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원효대사

by 송화은율
반응형

원효대사

원효는 탄생하자 총명하고 뛰어나, 학문을 스승 없이 하게 되었다. 그가 승려가 되어 사방으로 다니며 수행한 시말과 불교를 널리 폈던 큰 업적은 당전(唐傳=唐僧傳)과 그의 행장(行狀)에 상세히 실려 있으므로 여기에는 다 적지 않는다. 다만 향전(鄕傳)에 실린 한 두 가지의 이상한 사실이 있으니 적어 둔다.- 원효의 행적에 대한 평가와 기록

원효는 일찍이 상례(常例)에 벗어나 거리에서 노래를 불렀다.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빌려 주겠는가?

나는 하늘 받칠 기둥을 찍으련다(만들련다)'

사람들은 아무도 그 노래 뜻을 알지 못했다. 이 때 태종 무열왕이 이 노래를 듣고 말했다.

"이 스님께서 아마 귀부인을 얻어 훌륭한 아들을 낳고 싶어하는구나. 나라에 큰 현인이 있으면 그보다 더 이로움이 없을 것이다."- 원효의 노래

이 때 요석궁에 과부 공주가 있었다. 왕은 궁리를 시켜 원효를 찾아 요석궁으로 맞아 들이게 했다. 궁리가 칙명을 받들어 원효를 찾으려 하는데, 벌써 남산으로부터 내려와 문천교를 지나오므로 만나게 되었다. 원효는 일부러 물 속에 떨어져서 옷을 적시었다. 궁리는 원효를 요석궁으로 인도하여 몸을 말리게 하니, 그곳에서 머물러 있게 하였다.

 

공주는 과연 아기를 배더니 설총을 낳았는데, 설총은 나면서 총명하여 경서 와 역사책에 널리 통달했다. 그는 신라 십현 중의 한 분이다. 우리말로써 중국과 외이 각 지방 풍속과 물건 이름 등에 통달하고 이회하여 육경 문학을 훈해했으므로,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명경을 업으로 하는 이는 그 훈해를 이어받아 가며, 끊어지지 않는다.-원효와 요석공주의 인연과 설총의 탄생

원효는 이미 계를 법하고 설총을 낳은 후로는 속인의 옷을 바꾸어 입고, 스스로 소성거사라 일컬었다. 우연히 광대들이 놀리는 큰 박을 얻었는데, 그 모양이 괴이했다. 원효는 그 모양대로 도구를 만들어 화엄경의 '일체 무애인은 한길로 생사를 벗어난다.'는 문구에서 따서 이름지어 무애라 하여 이내 노래를 지어 세상에 퍼뜨렸다. 일찍이 이것을 가지고 많은 촌락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교화하고 음영하여 돌아다녔으므로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우리들까지도 모두 부처의 호를 알게 되었고, 다 나무아미타불을 부르게 되었으니 원효의 법화는 컸던 것이다. - 만년의 행적

일찍이 분황사에 살면서 화엄경을 지었는데, 제4권 십회향품에 이르러 그만 그쳤었다. <중략> 또한 바닷 지 권유에 따라 노상에서 조서를 받아 삼매경의 소를 지었다. 그 때 붓과 벼루를 소의 두 뿔 위에 놓아 두었으므로 이를 각승 이라 했는데, 이는 또한 본각과 시각 2각의 숨은 뜻을 나타낸 것이다. 대안법사가 과서 종이를 붙였으니 또한 기미가 상통해 창하고 화답한 것이다. 그가 세상을 떠나자 설총은 그 유해를 부수어 진용을 소상으로 만들어 분황사에 모시고, 공경 사모하여 극도의 슬픈 뜻을 표시했다. 설총이 그 때 밑에서 예배하니 소상이 문득 고개를 돌려 돌아보았으므로, 지금도 여전히 돌아본 채로 있다.- 원효의 저술과 입적 후의 신이(神異)


요점 정리

연대 : 신라

작자 : 일연

갈래 : 설화적 요소의 전기(傳記)

