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조선시대 문학 총정리

by 송화은율
반응형

조선시대 문학 총정리

 

. 조선전기(前期)

 

1. 시대배경(조선 건국~임란,  150년간)

(1) 척불숭유(斥佛崇儒) 정책 : 여말에 들어온 성리학은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되어 모든 국가 경륜의 기본 방향이 되었다. 그리하여 [경제육전(經濟六典)] 등 조선정치의 대법전 편찬의 기본 원리가 되고, 이에 따라 강력한 유교 정치가 시행되었다. 그리고 성균관을 비롯한 오부학당과 지방마다 향교(鄕校)를 세워 유학의 진흥에 힘썼으며, 모든 질서나 문화 유산이 성리학적 관점 에서 비판되고 재평가되었다.

(2)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

(3) 사화(士禍)의 폐단 :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 동서(東西)의 분쟁과 사화 (士禍)로 인한 정국 불안과, 민심의 이탈은 결국 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이어진다.

 

2. 조선전기 문학의 특징

(1) 훈민정음 창제로 인한 문자생활의 변혁 : --- 󰃫 어학 <훈민정음>

(2) 형식면에서 운문(韻文) 문학이 주류 : 시조, 악장, 경기체가, 가사 등 창작

내용면에서는 유교적 이념과 상류 사회의 생활이 중심 ---  <악장>

(3) 문학의 향유 계층 : 거의 양반 중심

(4) 각종 경전, 문학서 번역(飜譯), 발간 : 지식의 대중화 계기

 

 운서(韻書) 번역 : <고금운회> <홍무정운 역훈> 같은 중국의 운서를 집현전과 언문 청에서 번역

 불경(佛經) 번역 :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설치, 많은 불경을 번역

   ㉠ 석보상절(釋譜詳節) --- 󰃫  <석보상절>

   ㉡ 월인석보(月印釋譜) --- 󰃫  <월인석보>

   ㉢ 능엄경언해 : 세조 7, 세조의 명으로 간행.

   ㉣ 묘법 연화경언해 : 제조 9, 신미

   ㉤ 기타, 불설아미타경언해, 반야바라밀다경언해, 지장경언해 등 다수

 경서(經書) 번역 : 최초로 세종 때 이루어졌으나, 간행을 보지 못하고 중종 때 교정청에 의해 간행.

   ㉠ 내훈(內訓) :--- 󰃫 <내훈>

   ㉡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 --- 󰃫 <삼강행실도>

   ㉢ 번역소학 : --- 󰃫 <번역소학>

   ㉣ 소학언해 : --- 󰃫 <소학언해>

   ㉤ 기타, 속삼강행실도, 칠서언해, 여훈언해, 사서율곡언해 등

 문학서(文學書) 번역 : 홍문관 중심, 문학서 번역

   ㉠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 : --- 󰃫 <두시언해>

   ㉡ 명황계감언해 : 성종8. 세종이 지은 당() 명황의 고사를 번역한 것. [동문선] 그 서문만이 전하고 영조 때의 필사본이 있음

   ㉢ 연주시격언해(聯珠詩格諺解) : 성종 13, 서거정, 노사신, 유윤겸이 언해한 책. 원나 라 때 우제가 엮은 칠언절구시 작법책을 번역한 것. 현재 부전(不傳)

   ㉣ 기타, 황산곡시집언해, 백련초해 등

 기타 번역서 : 구급방언해, 구급이해방언해, 구황촬요 등

 

(5) 조선전기 시가 문학의 2대 주류 형성 : 고려 시대부터 이어온 시조에다 가사가 형성

 

 조선전기 시조의 난숙기 : 조선 초기에는 고려 유신들의 회고가, 충절을 노래한 절의가 등이 많이 지어졌으나, 정국(政局)이 안정되고 왕조의 기틀이 잡힌 뒤로는 유교사상과 함께 노장사상의 영향을 받은 한정가, 은일가도 많이 지어졌다. 연산군 이후로는 유학자들의 교 양물이나 여가(餘暇)를 보내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생활표현의 문학으로 발전해 갔다.   한편 유학자들은 관념적인 경향으로 흐른 데 반해, 기생들의 작품은 고독과 한의 정서를 정교하고도 아름답게 표현했다.

