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모 체계

반응형

자모 체계 : 자모(字母)란 말소리를 음소(音素)(자음과 모음) 단위로 표기하는 글자, 곧 음소 문자를 이른다. 알파벳(alpabet)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한글의 자모는 자음자 14, 모음자 10자 합이 24자인데, 이 밖에 된소리 자음 5, ‘, , , , , , , , , 등이 더 쓰이고 있다.

 

한글 맞춤법 제2 자모

 

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 () () () () () () () () ()

 

[붙임1] 위의 글자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쌍기역) (쌍디귿) (쌍비읍) (쌍시옷) (쌍지읒)

() () () (󰃚 ㅘ() () () () () ()

()

 

[붙임2]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19)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21)

 

한글 자모의 수()와 순서(順序) 주요 변천 사항

 

훈민정음

 

(1) 자음 : 아음(牙音), 설음(舌音), 순음(脣音), 치음(齒音), 후음(喉音), 반설음(半舌音), 반치음 (半齒音)의 차례

ㄱㅋㆁ/ㄷㅌㄴ/ㅂㅍㅁ/ㅈㅊㅅ/ㆆㅎㅇ//(17)

 

(2) 모음 : 기본자, 2합자, 3합자

ㆍㅡㅣ/ㅗㅏㅜㅓ/ㅛㅑㅠㅕ(11)

 최세진(崔世珍), [훈몽자회(訓蒙字會)](중종 22, 1527)

 

(1) 자음 : 첫소리와 끝소리(받침)으로 두루 쓰이는 8자와 첫소리로만 쓰는 8자로 구별

ㄱㄴㄷㄹㅁㅂㅅㆁ / ㅋㅌㅍㅈㅊㅿㅇㅎ (18)

 

(2) 모음 : 가운뎃 소리(중성)로만 쓰는 11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ㆍ(11)

* 이 제외되고, 현재의 순서가 거의 같게 됨

 홍계희, [삼운성휘(三韻聲彙)](영조 27, 1751)

 

(1) 자음 : 첫소리와 받침으로 쓰는 8자와 첫소리로만 쓰는 6자로 구별

ㄱㄴㄷㄹㅁㅂㅅㆁ/ㅈㅊㅌㅋㅍㅎ

* ㅌㅋ의 순으로 되어 있음

 

(2) 모음 : 가운뎃소리로만 쓰는 11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ㆍ(11)

 

 1930 2 <보통학교 언문철자법>을 정할 때에 아래 아()를 정식으로 제외함. 3년 뒤 1933년 발표된 <조선어 철자법 통일안>에는 자음 14, 모음 10자 합24자의 차례를 현재와 같이 배열하기로 함

 

한글 자모의 이름

 

훈민정음에서는 글자의 이름을 정하지 않았음

 

(1) ‘은 어금니소리(아음, 牙音)니 첫소리로 쓰일 때는 ()’자 처음 나는 소리와 같고,  (竝書)하면 ()자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2) ‘ ()’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 이처럼 한자의 음을 빌려 그 음가(音價)를 설명해 놓았을 뿐이다.

 

󰊲 최세진 [훈몽자회] 범례(凡例)

(1) 其役, 尼隱 등등

(2) ,  등등

 

󰠏 첫소리와 끝소리로 두루 쓰는 8자에는 한자를 두 자씩, 첫소리로만 쓰는 8자 및 가운뎃 소 리로만 쓰는 11(모음)에는 한자를 한 자씩 보였다. 앞의 8자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ㅣㅡ 그 글자가 붙는 형식의 한자음을 취했으나, ‘, , 에 해당하는 한자음이 없으므로, 가까운 음이나 뜻으로 취한 한자를 가지고 왔다.(󰃚, 其役, 池末-(귿) ,  時衣-옷 의)

 

󰊳 1930년 보통학교 언문철자법 부기(附記)에서 “<자음의 칭호법>은 하()와 여()히 정함이라 하고,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윽, 티읕, 피읖, 히읏으로 하였다.

 

󰠏󰋼 이는 처음 공식적으로 글자의 이름을 정한 사례다.

 

󰊴 1933 <한글 맞춤법 통일안>

 

(1) 언문철자법에서 튀하되, ‘키윽, 히읏 <키읔, 히읗>으로 고침

 

자모 체계

훈민정음 초성 : 17 - 발음기관의 상형과 가획(加劃)

소리의 성질
제자원리
조음위치
예사소리
(全淸)
거센소리
(次淸)
된 소 리
(全濁)
울림소리
(不淸不濁)
기본자의 원칙
엄쏘리 (아음, 牙音)
- 어금닛소리)
()  #    *  舌根閉喉之形
설근폐후지형
혀쏘리 (설음, 舌音)
- 혓소리)
  #    ()  舌附上㗁之形
설부상악지형
입시울쏘리 (순음, 脣音)
- 입술소리)
#  #    ()  口形
구형
니쏘리 (치음, 齒音)
- 잇소리)
() 
# 
#   
 
  齒形
치형
목소리 (후음, 喉音)
- 목구멍소리)
#  #    ()  喉形
후형
반혀쏘리 (반설음, 半舌音)
- 반혓소리)
*     *   
반니쏘리 (반치음, 半齒音)
-반잇소리)
*     *   

 

구분 제자원리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
아음(牙音)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설음(舌音)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 , 
순음(脣音) 입의 모양 ,   
치음(齒音) 이의 모양 , 
후음(喉音) 목구멍의 모양 ,   

 전탁(全濁) = 전청(全淸)자를 병서(竝書).

 

 

소리내는 자리
소리내는 방법
두입술
사이
윗잇몸/
혀끝
경구개/
혓바닥
연구개/
(혀뒤)
목청
사이
안울림
소리
파열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울림
소리
비음    
유음        

󰊲 중성 (가운뎃 소리) : , ,  상형으로 기본 모음 창제

 

제자원리
음의성질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 기본자의 원리
양 성 ,  ,  形之圓 象乎天也
음 성 ,  ,  形之平 象乎地也
중 성     形之立 象乎人也

 

* 모음 기본자의 음가

1.1  : 혀를 오그려 소리를 깊게 냄 --- 설축이성심(舌縮而聲深)

1.2  : 혀를 조금 오그려 소리는 깊지도, 얕지도 않음 --- 설소축이성불심불천(舌小縮而 聲不深不淺)

1.3  : 혀를 오그리지 않아 소리가 얕음 --- 설불축이성천(舌不縮而聲淺)

 

* 이중 모음

1.1 상향 이중모음 : 반모음이 단모음에 앞섬 ( 반모음 + 단모음 )

1.1.1 [j] + , , ,  = , , , 

1.1.2 [w] + ,  = , 

1.2 하향 이중모음 : 반모음이 단모음 뒤에 섬 ( , , , , ,  )

 

중세국어 단모음(7모음)                  18세기 단모음(8모음)                  현대국어 ()모음체계(10모음)

 

구분 전설 중설 후설   구분 전설 중설 후설   혀 앞뒤
입술
혀높이
전설 후설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고모음 (폐모음)
중모음   중모음  
저모음   저모음   (개모음)    

 

󰊳 종성 : 종성부용초성의 원리에 따라, 종성 글자는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 글자를 다시 사용함


 

 

반응형

송화은율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