주제 : 세속에 구애받지 않는 대사의 행적

의의 : 설화적인 요소가 있으나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었고, 전기문의 대표적인 본보기이다

출전 : 삼국유사

내용 연구

구성 : 시간적 구성, 일대기적 구성법을 취하고 있음

이희 : 이치에 밝음

명경 :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 경서 중의 몇 가지를 강(講)하고 외는 것

무애인 : 모든 바깥 경계에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로운 사람

각승 : 각(角)은 각(覺)과 음이 같아서 같은 의미로 쓰이며, 승(乘)은 불법을 의미한 것이다.

이해와 감상

세속에 구애되지 않는 원효대사의 일화로 그의 비범함과 신이함이 나타난 내용으로 설화적 요소가 가미된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둔 전기적 이야기이다.

심화 자료

원효

617(진평왕 39)∼686(신문왕 6). 신라시대의 승려. 성은 설씨(薛氏), 원효는 법명(法名), 아명은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 경상북도 압량(押梁:지금의 慶山郡) 출신. 잉피공(仍皮公)의 손자이며, 내마(奈麻) 담날(談捺)의 아들이다.

불지촌은 발지촌(發智村) 또는 불등을촌(佛等乙村)이라고도 불렀다고 하는데, 지금도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의 한 언덕에는 신문왕 당시 원효가 지었다는 금당(金堂)자리가 남아 있다. 그 밑 골짜기에는 그의 아들 설총(薛聰)의 출생지로 전하는 자리가 남아 있어 그 자리가 바로 원효가 태어난 곳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원효의 집은 본래 율곡(栗谷)의 서남쪽에 있었다고 전하나, 어머니가 원효를 임신하고 이 골짜기를 지나다가 갑자기 산기가 있어 집에 들어갈 사이도 없이 밤나무 밑에서 출산을 하였다. 이 나무를 사라수(裟羅樹)라 불렀다고 전하며 또, 밤이 이상하게 커서 이를 사라밤〔裟羅栗〕이라고도 불렀다고 전한다.

〔행 적〕

원효는 15세경에 출가하여 수도에 정진하였다. 일정한 스승을 모시고 경전을 공부하지 않고 타고난 총명으로 널리 전적(典籍)을 섭렵하여 한국불교사에 길이 남는 최대의 학자이자 사상가가 되었다. 기록에는 원효가 고구려로부터 망명하여 완산주(完山州)에 와 있던 보덕(普德)을 스승으로 하였다는 설도 있으며, 시대적으로 보아 자장(慈藏)으로부터 불도를 배웠을 가능성이 많다.

원효는 34세 때 스스로 경전을 연구하고 수도에 정진하다가 당시의 풍조에 따라 의상(義湘)과 함께 당나라로 유학의 길을 떠났다. 그러나 요동까지 갔다가 도중에 고구려군에게 잡혀 귀환하였다. 10년 뒤 다시 의상과 함께 해로를 통하여 당나라로 들어가려 하였으나 여행 도중에 해골에 괸 물을 마시고 “진리는 결코 밖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깨달음을 터득하고 의상과 헤어져서 돌아왔다.

이 후 태종무열왕의 둘째딸로 홀로 있는 요석공주(瑤石公主)와의 사이에서 설총을 낳았는데, 이것은 655년에서 660년, 즉 원효의 나이 39세에서 44세 사이에 일어난 일이 아니었던가 한다. 이 실계(失戒)의 사실은 원효로 하여금 더욱 위대한 사상가로 전환하게 된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실계 뒤 스스로 소성거사(小性居士)라고 칭하고 속인행세를 하였다.