 

 회고가 : 태조 연간

   ㉠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 (길재)

   ㉡ <눈 맞아 휘어진 대를~>,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원천석)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 세종 때 맹사성. 4(해동가요)

 오륜가(五倫歌) : 중종, 주세붕. 6. 삼강오륜 노래(무릉잡고)

 어부사(漁父詞) : 중종, 이현보. 5(장가 9편 포함)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영향을 줌 (농암집)

 자상특사황국옥당가 : 송순. 명종이 옥당에 보낸 국화를 받고 지어 바침(청구영언)

---  시조 <풍상(風霜)이 섯거친 나레  피온 황국화(黃菊花)>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 명종 20(1565), 이황. 12(청구영언)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석담구곡가) : 선조, 이이. 10(청구영언)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 : 선조, 권호문. 18. 교훈적 내용의 인생관 표출

 훈민가 : 정철. 16. 오륜과 도덕(송강가사)

장진주사(將進酒辭) : 정철. 1. 최초의 사설시조. 가사로 보는 견해도 있음. 이백의 < 장진주>의 영향을 받은 권주가(송강가사)

 

 가사의 발생 --- 󰃫 <가사>

 서왕가 : 고려말, 나옹화상. 세사에 집착하는 중생에게 불교 귀의 권장

 상춘곡 : 성종1(1470), 정극인. 전라 태인에 은거하면서 춘경을 노래

 매창월가(梅窓月歌) : 성종6, 이인형. 시골에서 한가하게 자연을 즐기는 사대부의 풍류 를 노래

 만분가(萬憤歌) : 연산군4(1498), 조위. 무오사화(1498) 때 유배지인 전남 순천에서 지 은 유배가사 ---  <유배가사>

 면앙정가 : 중종 19(1524), 송순. 향리인 담양에 정자(면앙정)를 짓고 그곳 자연미와 정취를 노래.

 선반가(宣飯歌) : 중종 22, 권씨. 이현보가 부승지가 되어 자당을 뵈어 올 때 어머니가 지어 몸종들에게 가르쳐 영접의 잔치에서 부르게 한 것. 내방가사의 효시

 역대가 : 중종, 진복창. 역대 제왕과 성현의 사적 찬양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 별칭, 권의지로사) : 명종, 조식. 세속을 근심하고, 후학에게 도 덕을 가르치는 노래

 수월정가 : 명종, 송인. 내용은 부전(不傳)

 

남정가(南征歌) : 명종10(1555), 양사준. 을묘왜변(1555) 때 남정군으로 왜적을 물리 친 전쟁가사.

미인별곡 : 명종, 양사준. 한 여인의 미를 노래

관서별곡(關西別曲) : 명종11(1556), 백광홍. 관서의 자연경치를 노래. 기성별곡과 향산 별곡으로 되어 있음. 송강의 <관동별곡>에 영향을 줌 ---  < 백광홍(白光弘)>

환산별곡 : 명종, 이황. 세속을 근심하고 전원에서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노래함. ‘낙빈가 와 함께 [청구영언]에 전함

