 301과 매우 비슷하다. 유형 301은 (납치당한 세 명의 공주)로도 알려져 있어 명칭부터가 우릿 설화와의 관련성을 짐작하게 해준다

(우리나라의 예에 서는 흔히 세 명의 원님 딸 혹은 부잣집 딸이 납치된다). 사실 이본에 따라 조금씩 세부적인 차이점은 가지고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의 자료들은 유형 301의 전파임이 틀림없다. 즉,

세계적인 표준형이

3공주의 납치→ 영웅의 등장 → 초인적 능력을 지닌 3명의 부하 →밧줄을 타고 지하계의 도착 → 괴물퇴치→ 공주들을 먼저 지상으로 올려보냄 → 3명의 부하가 영웅을 지하국에 유기 → 신령 혹은 독수리의 도움으로 영웅이 지상으로 오름 → 부하들을 처벌하고 막내공주와 혼인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유형 301의 역사를 살펴보면 어떤 학자들은 (베어울프이야기)의 전반에 나타나는 베어울프와 그레텔의 싸움이 유럽에 널리 전해오던 설화 (AT 301)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청하여, 적어도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것이라 한다. 분포지역은 매우 광범위하여 유형 301이 전승되고 있는 지역만 훑어보아도 유럽전역(특히 발틱 제국과 러시아), 근동·인도·극동·북아메리카·미국·캐나다 등이 알려지고 있다.

이중 극동에서는 중국·몽고·한국·일본 등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이들은 원래 몽고의 '부론다이' 설화가 전파된 것이라 한다. 이 설화는 아마도 우리나라 설화중에서 가장 복합적인 구성을 지닌 이야기의 대표적인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설화는 완결된 소설적인 허구성을 지니고 있어서 소설로의 이행이 쉬웠으리라 생각된다. (금원전)·(금령전)·(최치원전) 등과 같이 고전소설 중 상당수가 이 설화를 차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전등설화)의 (신앙동기)나 (홍길동전)·(설인귀전) 등에서도 이 설화가 이용되고 있음을 보아, 이 설화의 국내전승은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원전) 이나 (최치원전)은 '지하대적퇴치설화'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홍길동전)에서는 홍길동이 '율도국'을 세운 뒤, 요괴굴에서 요괴를 퇴치하고 그 요괴에게 납치되었던 여인을 아내로 삼은 점에서는 똑같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금령전)에서도 주인공 해룡이 머리 아홉을 가진 괴물에게 납치 당한 공주를 구출한 뒤 결혼한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이상과 같이 몇몇 고전소설들이 내용에 있어 일부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똑같은 원천으로써 '지하국대적퇴치 설화'를 소재로 차용한 것이기 때문이다.

지하국대적퇴치설화

지하국에 사는 괴물을 퇴치하고 납치된 여자를 구해내어 혼인하게 된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는 설화유형이다.

자료집에 따라서는 〈괴물(혹은 독수리)에게 납치되어간 세 미녀〉·〈금돼지(혹은 미륵돼지)의 자손 최치원〉 등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이 설화유형은 우리 민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 중의 하나로, 그 대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옛날 어느 곳에 한 여자가 괴물에게 납치당했다. 여자의 부모가 재산과 딸을 현상으로 내걸고 용사를 구하자, 어떤 용사가 나타나 혼자(혹은 부하와 함께) 여자를 찾아 출발하였다.

천신만고 끝에 용사는 괴물의 거처가 지하에 있음을 알게 되고 그 곳으로 이르는 좁은 문도 발견하였다. 밧줄을 드리워 부하들을 차례로 내려보내려 했으나 모두 중도에 포기하고 말아, 드디어 용사 자신이 지하국에 이르렀다.

용사는 우물가 나무 위에 숨어 있다가 물을 길러 나온 여인의 물동이에 나뭇잎을 훑어 뿌려 자신의 존재를 알렸다. 용사는 여인의 도움을 받아 괴물의 집 문을 무사히 통과하였다. 여자가 용사의 힘을 시험하려고 바위를 들어보게 했으나 용사가 들지 못하자, 용사에게 ‘힘내는 물’을 먹였다.

