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씨세대록(李氏世代錄)
by 송화은율이씨세대록(李氏世代錄)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26권 26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 쌍천기봉 〉 의 후편이며 다시 〈 이씨후대 인봉쌍계록 〉 으로 이어지는 연작형 소설의 하나이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명나라 정통연간 태자의 태사 이현의 장자인 관성은 5남 2녀를 두었다. 장남인 승상 몽현은 계양공주와 혼인하여 7남 2녀를 두었으며, 차비에게서 3남 3녀를 낳았다. 차남 몽창은 5남 2녀를, 3남 몽상은 3남 3녀를, 4남 몽필은 4남을 두었고, 장녀는 문황명과, 차녀는 오익과 혼인하였다.
승상(몽현)의 장남 홍문이 노강의 딸과 정혼하였는데, 그 못생긴 얼굴을 보고 파혼하고자 집을 나가 배회하다가 미인도를 사게 된다. 이 미인도는 이부상서 양세정의 딸 난화의 초상화로, 홍문이 양상서를 만나 미인도를 돌려주고 양소저와 혼인한다. 돌아와서 다시 노소저를 부인으로 맞이하니, 노씨는 자기보다 아름다운 양부인을 모해한다.
이승상의 차남 세문은 유장의 딸과, 3남 기문은 교상위의 딸과 혼인한다. 연왕 이몽창의 3남 성문은 태수 여현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여태수가 도둑을 만나 딸을 잃고 다른 문중에 구혼하려고 한다. 흥문의 첫째부인 양부인을 모해하려던 둘째부인 노부인이 음모를 꾸몄다가 실패하고 쫓겨나니 복수할 일을 생각한다.
이때 몽상의 아들 성문이 절강순무어사가 된다. 관성의 둘째아들 몽창의 부인이 유배 중에 경문을 낳았는데 도적에게 빼앗겼다. 유영걸의 부인이 경문을 데려다 길렀는데, 유영걸의 부인이 죽자 경문은 시비 추향의 학대를 받다가 이어사(성문)에게 구원된다.
또, 이어사가 여러 지방을 순찰하다가 약혼자 여소저를 구출하여 혼인하니 여부인보다 먼저 혼인한 임부인이 모함하여 친정으로 쫓겨가게 된다. 여부인이 친정으로 가다가 풍파를 만나 수신(水神)의 인도로 자신의 전생과 관련된 이야기를 듣고 본부(本府)로 돌아간다.
한편 유상서는 경문이 피신해 있는 위상서의 딸과 혼인하게 하니 유상서의 첩 각씨가 위소저를 미워하여 설소저를 다시 맞아들이게 하였다. 경문은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상경하여 장원급제한다. 한림수선이 되어서 연왕을 뵈었는데 연왕과 닮았음을 보고 의심한다.
경문이 출세하자 이 때 각씨와 그의 아들 현애가 경문을 암살하려다가 음모가 탄로난다. 황제는 억울한 누명으로 태주에서 귀양살이했던 경문을 부모형제와 다시 만나게 한다. 경문이 금정도사의 계교에 속아서 노씨와 혼인한 것을 알고 한동안은 위부인을 박대하다가 앞뒤의 일을 모두 듣고는 위부인을 사랑하게 된다.
이 때 노씨는 도술로 화상서의 딸의 시비가 되어 복수하고자 한다. 백문이 화소저와 혼인하나 시비인 노씨를 좋아하자 화소저와 흥문이 간통했다고 모해한다. 병부상서 임공은 노공과 짜고 이부(李府)를 참소하여 형주(荊州)로 유배시킨다.
이 때 노씨의 시비 혜선이 자백함으로써 황제는 이백문과 노공을 멀리 귀양보낸다. 이때 형주에서 태양이라는 자가 반란을 일으키자 이부의 형제(흥문과 세문)가 출전하여 부적으로 태양의 도술을 막아 승전한다.
홍문이 사촌동생 백문을 위로하고 그의 아내를 구출하니 황제는 홍문을 광평후, 세문을 청양후, 성문을 초국공, 경문을 광릉후로 봉하고 화공으로 공부상서를 삼는다. 이백문이 유배지에서 돌아와 화소저를 찾아갔다가 욕만 당한다.
다시 사죄해 보지만 상대도 해주지 않다가 백문이 위독해지자 화소저가 비로소 용서하고 금슬이 좋아진다. 이때 황제가 죽고 태자가 등극하여 백문으로 남방안찰사를 삼아 민심을 진정시키고 황제가 호부상서를 제수한다.
궁중에서 황제의 귀비 조씨가 황후와 태자를 모해하므로 경문의 아내 위부인이 피로 써서 소를 올리니, 조귀비가 그의 궁녀 추현을 독살시킨다. 황제는 연왕을 멀리 귀양 보내고 황후를 폐한 뒤 조귀비를 황후로 삼는다.
조귀비는 태자마저 죽이려고 태자를 하옥하지만, 옥진관이 요녀의 행실을 아뢰자, 황제는 태자를 위로하고 연왕을 모셔오게 한다. 한편 황후를 환궁하게 하여 백문에게 궁중을 다스리게 한다. 황제는 이부에 ‘ 충렬복덕지가 ’ 라는 현판을 하사한다.
〈 이씨세대록 〉 과 같은 별전(別傳)소설은 한 작품이 끝이 나도 개운하지 않은 감이 없지 않다. 그것은 이야기를 중간에서 그만둔 듯한 인상이 풍겨지기 때문이다.
‘ ∼ 세대록 ’ 의 주제는 가문창달에의 세대 혹은 삼대록과 같이 대를 이어가는 주인공을 소재로 하여 지어지는 별전소설로 3대, 6대까지 연작되기 때문에 장편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또한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수효를 더욱 늘리고 있다.
초기작품과는 달리 그 가문 또는 그 인척간에서 뛰어난 존재들이 동시에 나타난다. 이들이 모두 관직에 진출하여 요직을 독점하여 문벌에 의해 정부가 조종되는 듯한 인상을 준다. 이러한 사실은 고소설의 체제에 대한 어떤 개혁을 암시케 한다.
또한, 주인공들이 모두 도의를 숭상하고 인륜을 바로잡으려 하며, 교학의 전범과 치세의 정도를 앞세우고 백성들을 위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으려 하는 점 등으로 미루어 왕도정치를 합리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과거의 정치제도와는 달리 집권계층에 대한 반성적 촉진제로 시사된다.
어린 나이의 주인공이 과거에 응시하는데, 이것은 척신들의 임용과 조선 후기의 이상향적 구도의 면을 보여 준다. 이 작품도 이씨가문을 통하여 세도정치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사는 백성의 안녕을 운운하면서도 집권층만을 위하는 정치풍토에 강력히 저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비합리적인 인사처리는 벌열(閥閱)정치에 대한 저항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당시 지도계층에 낄 수 없었던 일부 사람들의 이상적 구도를 창작화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 참고문헌 ≫ 朝鮮小說史(金台俊, 淸進書館, 1952), 李朝時代의 小說硏究(金起東, 成文閣, 1974), 家門小說硏究(李樹鳳, 螢雪出版社, 1978), 李朝時代의 作品樣相(鄭炳昱, 古典文學을 찾아서, 文學과知性社, 1976), 雙釧奇逢硏究(金鎭世, 冠岳語文硏究 1, 서울대학교, 1976), 李朝連作小說硏究(金鎭世, 서울大學校敎 養課程部 論文集 5, 1982).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