목동문답가 : 명종, 이황. 부귀영화를 버리고 초야에서 소나 먹이며 살겠다는 안빈낙도 의 생활을 노래

자경별곡 : 선조9(1576), 이이. 향풍을 바로잡기 위한 도덕가사

낙빈가 : 선조, 이이. 작자가 관계를 물러난 은퇴기에 안빈낙도하는 생활 신념을 노래한 은일가사

낙지가(樂志歌) : 선조, 이이. 전원 생활의 즐거움을 노래한 은일가사

도산가 : 선조, 고응척. 임란을 피해 도산의 유곡(幽谷)에 은거하는 생활을 노래한 은일 가사

성산별곡 : 명종15(1560), 정철. 성산의 자연미와 김성원의 풍류 노래

관동별곡 : 선조13(1580),정철. 강원 관찰사로 부임, 그 곳의 자연 경관을 노래한 기행 가사 --- 󰃫 <관동별곡>

사미인곡 : 선조, 정철. 창평에 귀양가서 임(임음)을 그리는, 충신연주지사 --- 󰃫 < 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 : 선조, 정철. 사미인곡의 속편 --- 󰃫 <속미인곡>

서호별곡 : 선조, 허강. 한강의 풍치를 노래

백상루별곡 : 선조, 이현. 백상루 부근의 풍치와 선정(善政)의 모습 노래

강촌별곡(江村別曲) : 선조, 차천로. 벼슬에서 물러나서 지내는 전원 한정

규원가(閨怨歌, 원부사) : 선조, 허난설헌. 유교 사회 체제 아래 가정에 묻혀 있는 여 자의 애원을 노래한 규방가사 --- 󰃫 <규원가>

 

(6) 산문문학의 태동, 발생 : 전래의 설화, 가전, 패관문학의 흐름 위에, 중국의 전기(傳奇),  (話本),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수호전(水滸傳) 등의 영향을 받아 고대소설이 발생했다. ---  <소설>

 

 금오신화(金鰲神話) : --- 󰃫 <금오신화>

 수향기(睡鄕記) : 세조, 남효온. 몽유록계의 한문소설. 작자가 꿈의 세계에서 여러 나라 를 유람하면서 역대 고사에 나오는 몽유인(夢遊人)을 만나 보고 돌아와 천군(天君)에게 복 명했다는 이야기

 대관재몽유록(大關齋夢遊錄) : 성종, 심의. 주인공이 꿈속에서 최치원이 천자가 되고 역 대 문인들이 신하가 되어 있는 왕국에 가서 벼슬하고 결혼까지 해서 행복하게 살았다는 이 야기.

 화사(花史) : 선조, 임제. 국가와 군신을 꽃에 비유하여 치국흥망의 역사를 기록한 한 문 장편 소설.

 수성지(愁城志) : 마음의 세계를 의인화한 소설. 평온한 마음의 세계에 수심이 쌓여 견 고한 성, 곧 수성을 이루었는데, 공방(孔方, )으로 하여금 국(, )장군을 불러들여 수성 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다시 환락을 얻는다는 이야기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 선조, 임제. 생육신의 한 사람인 남효온의 처지를 슬퍼하여 쓴 전기(傳奇) 소설

 

(7) 성리학의 발전 : ‘도학파 사장파의 대립

 특징

· 권근, 변계량,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등 학자 배출

· 성종 때의 서거정 : 조선 초기 한문학의 집대성

· 도학파 : 성리학 신봉, 윤리 도덕 주장

(김광필, 조광조, 김안국, 김정국, 주세붕, 권호문)

· 사장파 : 고려 시대부터 전래하는 시문학과 표현 기교 중시

(남곤, 남효온, 김일손, 조위)

· 이황·이이는 조선 중기 성리학의 쌍벽으로 후대 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줌

· 최경창, 백광훈, 이달 : 삼당시인

 

 한문학 저서

 양촌집(陽村集) : 태조, 권근. 시문집. 동국사략전, 동현사략도 수록

 보한재집 : 성종, 신숙주. 시문집. , 가훈 등 수록

 동문선(東文選) : 성종9(1478), 서거정 --- 󰃫  <동문선>

 화담집 : 중종, 서경덕. 시문집

 농암집(聾巖集) : 중종, 이현보. 시문집

 퇴계전서 : 선조, 이황. 시문집

 율곡전서 : 선조, 이이. 시문집

 