어느 날 한 광대가 이상한 모양을 한 큰 표주박을 가지고 춤추는 놀이를 구경하고는 깨달은 바가 있어, 광대와 같은 복장을 하고 불교의 이치를 노래로 지어 세상에 유포시킴으로써 부처님의 가르침을 일반 대중에까지 잘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그 노래의 줄거리는 ≪화엄경≫의 이치를 담은 것으로 “모든 것에 거리낌이 없는 사람이라야 생사의 편안함을 얻나니라.”라는 누구나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노랫가락인데, 그 노래를 〈무애가 無寐歌〉라 불렀다.

그리고 별다른 이유도 없이 미친 사람과 같은 말과 행동을 하여 이해할 수 없는 점도 있어 거사(居士)들과 어울려 술집이나 기생집에도 드나들었다. 혹은 금빛 칼과 쇠지팡이를 가지고 다니며 글을 새기기도 하고, 혹은 ≪화엄경≫에 대한 주소(註疏)를 지어 그것을 강의하기도 하였다. 또, 어떤 때에는 가야금과 같은 악기를 들고 사당(祠堂)에 가서 음악을 즐기기도 하였다.

그는 또 여염집에서 유숙하기도 하고, 혹은 명산대천을 찾아 좌선(坐禪)하는 등 임의로 기회를 좇아 생활하되 어떤 일정한 틀에 박힌 생활태도가 없었다. 행적 또한 뚜렷한 어떤 규범을 따르지 않았고, 또 사람들을 교화하는 방법도 일정하지 않았다. 어떤 때에는 받았던 밥상을 내동댕이치고 사람을 구하기도 하였고, 또 어떤 때에는 입 안에 물고 있던 물을 뱉어 불을 끄기도 하였다.

한날 한시에 여러 곳에서 똑같은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또 어떤 때에는 온 천하를 다 찾아도 자취를 찾을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의 교화방법은 중국의 고승 배도(杯度)나 지공(誌公)을 닮은 데가 많았다.

 

〔업 적〕

원효가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을 찬술할 때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하여 온다. 한번은 국왕이 100명의 고승대덕(高僧大德)을 초청하여 인왕경대회(仁王經大會)를 열었을 때 상주(湘州) 사람들이 원효를 천거하자, 다른 승려들이 그 인품이 나쁘다고 헐뜯었기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런 일이 있은 뒤 왕후가 종기를 앓게 되어서 아무리 좋은 약을 다 써도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

왕은 왕자와 신하들을 거느리고 영험이 있다는 명산대천을 다 찾아다니며 기도를 드리던 중 한 무당이 말하기를, “사람을 다른 나라에 보내어 약을 구하게 하면 그 병이 곧 나을 것”이라고 하였다. 왕은 곧 당나라에서 좋은 약과 의술에 능한 사람을 구하도록 사신을 보냈다. 왕명을 받은 사신 일행이 바다 한가운데 이르자 바닷물 속으로부터 한 노인이 솟아올라 사신들을 용궁으로 데리고 갔다.

용왕은 자기의 이름을 금해(鈐海)라 하며,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다. “경들 나라의 왕비는 바로 청제(靑帝)의 셋째공주요. 우리 용궁에는 일찍부터 ≪금강삼매경≫이라는 불경이 전하여 오는데 시각(始覺)과 본각(本覺)으로 되어 있소. 원만하게 열린 보살행(菩薩行)을 설명하여 주는 불경이오. 신라 왕비의 병으로 인하여 좋은 인연을 삼아, 이 불경을 당신들의 나라로 보내어 널리 알리고자 사신들을 부른 것이오.”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원효가 이 ≪금강삼매경≫에 대한 주석서 3권을 지어 황룡사에서 설법하게 되었다. 왕을 비롯하여 왕비와 왕자·공주, 그리고 여러 대신들과 전국의 절에서 온 명망 높은 고승들에게 원효는 ≪금강삼매경≫의 강해(講解)를 시작하였다. 그의 강설은 흐르는 물처럼 도도하고 질서정연하여, 오만하게 앉아 있던 고승들의 입에서 찬양하는 소리가 저절로 흘러나왔다.

