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난곬족 / 백석 / 해설 및 감상
by 송화은율여우난곬족 ― 백석 |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로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後妻)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육십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 옷이 정하든, 말 끝에 설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洪)동이, 작은 홍(洪)동이
배나무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 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 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뽁운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오양간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 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르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웃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 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 등에 심지를 몇 번이
나 돋우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릇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츰 시누이 동세들이 육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틈으로 장지문틈으로 무이징게 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조광>1935.12
* 여우난 곬족 ; 여우가 난 골 부근에 사는 일가 친척들.
* 진할머니 진할아버지 ; 아버지의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 → 내용으로 보아 ‘할머니, 할아버지’로 봄이 옳을 듯함.
* 포족족하니 ; 빛깔이 고르지 않고 파르스름한 기 운이 도는.
* 매감탕 ; 엿을 고거나 메주를 쑨 솥을 씻은 물로 진한 갈색.
* 토방돌 ; 집의 낙수 고랑 안쪽으로 돌려가며 놓 은 돌. 섬돌.
* 오리치 ; 평북 지방에서 오리 사냥에 쓰이는 특 별한 사냥 용구.
* 반디젓 ; 밴댕이젓.
* 저녁술 ;저녁 숟가락 또는 저녁밥.
* 숨굴막질 ; 숨바꼭질.* 아르간 ; 아랫간. 아랫방.
* 조아질하고 - 제비손이구손이하고 ; 아이들의 놀 이 이름들.
* 화디 ; 등장을 얹는 기구. 나무나 놋쇠로 만듦.
* 홍게닭 ; 새벽닭. * 텅납새 ; 처마의 안쪽 지붕.
* 무이징게 국 ; 민물새우에 무를 넣고 끓인 국.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회고적. 서사적.
☞ 특징 ; 토속적 소재와 평북 사투리를 적절히 사용하고 반복과 나열 기법을 통해 명절날 고향의 정취를 실감있게 묘사하고 있다.
☞ 심상 ; 시각적, 후각적, 촉각적 심상
☞ 제재 ; 명절날의 집안 풍경
☞ 주제 ; 공동체적 삶의 풍요로움과 순수성
<감상 1>
백석 시는 초기에는 대체로 평북 사투리와 토속적인 소재의 선택으로 농촌 공동체의 원형적 정서를 그려 내다가, 후기에는 여행을 통한 풍물시와 모더니즘 시풍을 보여 주는 특징을 갖는다. 이 시는 그의 초기 대표작으로 명절날의 풍경을 통하여 공동체적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유년기 화자의 순진 무구한 정서를 자연스럽게 드러내기 위해서 산문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그 속에 구수한 사투리와 다양한 이미지 수법을 개입시킴으로써 푸근한 고향 정서를 환기시켜 주는 한편, 문장 종결형을 현재 시제로 하여 눈 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독자에게 직접 말하고 있는 느낌을 전해 주고 있다.
우선 이 시는 유년의 '나'가 체험하는 명절날의 풍속을 시간적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술함으로써 서사적인 시간 구성을 지니고 있다. 즉 명절날 유년의 화자가 '엄매 아배를 따라' 큰집으로 나서면서부터 저녁과 밤, 다음날 아침까지의 하루 동안의 이야기를 시간적 경과에 따라 서사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내용상으로 보면 크게 다섯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단락은 화자가 부모님과 같이 큰집으로 명절 나들이를 떠나는 모습으로, '개'까지 따라 나선 명절날의 유쾌하고 들뜬 분위기가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 ⇒ 화자가 어린이임.
둘째 단락은 큰집에 도착하여 명절날에 한데 모인 일가 친척들의 모습을 표출하고 있다. 그러나 그 모습은 단순히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서 회화적으로 표출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얼굴 모습과 표정에 대한 묘사와 더불어, 그들의 성격, 취미, 행위, 사는 곳, 삶의 내력까지도 낱낱이 서술하고 있다. 이처럼 친척들 개개인에 대한 성격을 창조하면서도, 그들의 인생 역정과 삶의 정황을 압축된 서사로 표출함으로써 한결같이 평탄치 못한 친척들의 인생을 가늠하게 해 준다. 그러므로 그들은 우리와 다른 어떤 특별한 존재가 아닌, 우리 모두의 평범한 이웃이 되기에 충분하다.
셋째 단락은 이러한 일가 친척들이 안방에 모여 있는 모습과 명절날 풍성하게 장만된 음식물에서 느끼는 유년의 정서를 다채로운 감각적인 묘사로 표출하고 있다. 여기서 표출되는 감각적 이미지는 후각과 촉각인데, 이 가운데서 특히 후각적 이미지 구사가 돋보인다. 즉, 명절날 설빔으로 입은 옷의 느낌을 '새옷의 내음새도 나고'라고 함으로써 시각을 후각으로, 여러 음식물을 '…… 내음새도 나고'와 같은 후각적 이미지로 표출함으로써 명절날 특유의 신선한 분위기와 정서를 전달하고 있다.
넷째 단락은 저녁밥을 먹고 난 후 아이들끼리 흥겹게 노는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단락은 밤이 깊어 일가 친척들이 방안에 모두 모여서 엄매들은 엄매들끼리,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각기 모여 앉아 즐겁게 노는 모습을 서술한 다음, 유년의 화자가 즐거운 하루를 보내고 다음날 새벽까지 잠이 드는 모습을 서술하면서 명절날 겪은 이야기를 마감하고 있다.
이처럼 이 시는 명절을 즐기는 공동체의 풍요로움을 다양한 시적 대상을 동원하여 표현함으로써 끈끈한 인간적 체취를 물씬 풍기게 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고향을 상실한 일제 암흑기에 그것을 회복할 수 있는 원초적 공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작품의 의의>
고향의 명절날 분위기와 정취에 대한 묘사를 통해 이 시가 드러내고자 하는 것은 공동체적 삶의 풍요로움과 그것에 대한 향수라고 할 수 있다.
향토적 서정으로 가득 찬 그 세계는 평범하게 살아가는 순박한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아늑하고 순수한 공간이다. 이와 같이 유년의 기억을 통해 펼쳐진 공동체적 삶은 토속적인 소재들과 사투리 그리고 후각과 시각 등의 감각적인 이미지들과 결합함으로써 그 정취와 분위기가 손에 잡힐 듯 그려지고 있다
이 시가 씌어진 1930년대 중반은 식민지 상황으로 인해 우리 민중이 고향을 잃고 만주와 간도 등으로 떠돌아다니던 시기다. 즉 고향 상실의 시대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시는 그와 같은 고향 상실의 현실 속에서 공동체의 풍요로움과 순수한 삶을 회복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