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씨효문록(李氏孝門錄)
by 송화은율이씨효문록(李氏孝門錄)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6권 6책. 한글 필사본. 김광순(金光淳) 소장의 ‘이씨효문록’(6권 6책), 박순호(朴順浩) 소장의 ‘니시효문녹’(6권 6책 중 권4 낙질),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본(구 김동욱 소장본) ‘이씨충효록’(1권 1책, 낙질)이 있다.
〈이씨충효록〉은 185면이 남아 있는데, 6권 6책의 〈이씨효문록〉과 비교해 볼 때, 〈이씨효문록〉의 권3의 3분의 2 부분까지의 내용과 동일하다. 〈이씨효문록〉은 〈오왕별전〉으로 연작되나, 아직 〈오왕별전〉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문가 후손인 이문환은 후사가 없는 형 이창환(성암공)에게 원비 화씨 소생의 아들 명현을 양자로 보낸다. 명현은 위소저와 혼인하고 양부모를 친부모처럼 모신다. 창환의 처 유씨는 집안의 많은 재산을 두 딸 부부에게 전하기 위하여 딸 영설·영희와 공모하여 명현과 위부인을 해치려고 한다.
명현은 유모 정유랑이 길에서 데려다 키운 빙염을 자신의 소실로 삼는다. 그 뒤 유부인은 갖은 방법으로 명현을 모함한다. 상의 총애를 받는 만귀비는 상에게 부탁하여 조카 만소저를 명현에게 사혼하게 한다. 유부인과 두 딸은 만부인을 구슬러 원위(原位)를 빼앗을 계교를 짠다. 마침 숙모가 80세로 위중하다 하여 창환과 문환은 가고 동생인 성환만 남는다.
유부인은 이 틈을 타서 명현에게 원위를 만부인에게 주라고 명하고, 만귀비의 도움으로 위부인을 장사로 유배시킨다. 위부인은 도중에 만부인이 숨겨 놓았던 자객들을 물리치고 장사에 도착한다. 이때, 이창환이 돌아 와 모든 사실을 알고 유부인과의 부부의를 끊어 구가로 보내고, 두 딸도 모두 보내려고 하나, 명현이 반대하여 그만둔다.
한편 빙염은 한 재상이 자신을 딸이라고 부르며, 금낭으로 오빠와 아비를 찾으라고 하는 꿈을 꾸고는 유모에게서 금낭을 찾아 마침내 부친 서호와 만난다. 이에 명현은 다시 정식 재실로 삼는다. 유부인이 병을 얻어 앓고 있는데, 서부인이 죄를 뒤집어 쓰고 영원정에 갇힌다. 명현은 만귀비의 모함으로 유배를 간다. 상이 죽자 태자는 즉위하여 만씨의 삼족을 멸하고 만부인은 명현이 돌아 와 처치하게 한다.
만부인은 전급사와 사통하고, 주술로 유부인을 병들게 하니 냄새가 코를 찔러 모두 간병을 포기하는데, 명현이 돌아와 간병하여 완쾌시킨다. 한편 도망갔던 만부인은 잡혀오자 명현이 그녀를 처형한다. 마침내 서부인과 위부인이 돌아오고 집안은 화평해진다.
나라에서 과거를 열어 재희가 장원에 급제하고 여타의 형제들이 차하로 급제한다. 상의 숙모 단양공주가 일찍 여아(청안공주=엄소저)를 두어 사위를 구하던 중 임금께 아뢰니, 임금이 재희로 사혼한다. 추밀사 화백운도 재희를 보고는 혼인을 청하나 거절당하고는 임금께 주달하니, 임금은 바둑 내기를 통해 재희에게 사혼한다.
동오왕 변국진이 난을 일으키자, 재희가 평서대원수가 되어서 출장하여 진압한다. 재희는 상경하여 오공의 작위를 받는다. 그 뒤 온 가족이 혼인을 하고 무궁한 영화를 누리다가 명현이 죽자 천자가 효문선생이라는 휘호를 내리고 초상 기구를 갖추어 준다. 영희 남편인 정선이 명현의 사적을 자세히 아는 고로 이에 자세히 기록한 것이다.
이 작품은 재산상속을 둘러 싼 전통제도와 새로운 장자상속제도 사이의 대립을 그린 문제 작품이다. 한 쪽은 현실적 손익에 바탕을 두고 장자인 이명현을 일방적으로 모해하지만, 이명현은 유교적 이상 이념에 바탕을 둔 지극한 효의 실현으로 이를 극복한다. 이러한 것은 현실의 문제를 유교적 이념의 실현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는 이상론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 속에 내재된 갈등이 17세기에 야기되었던 재산상속에 관한 문제라는 점과 작품이 삼대록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연작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아직 그 방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이씨효문록〉은 늦어도 18세기 초에는 창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니시효문록(한글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권39·40, 오성사, 1986), 이씨효문록(김광순 소장 필사본한국고소설전집 6·7, 경인문화사, 1993), 이씨효문록 연구(林治均, 韓國古典小說과 敍事文學, 集文堂, 1998).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