≪금강삼매경≫의 강설을 끝내고 원효는 “지난 날 나라에서 100개의 서까래를 구할 때에는 그 속에 끼일 수도 없더니, 오늘 아침 단 한 개의 대들보를 가로지르는 마당에서는 나 혼자 그 일을 하는구나.” 하였다. 이 말을 들은 고승들은 부끄러워하면서 깊이 뉘우쳤다고 한다. 그 뒤 조용한 곳을 찾아 수도와 저술에만 전념하였다.

현존하는 그의 저술은 20부 22권이 있으며, 현재 전해지지 않는 것까지 포함하면 100여 부 240권이나 된다. 특히, 그의 ≪대승기신론소≫는 중국 고승들이 해동소(海東疏)라 하여 즐겨 인용하였고, ≪금강삼매경론≫은 인도의 마명(馬鳴)·용수 등과 같은 고승이 아니고는 얻기 힘든 논(論)이라는 명칭을 받은 저작으로서 그의 세계관을 알 수 있는 대저술이다.

그는 학승(學僧)으로서 높이 평가될 뿐만 아니라, 민중교화승으로서 당시 왕실 중심의 귀족화된 불교를 민중불교로 바꾸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또, 종파주의적인 방향으로 달리던 불교이론을 고차원적인 입장에서 회통(會通)시키려 하였는데 그것을 오늘날 원효의 화쟁사상(和諍思想)이라 부른다.

이것은 그의 일심사상(一心思想)·무애사상(無寐思想)과 함께 원효사상을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의 사상은 너무나 다양하여 헤아리기 어려우나 항상 ‘하나’라는 구심점을 향하였고, 화쟁과 자유를 제창하였다.

〔사 상〕

(1) 일심사상 원효의 일심사상은 그의 저서 ≪금강삼매경론≫·≪대승기신론소≫ 등 그의 모든 저술에서 철저하게 천명되고 있다. 인간의 심식(心識)을 깊이 통찰하여 본각(本覺)으로 돌아가는 것, 즉 귀일심원(歸一心源:일심의 원천으로 돌아가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설정하고 육바라밀(六波羅蜜)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만법귀일(萬法歸一)·만행귀진(萬行歸眞)을 굳게 믿고 사상과 생활을 이끌어갔다. 그리고 일심이야말로 만물의 주추(主樞)이며, 일심의 세계를 불국토(佛國土) 극락으로 보았고, 이것을 대승·불성(佛性)·열반이라고 불렀다.

(2) 화쟁사상 원효는 어느 한 종파에 치우치지 않고 ≪화엄경≫·≪반야경≫·≪열반경≫·≪해심밀경 海深密經≫·≪아미타경≫ 등 대승불교 경전 전체를 섭렵하고 통효(通曉)한 사람이다. 그리하여 전체 불교를 하나의 진리에 귀납하고 종합 정리하여 자기 분열이 없는 보다 높은 입장에서 불교의 사상체계를 세웠다. 이러한 그의 조화사상을 화쟁사상이라고 한다. ≪십문화쟁론 十門和諍論≫은 바로 이러한 화쟁사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그의 핵심적인 저술이다.

그는 여러 이설(異說)을 십문으로 모아 정리하고 회통함으로써 일승불교(一乘佛敎)의 건설을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의 이와 같은 통불교적 귀일사상은 한국불교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화쟁의 논리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쟁론(諍論)은 집착에서 생긴다. 어떤 이견(異見)의 논쟁이 생겼을 때, 가령 유견(有見)은 공견(空見)과 다르고 공집(空執)은 유집(有執)과 다르다고 주장할 때 논쟁은 더욱 짙어진다. 그렇다고 하여 이들을 같다고만 하면 자기 속에서 서로 쟁(諍)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異)도 아니요 동(同)도 아니라고 설한다.”

