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옥호빙심

by 송화은율
반응형

옥호빙심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4권 4책. 한글필사본. 서울대학교 소장본 4권 4책과 낙선재구장본 3책이 있다. 낙선재구장본은 제3권이 낙질이다. 낙선재구장본에는 소설 본문만이 정사(淨寫)되어 있다.

서울대학교본의 4권 말에는 소설 본문 다음에 필사기 · 한단몽기 · 역대제왕 송축구가 붙어 있다. 필사기는 다음과 같다(복자음과 아래 아는 현행표기법을 따른다).

“ 내 삼십 년 젼의 안국방 집의 이실 때 셔암이 이 책 보는 거슬 듯고 마음의 죠히 넉여 한번 벗기고져 하다가 밋처 못하고 … … 이 해 여름의 안해 드러갓더니 삼자부 윤소졔 이 책을 보거늘 신긔코 반가와 즉시 삼부의게 벗기기를 부탁하고 윤칠월의 패상의가 계츄 起 젼 도라오니 다 벗겨시되 … … 졔목을 친히 쓰고 또 이리 어 긔록하노라. 갑신초동 십팔일 셕남거사는 견평방집 듕채 상실의셔 쓰다. ”

견평방(堅平坊)은 조선 후기 중부 8방의 하나로, 1914년 동명개편 때 견지동(堅志洞)으로 되었다. 따라서, 갑신년은 늦어도 1884년(고종 21)이 되며, 서암이 보았다는 저본은 늦어도 1854년(철종 5) 무렵에 유포되었던 것이 된다. 이 필사기를 통해 규방여성만이 아니라 사대부도 이 소설의 독자였음을 알 수 있다.

서울대학교본 〈 옥호빙심 〉 의 제1권에는 ‘ 반셰풍진행객도 백년잠학작한인(半世風塵行客途 百年潛壑作閑人) ’ 라는 표제가 붙어 있다. 이 표제는 본래 소설의 한 장회명이거나 아니면 중단편집의 한 편명일 가능성이 있다.

한편, 낙선재구장본에는 이러한 표제가 없어 후사본(後寫本)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서울대학교본은 소설 후반부의 삽입시에서 오자가 있어, 낙선재구장본의 필사에 직접 저본으로 이용되었다고는 볼 수 없다.

소설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명태조 때 검남주 사람 사옹은 기직의 집에 들어가 아들 강백과 기방의에게 글을 가르쳤다. 기방의는 누이 옥호와 사강백의 혼담이 있자 사강백을 시기하여 문객 고불의의 계략을 빌려 사옹 가족을 귀가하게 만든다.

사옹과 기직이 차례로 타계한 뒤 고불의는 검남지부의 아들 마우락에게 옥호를 계실로 맞으라고 부추기고 기방의를 꾄다. 옥호가 거상(居喪)을 이유로 혼담을 회피하자 고불의는 그 속뜻을 알고 사강백의 초가를 불지른다.

고불의의 계교를 탐청한 옥호는 사강백 모자를 피신시킨다. 옥호는 혼담을 늦추다가 탈상 후 마우락이 빙례하여 오자, 고불의가 재물 때문에 혼인을 늦춘 것이라 하여 고불의를 처치하게 하고 남장하여 도망한다.

한편, 어머니 경씨와 계수현 해영의 집에 몸을 의탁하여 종이 되어 있던 사강백은 해영의 딸 빙심에 의해 정체가 드러난다. 빙심은 오빠 해진에게 편지를 전달하는 심부름꾼으로 사강백을 남경으로 보낸다. 이 때 옥호는 기방의라 이름하고 해진의 집으로 피신해오는데, 빙심은 옥호임을 밝혀내고 보호한다.

한편, 사강백은 팽녀호에서 은둔노인을 만나 둔세를 종용받지만 그대로 남경으로 떠난다. 사강백은 해진을 만나 재식을 인정받고 대신 상소문을 지어 황제에게 가납되어 서길사, 광서성 참정에 명해진다. 사강백은 검남에 선영봉사하고 종살이하는 고불의를 속환하고 마지부로 하여금 마우락을 책하게 한다.

해진은 아버지에게 사강백의 일을 알리고 빙심과 사강백의 혼담을 발전시킨다. 이 때 사강백이 와서 어머니의 뜻을 따라 빙심을 아내로 맞는다. 사강백은 도찰원우부도어사를 제수받아 솔가 상경하나 혜제(惠帝) 등극 후 소나 시무책을 올린 일 때문에 부침하다가 광동으로 안치되어 솔가하여 떠난다. 이 때 해진 부부가 죽는다.

영락제 등극 후 사강백은 그를 문연각 태학사로 부르는 조서를 찢고 솔가하여 팽녀호로 간다. 이후 해진은 팽녀호에서 사강백을 만나 둔세를 종용받으나 따르지 않고 결국 옥사한다. 사강백 부부는 지상선이 되어 자손이 끊이지 않았다.

이 소설은 명나라 태조 말에서 성종 즉위 초까지를 배경으로 하여 재자(才子)인 사강백이 기옥호 · 해빙심 두 가인(佳人)과 결연하게 되는 과정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 사강백과 해빙심이 결연을 권유받을 때 사강백이 해빙심의 집에 종으로 들어가 있었던 이유를 들어 그들이 노주(奴主)의 명분을 내세워 일단 거부하는 대목은 청대의 재자가인소설인 〈 성풍류 醒風流 〉 와 흡사하다.

〈 성풍류 〉 는 낙선재본 한글번역소설이 있다. 의리와 명분을 강조하는 재자가인소설의 한 계보가 조선 후기에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한글본 〈 옥호빙심 〉 도 그 과정 속에서 출현한 것이 아닌가 한다.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