(8) 패관문학의 활발한 전개

 추강냉화 : 세조, 남효온. 고대의 일화를 모음

 양화소록 : 세조, 강희안. 설화·수필·화훼·원예에 관한 이야기

 필원잡기 : 성종, 서거정 --- 󰃫 <필원잡기>

 동인시화(東人詩話) : 서거정

 골계전 : 서거정

 용재총화(慵齋叢話) : --- 󰃫 <용재총화>

 패관잡기(稗官雜記) : 명종, 어숙권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 선조, 권문해 --- 󰃫 <대동운부군옥>

(9) 경기체가의 창작 지속 --- 󰃫 <경기체가>


 조선후기(後期)

 

1. 시대배경

(1) 평민들의 자아 각설

(2) 실학(實學)의 발생

 

2. 조선후기 문학의 특징

(1) 후기의 문학은 양반과 함께 평민들이 많이 참여함

(2) 전기문학의 중심은 성리학과 운문이었는데, 후기문학은 실학과 산문 중심

(3) 국문소설의 발생

 

 설화 정착 소설

 심청전 : 작자미상

 장끼전 : 작자미상. 꿩을 의인화, 조류의 세계를 빌어 인간 세계 풍자

 삼설기(三說記) : 3 3(1-삼사횡입황천기, 오호대장기, 2-서초패왕기, 삼자원종기, 3-황주목사계자기, 노처녀가) 등의 단편집

 왕랑반혼전(王郞返魂傳) : 현종14, 보우(?). 불가의 법력과 불교에의 귀의를 권장한 내 용으로 불교의 설화를 소설화

 흥부전(興夫傳) : 작자미상

 

 사회소설

 홍길동전(洪吉童傳) : 광해군, 허균

 전우치전 : 작자미상. 전우치가 도술을 써서 지방관청의 부패상을 시정하고 백설들을 곤 궁으로부터 구체함

 

 군담소설

 임진록(壬辰錄) : 조선군의 충성스러운 용맹. 충무공의 군사적 전략. 서산대사, 사명당의 도술 등으로 왜군을 물리치고 항복을 받아내고 개선하는 내용

 곽재우전 : 홍의장군 곽재우가 의병을 일으켜 왜군을 물리친 무용담

 유충렬전 : 유충렬의 무용과 기상을 찬양한 영웅소설

 조웅전 : 중국 송나라를 배경으로 한 조웅의 무용담

 이상은 임진왜란 이후 나온 소설

 임경업전 : 기울어져가는 명을 구함과 아울러 병란의 치욕을 씻으려고 애쓰다가 원통하 게 죽어간 임경업의 무용담으로서 전기적 소설

 박씨전 : 박부인이 병란 때 도술로써 청나라 장수와 공주를 굴복시킨 내용

 이상은 병자호란 이후 나온 소설

 

 가정소설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 숙종, 김만중. 요첩(妖妾)이 본처를 모함하여 축출하고 그 집 이 망했다가 다시 화목하게 되는 과정을 그림(중국 배경)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 숙종~철종. 계모가 전처의 자식을 학대

 장풍운전 : 오랑캐로 말미암아 헤어진 부모와 다시 만나 부인과 함께 영화를 누린다는 내용

 

 염정소설

 운영전(雲英傳) : 선조, 유영(?). 유영이 안평대군이 살았던 수성궁에서 놀다가 꿈에 안 평의 궁녀 운영과 그의 애인 김진사를 만났다는 형식으로, 그들의 비극적 정사를 묘사.