또 “불도(佛道)는 광탕(廣蕩)하여 무애무방(無寐無方)하다. 그러므로 해당하지 않음이 없으며, 일체의 타의(他義)가 모두 불의(佛義)이다. 백가(百家)의 설이 옳지 않음이 없고 팔만법문(八萬法門)이 모두 이치에 맞는 것이다. 그런데 견문이 적은 사람은 좁은 소견으로 자기의 견해에 찬동하는 자는 옳고 견해를 달리하는 자는 그르다 하니, 이것은 마치 갈대구멍으로 하늘을 본 사람이 그 갈대구멍으로 하늘을 보지 않은 사람들을 보고 모두 하늘을 보지 못한 자라 함과 같다.”라고 하였다. 원효는 이처럼 철저한 논리의 근거를 가지고 화쟁을 주장하였다.

(3) 무애사상 원효의 무애사상은 그의 사생활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그는 어디에도 걸림이 없는 철저한 자유인이었다. “일체에 걸림이 없는 사람은 단번에 생사를 벗어난다(一切無寐人 一道出生死).”라고 한 그의 말을 보더라도 그의 무애사상은 짐작된다. 그는 부처와 중생을 둘로 보지 않았으며, 오히려 “무릇 중생의 마음은 원융하여 걸림이 없는 것이니, 태연하기가 허공과 같고 잠잠하기가 오히려 바다와 같으므로 평등하여 차별상(差別相)이 없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철저한 자유가 중생심(衆生心)에 내재되어 있다고 보았고, 스스로도 철저한 자유인이 될 수 있었으며, 그 어느 종파에도 치우치지 않고 보다 높은 차원에서 일승과 일심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 밖에도 원효는 여래장사상 등 불교의 모든 사상에 대하여서도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확립하였다.

〔저 서〕

현재 알려져 있는 저서로는 ≪대혜도경종요 大慧度經宗要≫ 1권(存), ≪금강반야경소 金剛般若經疏≫ 3권(失), ≪반야심경소 般若心經疏≫ 1권(失), ≪법화경종요 法華經宗要≫ 1권(存), ≪법화경방편품요간 法華經方便品料簡≫ 1권(失), ≪법화경요략 法華經要略≫ 1권(失), ≪법화약술 法華略述≫ 1권(失), ≪금강삼매경론≫ 3권(存), ≪화엄강목 華嚴綱目≫ 1권(失), ≪화엄경소 華嚴經疏≫ 10권(제3권 存), ≪화엄경종요 華嚴經宗要≫(失)이 있다.

그리고 ≪화엄경입법계품초 華嚴經入法界品抄≫ 2권(失), ≪대승관행 大乘觀行≫ 1권(失), ≪일도장 一道章≫ 1권(失), ≪승만경소 勝壇經疏≫ 2권(失), ≪미륵상하생경기 彌勒上下生經記≫ 3권(失), ≪유마경종요 維摩經宗要≫ 1권(失), ≪유마경소 維摩經疏≫ 3권(失), ≪금광명경소 金光明經疏≫ 8권(失), ≪능가경소 楞伽經疏≫ 7권(失), ≪능가경요간 楞伽經料簡≫(失), ≪능가경종요 楞伽經宗要≫ 1권(失), ≪해심밀경소 解深密經疏≫ 3권(序存)이 있다.

그리고 ≪부증불감경소 不增不減經疏≫ 1권(失), ≪방광경소 方廣經疏≫ 1권(失), ≪범망경종요 梵網經宗要≫ 1권(失), ≪범망경소 梵網經疏≫ 2권(失), ≪범망경약소 梵網經略疏≫ 1권(失), ≪범망경보살계본사기 梵網經菩薩戒本私記≫ 2권(上卷存), ≪보살계본지범요기 菩薩戒本持犯要記≫ 1권(存), ≪보살영락본업경소 菩薩瓔珞本業經疏≫ 3권(序·上卷存), ≪사분율갈마소 四分律珏磨疏≫ 4권(失), ≪대승육정참회 大乘六情懺悔≫ 1권(存)이 있다.

