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수몽유록(泗水夢遊錄)
by 송화은율사수몽유록(泗水夢遊錄)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필사본. 1940년 ≪ 인문평론 ≫ 2권 6호에 이명선(李明善)이 소개한 필사본이 있다. 장서각도서에 있는 〈 문성궁몽유록 文成宮夢遊錄 〉 은 이 작품의 이본(異本)이다. 이 작품의 제목이 되고 있는 ‘ 사수(泗水) ’ 는 공자(孔子)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으로, 작자의 창작 의도를 암시한다.
대개의 몽유록계 작품이 그 작자나 몽유자가 현세에서의 실의를 꿈에서 회복하고 있는 데 비하여 이 작품에서는 개인을 떠나 공자를 비롯한 고금(古今)의 여러 현인(賢인)의 승리를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불교와 도교의 박멸이 그 최대의 목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중원 ( 中原 )의 한 유생이, 하늘이 공자를 비롯한 수많은 대현들을 인간세상에 보내고도 그 뜻을 이루지 못하여 천하가 방황하고 있음을 원망하며 한탄하다가 잠이 들었다. 꿈에서 유생은 공자가 문선왕(文宣王)에 봉해져 있는 사수유역(泗水流域)의 소왕국(素王國)에 인도된다.
이 왕국에는 맹자 ( 孟子 ) · 주자(朱子) · 안연(顔淵) · 자건(子騫) · 공급(孔伋) · 중궁(仲弓) · 증참(曾參) · 백우(伯牛) · 자공(子貢) · 소옹(邵雍) · 제갈량(諸葛亮) · 장재(張載) · 자하(子夏) · 정이(程 蓬 ) · 유자(有子) · 주돈이(周敦 蓬 ) · 자유(子游) · 정호(程顥) · 한유(韓愈) 등의 역대 명현들이 중신으로 자리잡고 있다. 동국 ( 東國 )의 유자(儒者)로는 설총 ( 薛聰 ) · 최치원 ( 崔致遠 ) · 안향 ( 安珦 ) · 정몽주 ( 鄭夢周 ) 등이 반열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홀연 우편으로 편지 하나가 도착하여 양주(楊朱)와 묵적(墨翟)의 군사가 침공했다고 알리자, 공자는 맹가(孟軻 : 맹자)를 출전시켜 이들을 물리친다. 이어 노담(老聃 : 노자)이 열어구(列禦寇)와 장주(莊周 : 장자)를 거느리고 소왕국을 침범해 와, 사마광(司馬光)과 장재를 출전시키니 노담의 군사가 대패하여 달아났다. 또 다시 천축국(天竺國)에서 석가(釋迦)의 군사가 중원을 공략하자 이번에는 한유를 출전시켜 무려 백여합의 접전 끝에 그들을 격퇴한다.
패배한 석가의 군사가 노담의 군사와 연합하여 최후의 공격을 해오자, 문선왕은 역전의 맹장인 맹가를 출전시킨다. 맹가는 장재 · 주희(朱熹) · 정호 · 정이 · 한유 등을 이끌고 나가 대전한다.
처음에는 맹가와 석가의 논쟁이 벌어졌는데, 논쟁에서 진 석가가 출전하였으나 대패하여 서역(西域)으로 달아난다. 노담의 군사도 대패하여 달아나니, 전후 네 차례의 전쟁이 끝난다.
문선왕은 여세를 몰아 역대의 제왕(帝王) 중 왕도(王道)를 버리고 패도(覇道)를 썼거나 숭불배유정책을 쓴 제왕들, 곧 진시황(秦始皇)을 비롯한 한무제(漢武帝) · 한명제(漢明帝) · 당태종(唐太宗) · 송신종(宋神宗) · 송효종(宋孝宗) · 명고종(明高宗) 등을 소환하여 질책하니 모두 부끄러워하며 물러갔다.
그 뒤 문선왕은 여러 신하들과 더불어 유교의 도(道)를 강론하며, 무엇보다도 ‘ 인(仁) ’ 을 중시할 것을 강조한다. 이후 여러 신하들의 희망을 들은 다음에 자공(子貢)으로 하여금 역대의 인물들을 논평하게 하고 끝으로 자신을 평해줄 것을 요청한다.
자공은 왕이 이 세상에 탄생하여 풍류와 예도(禮道)를 편 것은 백대(百代)의 왕에게 큰 교훈이 되는 것으로 요(堯) · 순(舜)과 비견할 만하다고 했다.
문선왕이 이 말을 듣고 기뻐하여 큰 잔치를 베풀자, 한유가 오늘의 태평성대를 마땅히 기록하여 인간에 전해야 한다고 아뢴다. 왕이 한유가 쓴 소왕국의 기록을 유생에게 주며 인간에 전하라는 부탁을 한다. 유생이 그 문서를 받아 가지고 섬돌을 내려오다가 발을 잘못 디뎌 잠을 깨니 꿈이었다.
이 작품에서 유교 중심의 왕국을 침공한 양 · 묵의 군사를 맹자가 격퇴하고, 노 · 장의 군사를 사마광과 장재가 격파하고, 석가의 군사를 한유가 격퇴한 것은 그들이 각각 양주 · 묵자 · 노자 · 장자 · 석가의 학설을 공격한 사실의 형상화라 볼 수 있다.
이는 유교가 어느 학설보다도 가장 위대하고 우수하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한 관념의 형상화이다. 또 역대의 제왕 중에서 패도를 쓴 왕들을 불러 질책하는 것은 유교적인 왕도를 정치의 이상적인 방법으로 여기고 있는 유학자들의 정치철학을 제시해 본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의 서사구조(敍事構造)는 알레고리(allegory, 寓言)로서의 면모를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 하겠다. 노 · 불 · 양 · 묵은 특정한 역사적 인물로서가 아니라 그들로써 대표되는 철학사상의 상징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이며, 그들이 유가왕국과 벌이는 극적 대립 역시 상징적 · 비유적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향락적 · 반동적 · 이념옹호적인 유형적 특질로 ‘ 이념제시형(理念提示型) ’ 몽유록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런데 같은 유형에 속하는 심의(沈義)의 〈 대관재몽유록 〉 에서는 환멸을 통한 환상과 현실의 대조가 강조되고 있음에 반해서, 이 작품에는 그러한 환멸이 없고 오히려 유교정치의 이념은 꼭 실현될 수 있으리라는 신념이 강하게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 대관재몽유록 〉 이 그 서술구조로 보아 작자가 몽중세계에서 주인공 구실을 하는 ‘ 주인공형(主人公型) ’ 몽유록임에 반해, 이 작품은 몽유자의 극 중 개입이 최소한으로 축소되어 있어 목격담의 성격을 띤 ‘ 방관자형(傍觀者型) ’ 몽유록에 해당되고 있다.
이 〈 사수몽유록 〉 은 점차 불교와 도교에 물들어 해이해지고 있는 유도 ( 儒道 )를 바로잡기 위한 목적의식이 강하게 지배하고 있는 소설작품으로, 공자를 비롯한 역대의 유학자들이 생전에 이룩하지 못한 정치적인 이상을 몽중의 세계를 통해 우언(寓言)으로 표출해 내었다는 데 그 가치가 있다.
≪ 참고문헌 ≫ 李朝時代 小說의 硏究(金起東, 成文閣, 1974), 夢遊錄小考(張德順, 東方學志 4, 1959), 夢遊錄의 歷史意識과 類型的 特質(鄭學城, 冠岳語文硏究 第2輯, 서울大學校 國語國文學科, 1977), 夢遊錄系 小說 硏究(車溶柱,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80).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