 구운몽 : --- 󰃫 김만중 소설 <구운몽>

 옥루몽 : 숙종, 남익훈. 하늘의 선인들이 땅에 내려와 영화를 누리다가 올라간 일부다처 주의의 내용을 그린 작품

 춘향전

 숙향전 : 낙양 이상서의 아들 이선과 숙향과의 사랑을 그림

 숙영낭자전 : 안동선비 백선군과 꿈에 본 숙영과의 사랑을 그림

 옥단춘전 : 이혈룡과 기생 옥단춘의 사랑

 양산백전 : 영조~정조. 양산백과 추양대의 사랑(중국 배경)

 

 풍자소설

 배비장전 : 순조~철종?. 양반의 위선적인 생활을 풍자. 배비장이 제주도에 갔다가 기생 애랑에게 빠져 수모를 당하는 내용

 이춘풍전 : 영조~정조. 무력한 남편과 거세된 양반을 풍자. 춘풍의 아내 김씨가 비장이 되어 감사까지 이용하며 방탕한 남편의 버릇을 고치는이야기

 옹고집(壅固執) : 옹고집이 중을 학대하다가 그 중이 만들어낸 가짜 옹고집에게 쫓겨 나 고생 끝에 자기의 잘못을 뉘우쳐 착한 사람이 된다는 이야기

 

(4) 한문소설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 : 숙종, 조성기. 효자의 지성으로 악한 적모(嫡母)와 패륜한 형 을 회개시키는 내용

 호질(虎叱), 허생전(許生傳) 

 

(5) 시조의 창작 계속 --

조홍시가(박인로), 강호연군가(장경세), 호아곡(조존성), 율리유곡(김광욱), 국치비가(이정환), 당쟁비가(이덕일), 견회요·우후요·산중신곡·산중속신곡·어부사시사(윤선도), 매화사(영매가) (안민영) 등 다수

  시조집 : [청구영언](김천택), [해동가요](김수장), [고금가곡](송계연월옹)

 

(6) 사설시조의 발생 : 조선후기의 시조는 전기의 난숙기를 거쳐 윤선도와 같은 대가를 낳았으 , 실학과 산문정신의 영향을 받아 장형 시조인 사설시조를 낳았다. 그리고 영·정조 이후는 위항인들에 의해 가단(歌壇)이 형성되고, 가객(歌客)들에 의해 전래하는 시조를 정리한 가집( )의 편찬을 보게 되었다.

---  <시조>

 

(7) 가사

* 전기의 양반가사에 이어 평민가사, 내방가사 등이 등장

* 평민가사는 과거의 귀족적 가사문학이 서민화하여 서민을 주제로 한 것이며, 이 중 노래 로 불려진 것을 잡가(雜歌)라 함

* 기행가사와 유배가사, 그리고 주정적·서정적이 아닌 내방가사와 평민가사 등은 모두 운문 을 벗어나지 못했으나, 내용은 다분히 수필적인 데가 있음

* 조선 말기에는 신앙의 고백이나 포교(布敎)의 성격을 지닌 천주교 가사와 동학가사들이 새롭게 나타났으며, 이는 개화기 가사에 영향을 주었음

 

작품 정리

 태평사 : 선조, 박인로. 전쟁가사

 선상탄 : 선조, 박인로. 전쟁가사

 고공가 : 선조, 허전. 농사일로써 국사를 비겨 관리들의 파당적 행위와 정치적 무능을 비판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 임란 후, 이원익. 나라 다스리를 도리를 농사에 비유하여, 붕당에 열중하는 현실을 개탄, 풍자. 허전의 <고공가>에 답한 가사

 조천가(朝天歌) : 선조, 이수광. · 2곡이 있었다 하나 가사는 부전(不傳)

 사제곡 : 광해군, 박인로. 사제의 승경과 이덕형의 소요자적함을 읊음

 누항사(陋巷詞) : 광해군, 박인로. 한음 이덕형과 교유하면서 한음이 고생스런 생활을 물 었을 때 가난하지만 안빈낙도하는 심회와 생활상을 노래

 독락당 : 박인로. 옥산서원 독락당을 찾아가 이언적 선생을 추모, 경치 노래

 염남가 : 인조, 박인로. 영남안절사 이근원의 선정을 백성들이 숭모(崇慕)