그리고 ≪발심수행장 發心修行章≫ 1권(存), ≪육현관의발보리심의정의함 六現觀義發菩提心義淨義含≫ 1권(失), ≪조복아심론 調伏我心論≫ 1권(失), ≪광백론종요 廣百論宗要≫ 1권(失), ≪광백론촬요 廣百論撮要≫ 1권(失), ≪광백론지귀 廣百論旨歸≫ 1권(失), ≪삼론종요 三論宗要≫ 1권(失), ≪중관론종요 中觀論宗要≫ 1권(失), ≪장진론종요 掌珍論宗要≫ 1권(失), ≪장진론요간 掌珍論料簡≫ 1권(失), ≪유가초 瑜伽抄≫ 5권(失)이 있다.

그리고 ≪유가론중실 瑜伽論中實≫ 4권(失), ≪성유식론종요 成喩識論宗要≫ 1권(失), ≪양섭론소초 梁攝論疏抄≫ 4권(失), ≪섭대승론세친석론약기 攝大乘論世親釋論略記≫ 4권(失), ≪섭대승론소 攝大乘論疏≫ 4권(失), ≪중변분별론소 中邊分別論疏≫ 4권(存), ≪변중변론소 辨中邊論疏≫ 4권(失), ≪잡집론소 雜集論疏≫ 5권(失), ≪보성론종요 寶性論宗要≫ 1권(失), ≪보성론요간 寶性論料簡≫ 1권(失)이 있다.

그리고 ≪인명론소 因明論疏≫ 1권(失), ≪판비량론 判比量論≫ 1권(存), ≪인명입정리론기 因明入正理論記≫ 1권(失), ≪대승기신론소 大乘起信論疏≫ 2권(存), ≪기신론별기 起信論別記≫ 2권(存), ≪대승기신론종요 大乘起信論宗要≫ 1권(失), ≪대승기신론요간 大乘起信論料簡≫ 1권(失), ≪대승기신론대기 大乘起信論大記≫ 1권(失), ≪대승기신론사기 大乘起信論私記≫ 1권(失), ≪기신론일도장 起信論一道章≫ 1권(失)이 있다.

그리고 ≪이장의 二障義≫ 1권(存), ≪초장관문 初章觀文≫ 2권(失), ≪이제장 二諦章≫ 1권(失), ≪십문화쟁론≫ 2권(存), ≪유심안락도 遊心安樂道≫ 1권(存), ≪안신사심론 安身事心論≫ 1권(失), ≪구도비유론 求道臂喩論≫ 1권(失), ≪청변호법공유정론 淸辨護法空有淨論≫ 1권(失), ≪성실론소 成實論疏≫ 16권(失), ≪아미타경통찬소 阿彌陀經通讚疏≫ 2권(失), ≪무량의경종요 無量義經宗要≫ 1권(失), ≪무량수경종요 無量壽經宗要≫ 1권(存)이 있다.

또 ≪무량수경요간 無量壽經料簡≫(失), ≪무량수경사기 無量壽經私記≫ 1권(失), ≪아미타경소 阿彌陀經疏≫ 1권(存), ≪무량수경소 無量壽經疏≫ 1권(失), ≪열반경종요 涅槃經宗要≫ 2권(存), ≪열반경소 涅槃經疏≫ 5권(失), ≪반주삼매경소 般舟三昧經疏≫ 1권(失), ≪반주삼매경약기 般舟三昧經略記≫ 1권(失), ≪미륵상생경종요 彌勒上生經宗要≫ 1권(存) 등이 있다.

≪참고문헌≫ 三國遺事, 宋高僧傳, 誓幢和上碑, 元曉(李箕永, 韓國의 人間像 3, 新丘文化社, 1965), 元曉의 人間觀(李箕永, 哲學的人間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5), 원효성사의 철학세계(김지견 편, 한국전통불교연구원, 1989), 역사로 읽는 원효(김상현, 고려원, 1994), 원효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김형효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원효연구사료총록(김영태, 장경각, 1996), 원효의 화쟁논리(佐藤繁樹, 민족사, 1996).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