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심전심(以心傳心)의 유래
by 송화은율반응형
이심전심(以心傳心) // 말이나 글로 전하지 않고 마음으로 마음에 전함.
《出典》‘五燈會元’ / ‘傳燈錄’ 無門關 / ‘六祖壇經’
송(宋)나라의 중 도언(道彦)이 석가 이후 고승들의 법어를 기록한《전등록(傳燈錄)》에 보면, 석가가 제자인 가섭(迦葉)에게 말이나 글이 아니라 ‘以心傳心’의 방법으로 불교의 진수(眞髓)를 전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에 대해 송나라의 중 보제(普濟)의《오등회원(五燈會元)》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어느날 석가는 제자들을 영산(靈山)에 불러모았다. 그리고는 그들 앞에서 손가락으로 ‘연꽃 한 송이를 집어 들고 말없이 약간 비틀어 보였다.[拈華]’ 제자들은 석가가 왜 그러는지 그 뜻을 알 수 없었다.그러나 가섭만은 그 뜻을 깨닫고 ‘빙긋이 웃었다.[微笑]’ 그제야 석가는 가섭에게 말했다.
“나에게는 정법안장(正法眼藏)과 열반묘심(涅槃妙心), 실상무상(實相無相), 미묘법문(微妙法門), 불립문자·교외별전(不立文字·敎外別傳)이 있다. 이것을
너에게 전해 주마.”
世尊在靈上會上 拈華示衆 是時衆皆寂然 惟迦葉尊者破顔微笑 世尊云 吾有正法眼藏 涅槃妙心 實相無相 微妙法門 不立文字 敎外別傳 付囑磨訶迦葉.
【동의어】염화미소(拈華微笑)
【유사어】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