노계가 : 박인로. 만년에 숨어 살던 노계의 경치를 읊음

매호별곡(梅湖別曲) : 인조, 조우인. 매호에서 자연을 벗삼아 한가로운 생활

자도사 : 인조, 조우인. 간신들이 정치를 어지럽힘을 슬퍼한 우국, 연군가사

북관곡(北關曲) : 숙종, 송주석. 조부인 송시열의 덕원 유배에 따라가 지음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 헌종. 정학유. 농가의 연중 행사와 풍습을 월령체로 노래.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 영조29(1763), 김인겸. 일본 통신사 조엄의 서기로 따라갔다 가 견문한 바를 노래한 기행가사

만언사 : 정조, 안조원. 대전별감이던 지은이가 추자도로 귀양가서 천신만고의 참상을 노래한 유배가사

봉선화가 : 헌종, 정일당(허난설헌?). 봉선화에 얽힌 여인의 정서 노래

용담유사 : 철종, 최제우. 동학을 창건한 작자가 포교를 위해 지은, 용담가·안심가·교훈가  8편의 가사를 총칭

북천가(北遷歌) : 철종, 김진형. 유배가사

연행가 : 고종, 홍순학. 유배가사 ---  <유배가사>

 

(8) 판소리의 발달

 

(9) 가면극, 인형극의 발달

 

(10) 고대수필 : 국문으로 된 것보다 한문으로 된 작품이 더 많다. 한문으로 된 것으로는 전기 의 패관문학을 비롯, 조선후기의 많은 문집에 들어 있는 작품들을 들 수 있다. 국문으로 된 것 으로는 일기, 기행, 내간, 추도문, 전기문, 잡문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궁정에서 지은 것들도 뛰어난 작품이다.

 

 궁정 기록

 계축일기(癸丑日記) : 광해군 5(1613), 어느 궁녀. 광해군이 영창대군을 죽이고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를 폐하여 서궁에 감금했던 사실을 일기체로 기록

 한중록(閑中錄) : 정조20~순조, 혜경궁 홍씨. 남편 사도세자의 비극과 궁중의 음모, 당쟁, 자신의 기구한 생애를 회갑 때 회고하여 적은 자전적 회고록. 일부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 읍혈록(泣血錄)>이라 함

 인현왕후전 : 숙종 이후 어느 궁녀. 숙종을 둘러싼 쟁총(爭寵)을 그린 것. 장희빈에 의해 인현왕후를 비롯한 서인들이 쫓겨난 뒤 다시 소론(小論)에 의하여 인현왕후가 복위되었다 가 죽을 때까지의 이야기. (구성상 소설로 보기도 함)

 

 일기

 산성일기 : 인조, 어느 궁녀. 병란 때 남한산성에서 일어난 여러 사건을 사실적, 객관적 으로 그린 한글로 된 일기체 수필.

 화성일기 : 정조 19, 이의평. 능행(陵幸)할 때에 화성(수원)에 수행, 왕대비의 회갑연에 참가했던 것을 일기로 엮은 것

 의유당일기(意幽堂日記) : 영조28, 의령남씨. 작자의 남편 신대손이 함흥판관에 부임하 , 따라가 그 부근의 명승고적을 찾아 다니며 익힌 견문을 적은 글

 남정일기 : 영조, 박창수. 작자가 조부인 박성원이 흑산도로 위리안치 되어 갈 때에 따 라갔다가 돌아올 때까지의 일기(일명 남정록)

 

 기행

 연행록 : 숙종 38, 김창업

 을병연행록 : 영조 41, 홍대용

 북관노정록 : 영조 49, 유의양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 : 정조 22, 서유문

 

 제문

 조침문(弔針文) : 순조, 유씨

 

 기타

 요로원야화기(要路院夜話記) : 숙종 4, 박두세

 어우야담(於于野談) : 광해군, 유몽인

 규중칠우쟁론기(閨中七友爭論記) : 미상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