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자화상(自畵像) / 서정주 / 윤동주 / 노천명

by 송화은율
반응형

자화상(自畵像) : 서정주 / 윤동주 / 노천명 시

 

 

자화상 / 서정주

 

애비는 종이었다. 밤이 깊어도 오지 않았다.

파뿌리 같이 늙은 할머니와 대추꽃이 한 주 서 있을 뿐이었다..

어메는 달을 두고 풋살구가 꼭 하나만 먹고 싶다 하였으나......

흙으로 바람벽한 호롱불 밑에

손톱이 까만 에미의 아들

갑오년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돌아오지 않는다 하는 외할아버지의 숱많은 머리털과

그 커다란 눈이 나는 닮았다 한다. 

 

스물 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더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 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진 않으련다. 

 

찬란히 티워 오는 어느 아침에도

이마 위에 얹힌 詩의 이슬에는

몇 방울의 피가 언제나 섞여 있어

볕이거나 그늘이거나 혓바닥 늘어뜨린

병든 숫캐마냥 헐덕거리며 나는 왔다. 


* 감상 : 근대 격동기의 역사를 바탕으로 ‘괴롭고,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온 자신의 모습을 노 래한 작품이다. 근원적인 고통과 방랑의 모습, 이로부터 나오는 생명의 결의가 돋보이는 작 품이다.

* 성격 : 낭만적, 상징적, 격정적

* 구성

· 제1연 : 어린 시절의 한 장면 회상

- 종 : 제도적 모순,

- 흙으로 벽한 호롱불 밑, 풋살구 하나 : 가난

- 파뿌리 같이 늙은 할머니와 대추꽃 : 쓸쓸하고 음울한 분위기. 연약함

· 제2연 : 시상의 전환

- 80%가 바람 : 끊임없는 방랑, 고통과 시달림의 세상. 추위

- 뉘우치지 않으련다 : 삶의 궤적을 있는 후회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임

· 제3연 : 시적 승화

- 아침 이마 위에 얹힌 몇 방울 피섞인 이슬 : 괴로움의 삶 속에서 창조된 열매, 고 뇌의 승화 ( 이슬 ↔ 피 : 대조적 의미, 피 - 괴로움 )

  비교 --- 󰃫 조지훈 시 <승무>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별빛이라.~

⇨ 세사 󰠏󰠏󰠏 (승화 )󰠏󰠏󰋼 별빛

- 병든 수캐마냥 ~ : 쓰디쓴 과거 회고, 강인한 생명적 욕구

* 주제 : 자신의 고통스런 삶에 대한 회고와 생명적 욕구

* 출전 : [시건설] 7호(1939.10)


자화상 / 윤동주

 

산 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 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 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 구성

· 제1연 : 자신을 성찰하는 나

(외딴, 홀로 : 자신의 객관적 관찰)

· 제2연 : 우물 속의 아름다운 풍경

(자신의 초라한 모습과 대비시키기 위함)

· 제3연 : 보기 싫은 자아(사나이) - 암담한 시대

· 제4연 : 자기 연민(憐憫)

· 제5연 : 애증(愛憎)의 교차.

· 제6연 : 두 자아의 갈등 극복, 화해(화합)의 장면

(이상적 자아의 모습 동경)

* 시적 의미

· 양분된 자아 : 우물 속의 ‘사나이’ ⇔ 들여다 보는 ‘나’

↘ ↙

화합(합일)

(변증법적 구조)

· 우물 : 다른 시의 ‘거울’, ‘하늘’과 유사 ( 자아성찰의 매체 )

* 주제 : 자아 성찰과 이상적 세계에의 동경

* 출전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현대문학](1967)


자화상 / 노천명 

조그마한 거리낌에도

밤잠을 못 자고 괴로워하는 성미(性味)는

살이 머물지 못하게 학대를 했다.

꼭 다문 입은 괴로움을 내뿜기보다

흔히는 혼자 삼켜 버리는 서글픈

버릇이 있다. 세 온스의 살만

더 있어도 무척 생객나게 내 얼굴에

쓸 데가 있는 것을 잘 알지만 무디지

못한 성격과는 타협하기가 어렵다.

처신을 하는 데는 산도야지처럼

대답을 못하고 조그만 유언비어에도

비겁하게 삼간다.

대처럼 꺽이는 질망정 구리모양 휘어지기가 어려운 성격은 가끔

자신을 괴롭힌다.


* 감상 : 담담한 어조로 깔끔한 외모와 지나칠 정도로 내성적이고 타협하지 않는 자신의 성격 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그러나 그 고백의 바탕에는 자신의 모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숨어 있다.

* 주제 : 내성적이고 곧은 자신의 모습 성찰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