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일망타진(一網打盡)의 유래

by 송화은율
반응형

 

일망타진(一網打盡) // 한꺼번에 모조리 잡음. 

 

出典宋史 仁宗紀 東軒筆錄

 

북송(北宋) 4대 황제인 인종(仁宗) 때의 일이다.

 

당시 북방에는 거란[契丹:]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 남쪽에는 중국의 일부였던 안남(安南 : 베트남)이 독립을 선언하는 등 정세가 불리하게 돌아가는데도 인종은 연약한 외교로 일관했다. 그러나 내치(內治)에는 괄목할 만한 치적(治績)이 적지 않았다.

 

전한(前漢) 5대 황제인 문제(文帝)와 더불어 어진 임금으로 이름난 인종은 백성을 사랑하고 학문을 장려했다. 그리고 인재를 널리 등용하여 문치(文治)를 폄으로써 이른바 경력(慶曆)의 치()’로 불리는 군주 정치의 모범적 성세(聖世)를 이룩했다.

 

이 무렵, 청렴 강직하기로 이름난 두연(杜衍)이 재상이 되었다.

 

당시의 관행으로는 황제가 상신(相臣)들과 상의하지 않고 독단으로 조서를 내리는 일이 있었는데, 이것을 내강(內降)이라 했다. 그러나 두연은 이 같은 관행은 올바른 정도(正道)를 어지럽히는 것이라 하여 내강이 있어도 이를 묵살, 보류했다가 10여 통쯤 쌓이면 그대로 황제에게 되돌려보내곤 했다. 이러한 두연의 소행은 성지(聖旨)를 함부로 굽히는 짓이라 하여 조야(조야)로부터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때 공교롭게도 관직에 있는 두연의 사위 소순흠(蘇舜欽)이 공금을 유용하는 부정을 저질렀다. 그러자 평소 두연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은 어사(御史) 왕공진(王拱辰)은 쾌재를 부르고 소순흠을 엄히 문초했다. 그리고 그와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을 모두 공범으로 몰아 잡아 가둔 뒤 재상 두연에게 이렇게 보고했다.

 

범인들은 일망타진(一網打盡)’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그 유명한 두연도 재임 70일만에 재상직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