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맹(流氓) / 요점정리 / 현경준
by 송화은율
작자소개
현경준(玄卿駿: 1909- ? )
함북 명천 출생. 일명 금남(錦南). <동아일보> 기자 역임. 해방 직후 북조선 예술가 총연맹 함북 중앙 위원으로 활동. 1934년 <마음의 태양>을 <조선일보>(1934.5.18-9.15)에 발표하여 등단함. 그는 생활 문학과 예술 문학에 대해 고민하였으며 목적 의식이 강한 작품 세계를 지향하려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격랑>, <명일의 태양>, <별>, <사생첩(寫生帖)>, <소년록>, <퇴조>, <유맹>, <길> 등이 있다.
<유맹>은 '유랑민'이란 뜻으로 <광업조선>(1939년)과 <인문평론>(1940년)에 발표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이 밝힌 바와 같이 '보고문' 성격의 현장 기록 소설로서, 만주 지방의 아편 중독자와 밀매자 등을 수용하여 이들을 교화시키는, 집단 농장 성격을 지닌 만주 보도소를 주요 배경으로 하여 그려져 있다.
이해와 감상
<유맹>은 '유랑민'이란 뜻으로 <광업조선>(1939년)과 <인문평론>(1940년)에 발표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이 밝힌 바와 같이 '보고문' 성격의 현장 기록 소설로서, 만주 지방의 아편 중독자와 밀매자 등을 수용하여 이들을 교화시키는, 집단 농장 성격을 지닌 만주 보도소를 주요 배경으로 하여 그려져 있다.
<유맹>은 작가가 1937년 8월 만주 지방의 대이수구(大梨樹溝)라는 보도소를 방문한 후 <문장>(1939. 8) 11월호에 발표한 기행문의 내용과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런 점에서 <유맹>은 현장 기록 소설이며, 객관적 기사 문체를 통한 사실주의적 성격을 지닌 보고(報告) 문학이다.
줄거리
<유맹>의 중심 무대인 만주 대이수구라는 부락은 1937년 치외 법권 철폐 때, 부정업자(밀수업자)와 사기 횡령범과 아편 중독자 등을 수용하도록 지정된 4개 부락 중의 하나인데 그 중 대부분은 아편 중독자들이다. 부락에는 보도소까지 있어서 적극적 지도를 담당하고 있다. 교화 성적은 예상 이상으로 양호하다 하나, 다년간의 악습은 좀체로 없어질 줄 모르고 그들 특유의 비밀 공작은 그칠 줄 모른다. 그 중에서도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중독자들이다. 이 중독자 속에는 상당한 인텔 리가 있는 것으로서 그들의 과거를 뒤져보면, 정치 운동가·예술가·교육자들도 있었다고 <중독자의 말>(1939.11<문장>)에서 현경준은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보도소 탐방기를 소설화한 것이 바로 <유맹>이다.
이 <유맹>은 작품의 서두에 '보고문'이라고 밝힐 정도로 현장 묘사의 사실성에 충실한 픽션이다. 우리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만주 유랑민의 그늘진 삶을 볼 수 있으며, 시대 상황의 비극으로 인간의 삶이 어떻게 파괴되는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들은 대개 아편 중독자들이거나 밀매업자, 상습 도박자, 사기 횡령 등을 습관적으로 저지르는 타락한 인간군들이다. 그 중에서도 아편 중독자들은 마약 때문에 처자식을 팔아 넘길 정도로 윤리 의식이 파괴된 파렴치한들이다. 따라서, 이 <유맹>은 그런한 주인공들을 소재화하여 마약과 범죄가 얼마나 인간의 양심을 마비시키고 파괴하는가에 대하여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있다.
보도소장은 명우라는 30세 청년에게 주목한다. 명우는 일본에서 대학을 나온 지식 청년이고 화가였으나 실연(失戀)으로 마약을 복용하여 끝내는 폐인이 되어 큰집에서 더부살이하는 홀어머니에게도 가지 못한다. 그러나 명우에게 아직 한 조각의 양심이 남아 있음을 본 보도소장은 그것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인간적인 애저으로 치료하는 데 적극 나선다. 보도소장의 이러한 노력 덕분으로 명우는 차츰 인간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걷는다. 그것은 자기 딸을 중국인에게 팔아 넘기는 명보와 득수 등의 흉계에서, 그리고 명우가 명보의 딸 순녀를 구하여 주는 대목에서 찾을 수 있다.
홀아비 자식 순동이와 순녀 남매는 아편 중독자 아버지 명보와는 달리 새롭고 건강한 새싹으로 악의 시궁창에서도 건강한 인간적 애정을 명우에게 보낸다. 보도소장과 순동 순녀 남매, 그리고 고국의 어머니의 애정으로 아편 중독까지도 치료할 수 있다는 인간 승리의 드라마라 할 수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