힘을 기른 용사는 마침내 괴물을 죽이고 납치되었던 사람들을 구하여 지상으로 올려 보냈다. 그러나 부하들은 용사를 지하에 남겨둔 채 여인을 가로채 가 버렸다. 용사는 결국 신령의 도움을 받아 지상에 오를 수 있었다. 용사는 부하들을 처벌하고 여자와 혼인하였다.

이 설화는 아마도 우리 나라 설화 중에서 가장 복합적인 구성을 지닌 대표적인 이야기일 것이다. 따라서, 이 설화는 완결된 소설적인 허구성을 지니고 있어 소설로의 이행이 쉬웠으리라 생각된다. 〈금원전〉·〈금령전〉·〈최치원전〉 등과 같은 고전소설 중 상당수가 이 설화를 차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전등신화≫의 〈신양동기〉나 〈홍길동전〉·〈설인귀전〉 등에서도 이 설화가 이용되고 있음으로 보아, 이 설화의 국내 전승은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원전〉이나 〈최치원전〉은 ‘지하국대적퇴치설화’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홍길동전〉 역시 홍길동이 ‘율도국’을 세운 뒤, 요괴굴에서 요괴를 퇴치하고 그 요괴에게 납치되었던 여인을 아내로 삼은 점에서는 똑같다고 볼 수

그리고 〈금령전〉에서도 주인공 해룡이 머리 아홉을 가진 괴물에게 납치당한 공주를 구출한 뒤 혼인한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이상과 같이 몇몇 고전소설들이 내용에 있어 일부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똑같은 원천으로서 〈지하국대적퇴치설화〉를 소재로 차용했기 때문이다.

〈지하국대적퇴치설화〉는 우리 나라 전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아르네(Aarne, A.)-톰슨(Thompson, s.)에 의하면, 이 설화의 유형으로는 AT 300 〈용 퇴치자〉, AT 301 〈곰 아들〉, AT 303 〈두 형제〉와 같은 것이 유명한 것인데, 랑케(Ranke)에 의하면, 유형 300은 368유화, 유형 303은 770유화가 채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3유형 중 우리 나라의 자료들은 유형 301과 매우 비슷하다. 유형 301은 〈납치당한 세 명의 공주〉로도 알려져 있어 명칭부터가 우리 설화와의 관련성을 짐작하게 해 준다(우리 나라의 예에서는 흔히 세 명의 원님 딸 혹은 부잣집 딸이 납치된다).

사실 이본에 따라 조금씩 세부적인 차이점은 가지고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비슷한 것으로 보아 우리 나라의 자료들은 유형 301의 전파임이 틀림없다.

즉, 세계적인 표준형이 3공주의 납치→영웅의 등장→초인적 능력을 지닌 3명의 부하→밧줄을 타고 지하계에 도착→괴물 퇴치→공주들을 먼저 지상으로 올려 보냄→3명의 부하가 영웅을 지하국에 유기→신령 혹은 독수리의 도움으로 영웅이 지상으로 오름→부하들을 처벌하고 막내 공주와 혼인하는 순서로 진행되는데, 우리 나라의 것도 이것과 별로 다름이 없다.

유형 301의 역사를 살펴보면 어떤 학자는 〈베어울프 이야기〉의 전반에 나타나는 베어울프와 그레텔의 싸움이 실은 유럽에 널리 전해 오던 설화(AT 301)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하여, 적어도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것이라 한다.

분포 지역은 매우 광범위하여 유형 301이 전승되고 있는 지역만 훑어 보아도 유럽 전역(특히 발틱 제국과 러시아), 근동·인도·극동·북아프리카·미국·캐나다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극동에서는 중국·몽고·한국·일본 등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이들은 원래 몽고의 ‘부론다이’설화가 전파된 것이라 한다.

≪참고문헌≫ 朝鮮民譚集(孫晉泰, 東京 鄕土硏究社, 1930), 朝鮮民族說話의 硏究(孫晉泰, 乙酉文化社, 1947), 韓國說話의 類型(曺喜雄, 一潮閣, 1996), The Types of the Folktale(Thompson,S., Helsinki, 1964).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